흉물 방치 8년… ‘우범지대화’ 속수무책

유리창 깨지고 곳곳 균열 마치 폭격 맞은 듯 착각 향후 정비계획도 오리무중 탈선청소년 아지트 우려 6일 오후 1시께 인천시 중구 축항로 해상교통관제센터(VTS) 정문 옆. 마치 폭격을 맞은 듯 모든 유리창이 깨진 거대한 건물이 흉물처럼 남아있다. 굳게 닫힌 철문 옆에 출입금지 경고판이 걸려 있는 이곳은 옛 인천해양경찰서 청사다. 건물 외벽은 곳곳에 칠이 벗겨지고 여기저기 금이 가 금방이라도 무너져 주차된 수십 대의 차량을 덮칠 기세다. 철문 밖 빛바랜 민원봉사실 간판이 걸린 건물은 통제가 없어 창문 안쪽으로 각종 쓰레기와 집기가 쌓여 있고, 건물 앞에는 주황색 경찰통제선(폴리스라인) 띠 뭉치가 스산하게 나뒹군다. 인천해경에 따르면 지난 1980년에 지어진 인천해경 청사(북성동 1가 103의 1)는 2006년 4월 폐쇄됐다. 이곳 인근에 있던 해양경찰청이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내 새 건물로 이전하고, 인천해경이 기존 해양경찰청사로 이전했기 때문이다. 지난 8년여 간 흉물로 방치된 옛 인천해경 청사의 정비계획도 오리무중이다. 지난 2009년 국방부와 해양경찰청, 국토해양부(현 해양수산부), 인천시 등이 인천해역방어사령부와 인천해경을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고 기존 부지를 활용키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지만, 송도 주민의 반발 등에 막혀 논의가 수년간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30년이 지난 해경 청사는 붕괴 위험은 물론 누구나 손쉽게 드나들 수 있어 노숙자와 청소년 등의 각종 범죄 장소로 이용될 우려를 낳고 있다. 붕괴 위험 및 범죄 장소화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정비계획이 수립되지 않았더라도 철거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인천해경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가 약속한 대로 인천해경 이전 및 정비사업이 추진돼야만 자체적으로 구 청사 철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며 다만, 안전사고에 대비해 수시로 순찰은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코너몰린 신종훈… 대한복싱協 어디에?

AIBA, 전국체전 참가 시비 징계 검토 신종훈 재계약 무산 대회 출전 정당 대한복싱協 판단할 수 없는 상황 뒷짐 국제복싱협회(AIBA)가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금메달리스트 신종훈(25인천시청)의 제95회 전국체육대회 출전을 막아 논란(본보 10월 31일 자 21면)을 빚은 데 이어 신종훈의 징계를 논의 중이어서 법적 다툼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AIBA는 6일 신종훈 측에 최근 전국체전에 참가한 것은 AIBA 프로복싱(APB) 경기 규정 위반이다. 전국체전은 사전에 APB에 승인을 받았어야 했다면서 오는 11일 열리는 APB 집행위원회에서 징계를 논의하겠다고 밝혀왔다. 또 APB 계약 담당 회사인 BMA 이사회는 신종훈이 끼친 유무형적인 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법적 절차를 15일 논의하겠다면서 (선수) 자격이 잠정적으로 중지될 수도 있으며, 징계위원회에도 거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신종훈 측은 오히려 우리가 피해자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2012년 AIBA APB와 계약을 맺었지만, AIBA가 기존 프로복싱 국제단체인 WBC, WBA와 다툼을 벌이면서 2012-2013 및 2013-2014 시즌까지 2년여 동안 전혀 경기를 뛰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4월 재계약을 맺으려 했지만, AIBA 측이 약속 장소에 나타나지 않아 계약이 무산된 만큼 전국체전 출전은 당연하다는 주장이다. 신종훈 측은 소속팀인 인천시인천시복싱협회와 함께 AIBA가 주장하는 징계 근거(계약서)의 법적 효력 여부를 검토하는 등 맞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런데도 선수의 입장을 대변해줘야 할 대한복싱협회는 계약서의 효력 유무를 우리가 판단할 수는 없다. 특별히 뭘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뒷짐만 지고 있다. 이와 관련, AIBA 측은 징계 관련 논의가 이루어질 APB 집행위원회까지 어떠한 발표나 인터뷰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민우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