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값싼 중국산 곶감까지 국내 특산 브랜드로 둔갑돼 유통시키다 적발되는 등 설을 앞두고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거나 허위표시한 수입 농산물이 시중에 나돌아 소비자들이 농산물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지난 한해동안 허위표시 2천278개 업소, 미표시 7천177개 업소 등 모두 9천455개의 위반업소를 적발했으며 적발된 허위표시 품목은 돼지고기가 851건으로 가장 많았고, 쇠고기 228건, 마늘 215건, 고춧가루 201건, 땅콩 96건, 도라지 87건 등의 순이었다. 이에따라 소비자들은 농산물을 구입할 때 원산지표시가 되어 있는지와 허위표시 여부를 꼼꼼히 살펴야 한다. 설을 앞두고 쌀, 참깨, 도라지 등 각종 제수용품과 양념류 등을 구입하는데 국내산과 수입품간 구별 요령을 알아본다. ▲쌀= 국내산은 수분이 많고 낟알 길이가 짧으며 폭이 넓어 둥글고 뿌연 쌀알이 많다. 반면 미국이나 중국산은 수분이 적고 길이가 길며 폭이 좁아 쌀알이 길쭉하며 뿌연 것이 적다. ▲수삼= 원산지가 강화군인 국내산은 겉에 흙이 묻어 있고 머리발육이 튼튼하며 짧고 겉색깔이 황백색인 반면 중국산은 겉에 흙이 묻어있지 않아 깨끗하고 머리 발육이 빈약하며 길고 겉색깔이 백색이다. 국내산은 조직이 단단하고 다리와 몸체가 잘 발달돼 있으며 무게가 무겁고 수염뿌리가 적게 붙은데다 인삼의 독특한 향기가 강하나 중국산은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고 다리와 몸체가 덜 발달돼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수염뿌리가 많이 붙어 있으며 향기가 약하다. ▲조기= 국내산은 등쪽이 회색을 띤 황금색이며 배쪽은 선명한 황금색인 반변 수입산은 등쪽이 회색바탕에 약간 붉은 빛을 띠며배쪽의 황금색은 조금 떨어진다. 또 국내산은 입이 붉은 색을 띠고 눈 주위가 노랗고 수입산은 입이 회색을 띠고 눈 주위가 붉다. ▲우족= 국내산 한우는 발목이 가늘고 피부색은 연한 황색·뼈속의 골수는 선홍색이며 발등 부분의 폭이 좁으나 일본이나 캐나다산은 발목이 굵고 피부색은 유백색, 뼈속 골수는 탁한 흰색에 발등 부분의 폭이 넓다. ▲달걀= 국내산은 동그란 모양의 타원형을 이루며 달걀 껍질 표면이 매끈하고 얇으며 삶은 달걀의 노른자는 연홍색을 띠고 있다. 태국산은 대부분 길다란 타원형을 이루고 껍질 표면이 거칠고 삶았을 경우 노른자는 진황색을 띤다. ▲녹두= 피녹두의 경우 국내산은 껍질이 거칠고 물에 담그면 물을 빨리 빨아들이지 않는 낟알이 많은데다 낟알이 고르지 않고 윤택이 나지않는다. 그러나 중국산은 껍질이 매끄럽고 물에 담그면 물을 빨아들이지 않는 낟알이 적으며 낟알이 고르고 윤택이 많이 난다. ▲참깨= 국내산은 낟알이 잘고 길이가 짧으며 씨눈이 뾰족하고 색깔이 다른 낟알이 조금 섞여있는 반면 중국이나 인도산은 낟알이 굵고 너비가 좁아 길어 보이며 씨눈이 뭉툭하고 색깔이 다른 낟알이 많이 섞여 있다. ▲통도라지= 국내산은 가늘고 짧으며 잔뿌리가 많이 붙어있고 원뿌리도 2∼3개로 갈라진 것이 많다. 반면 중국산은 굵고 길며 잔뿌리가 거의 없고 원뿌리가 1∼2개에 매끈하고 겉에 흙이 묻어있지 않거나 변한 것이 많으며, 수확한지 오래돼 신선하지 않다. ▲고사리= 국산은 줄기가 짧고 가늘며 줄기 윗부분 잎이 많이 붙어 있으며 연한 갈색에 털이 적고 섬유질이 연한데 비해, 중국산은 줄기가 길고 굵으며 윗부분 잎이 많이 떨어져 있고 진한 갈색에 털이 많고 섬유질이 질기다. ▲표고버섯= 국산은 갓이 크고 두꺼우며 자루가 길고 굵으며 갓 표면과 갓주름이 밝은 갈색에 무게가 무겁다. 반면 중국산은 갓이 적고 얇으며 자루가 짧고 가늘고 갓 표면과 갓주름이 짙은 갈색에 품질이 불량해 무게가 가볍다. ▲대추= 국산은 윤택이 많이 나고 껍질이 깨끗하며 속이 연한 황갈색에 독특한 향기가 강한반면 중국산은 윤택이 적게나고 껍질에 곰팡이가 끼거나 먼지 등이 묻어 있으며 쪼개 보면 벌레먹은것이 간혹 있고 속이 어두운 황갈색에 향기가 약하다. ▲밤= 국내산은 알이 굵고 윤택이 많이 나며 껍질이 깨끗하며 모양이 둥근 것과 약간 길쭉한 것이 섞여 있다. 중국산은 알이 잘고 윤택이 나지 않으며 껍질에 먼지, 흙 등이 묻어 있고 모양이 둥글다. ▲마늘= 깐마늘의 경우 국내산이 색깔이 연하고 무거우며 모양이 통통하고 끝부분이 뽀족하며 냄새가 강하고 등부위 표면골이 깊은데 비해 중국산은 색깔이 진하고 가벼우며 모양이 납작하여 끝부분이 뭉툭하고 생김새가 다양하며 등부위 표면골이 얕다. ▲양파= 국내산은 껍질 세로줄이 흐릿하고 간격이 넓으며 껍질의 수가 2∼3장 정도로 적고 부드러워 잘 찢어지며 색깔이 붉거나 노란색이다. 그러나 호주, 미국산은 껍질 세로줄이 뚜렷하고 간격이 좁으며 껍질 수가 4∼5장 정도로 많고 잘 찢어지지 않으며 색깔이 은회색으로 퇴색돼 있고 조직이 단단한데다 무겁다. ▲생강= 국산은 울퉁불퉁하고 거칠며 색깔이 황토색으로 한덩어리에 작은짙알이 여러개 붙어있으며 알이 잘고 한덩어리가 작다. 반면 중국산은 편편하고 매끄러우며 연한 갈색이고 알이 굵고 한덩어리가 크다. 수원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염광열차장은 “농산물 원산지 허위표시 근절을 위해서는 단속도 중요하지만 소비자들이 먼저 원산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표시된 농산물 구입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밝히고 “농수협 등지에서는 믿고 국내산을 구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산물 허위표시등 부정유통 신고는 수원 농산물품질관리원(0331-295-8070)으로 하면된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주가가 폭락 종합주가지수 900선이 붕괴, 전날보다 35.55포인트가 내린 891.22로 마감됐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각각 2억4천259만주와 2조6천741억원이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891억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기관과 개인투자자들이 각각 711억원어치와 306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특히 투신권은 이날 1천33억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은행, 증권 등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강한 매도세로 주가상승세를 견인하는데는 실패했다. 주식값이 오른 종목은 상한가 12개를 포함해 230개였고 내린 종목은 하한가 2개등 599개였으며 보합은 40개였다. 업종별로는 어업과 목재나무, 고무, 수상운수, 증권만 소폭 올랐을 뿐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핵심블루칩 가운데는 삼성전자와 한국통신, SK텔레콤, 한국전력이 각각 1만3천원, 8천원, 20만9천원, 1천650원이 하락하면서 지수하락을 부추겼으며 특히 이들뿐 아니라 시가총액 20위권내 종목이 모두 하락했다. 증시전문가들은 지수 900선이 무너지면서 120일 이동평균선에서 완전히 이탈됨에 따라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다면서 미국 금리인상폭이 어느정도 윤곽을 드러내고 대우채 95% 환매가 예정돼 있는 다음달초까지는 이같은 조정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대우증권과 현대해상이 증권사와 보험사간은 처음으로 전략적제휴를 체결함에 따라 보험사나 은행창구 뿐만 아니라 증권사에서도 보험상품에 가입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제휴의 주요내용은 ▲상품 공동개발 및 판매 ▲정보교환 ▲전산 네트워크의 공동이용 ▲직원 상호파견 연수 ▲기타 필요한 부분의 상호 벤치마킹 등이다. 두 회사는 앞으로 이를 위해 별도의 전담반을 구성해 운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업무제휴로 그동안 은행에 국한됐던 증권사의 전략적인 제휴대상이 보험까지 확대, 금융서비스상품의 다양화는 물론 서비스의 질적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국세청은 25일 99년 2기 부가가치세확정신고가 마무리됨에 따라 부정환급혐의자에 대한 현지확인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국세청은 전체 328만명에 이르는 부가세 확정신고자를 대상으로 신고내용, 세금계산서 수수상황 등을 분석, 부정환급 혐의자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현지조사를 통해 환급 적정여부를 판단키로 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대우자동차는 임원 43% 감축과 국내조직의 과감한 통폐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조직개편을 25일 단행했다. 대우자동차는 이날 조기 경영정상화 차원에서 지난해 8월 자체 구조조정을 통해 임원 48명을 퇴임시킨데 이어 이번에 45명을 추가로 감축, 전체 임원 216명의 43%인 93명을 줄였다고 밝혔다. 대우차는 또 국내조직을 책임본부제로 전면개편하고 기존의 13개 부문 57개 담당을 11개 본부 46개 담당으로 대폭 축소시켰다. 다음은 새로 선임된 본부장 인사. ▲해외사업본부장 부사장 余成國 ▲재무·구매본부장 부사장 孫泰一 ▲관리본부장 부사장 朴泰雄 ▲부평사업본부장 상무 李泳國 ▲엔진구동사업본부장 상무 金鍾哲 ▲군산사업본부장 전무 陳尙範 ▲창원사업본부장 전무 金枓顯 ▲버스사업본부장 부사장 崔永才 ▲A/S 사업본부장 상무 呂勝億 ▲기술개발본부장 부사장 沈奉燮 ▲기획실장 상무 韓榮喆 ▲입찰사무국 단장 부사장 金錫煥/연합
한국은행은 25일 올해 설자금으로 3조5천억∼4조원을 시중에 풀겠다고 발표했다. 한은은 올해 설연휴가 작년 보다 연휴일수가 하루 적지만 높은 경기상승세가 계속되고 기업의 매출 호조 등으로 설 상여금 지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설자금 수요도 작년(3조5천억원) 보다 조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민간의 현금수요에 맞춰 설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설자금은 보통 설연휴 10일전부터 늘어나기 시작해 5일전부터 집중적으로 증가한뒤 연휴가 끝나면 80∼90%가 환수되는데 설자금이 자연스럽게 환수될 경우 통화관리에는 큰 문제가 없어 설자금 환수를 위한 별도의 공개시장조작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고 한은은 덧붙였다. /연합
도내 화훼농업인 5명이 미국 분화류 시장 공략을 위해 화훼수출 전진기지를 미국 캘리포니아에 건설한다. 구리시와 남양주시, 하남시 화훼농업인 5명이 설립한 한국대쉬드림플랜트영농조합법인(대표 정태빈·48)은 미국 캘리포니아 도스팔로스시 2만여평의 부지를 매입, 오는 4월말까지 5억여원을 들여 온실과 지중난방시설 등 화훼 생산시설을 건설한다고 25일 밝혔다. 그동안 미국으로의 분화류 수출은 꽃이 활짝 핀 완성품 형태가 대부분이었으나 포장부피가 커 항공료 부담이 크고 흙과 함께 수출돼 미국내 검역절차가 까다로웠다. 한국대쉬드림플랜트는 우선 30여개 농가와 분화류 공급계약을 맺고 양란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분화류를 60∼70% 키운뒤 뿌리의 흙을 제거하고 소독한뒤 박스로 포장해 현지 기지로 운송, 현지에서 5∼7개월간 더 길러 꽃을 피워 출하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4월말 온실이 완공되면 호접난과 덴파레, 온시디움 등 12만개의 중묘 양란들을 이식, 10월께부터는 완성품을 생산해 본격적으로 미국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이와관련 경기도는 한국대쉬드림플랜트의 사업계획서를 정밀 검토한 뒤 이달말 국비와 도비 등 영농자금 2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지난해 국내 경기의 활황세에 힘입어 자동차·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한 인천지역 제조업체들이 올들어 대폭적인 신규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 인천지점이 발표한 ‘IMF사태 이후 인천지역 주요 산업 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업체중 반도체 및통신업종의 경우 100%의 신규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자동차도 94.3%의 업체들이, 일반기계와 조립금속업종은 각각 71.4%, 63.6%의 업체들이 설비투자를 고려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가구업종의 경우 국내 건설경기의 침체 여파가 계속되면서 조사대상 업체중 59.1%에 이르는 업체들이 설비투자를 생각하지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업종과 대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수출 전망에 대해서도 일반기계 및 반도체통신업종의 경우 조사대상 업체 모두가 낙관적으로 보고 있으며 조립금속과 자동차·가구업종도 조사대상 업체중 16.7∼36.4%에 이르는 업체들이 비관적이라는 입장을 보였을 뿐 대부분의 업체들이 수출전망을 좋게 판단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대부분의 업체들이 신기술개발 추진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전문기술인력 부족 및 확보 곤란·기술개발자금 부족·기술개발에 따른 위험부담 가중 등을 지적하고 있어 전문인력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인치동기자 cdin@kgib.co.kr
경기도는 설을 앞두고 계절적 물가상승요인이 발생하고 농·축·수산물의 불법유통이 우려됨에 따라 종합적인 설물가대책을 마련, 추진키로 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설을 앞두고 최근 강추위 등의 계절적인 요인과 국제유가 및 금리인상 등 경제적인 요인이 겹치면서 설을 앞둔 일부 제수용품이 지난해와 비교해 8%이상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양념류의 부정유통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도가 이달들어 일부 제수용품 등에 대한 물가를 조사한 결과, 한우는 500g기준으로 7천100원을 기록 지난해 6천300원보다 8.8% 올랐으며 돼지고기도 2천100원에서 2천430원으로 8.6%가 올랐다. 지난해 9천500원하던 조기도 올들어서는 1만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도는 이에따라 우선 각 시·군에 2000년 지방물가안정대책을 시달하고 시장·군수 및 유급물가모니터 요원에게 서한문을 발송하는 한편 설날물가대책 상황실을 운영, 물가상승요인을 사전차단키로 했다. 도는 또 각 실·국장을 중심으로 농축수산물과 개인서비스요금, 영화관람료 등에 대해서는 물가안정화를 도모키로 했다. 도는 이와함께 36개반 333명의 단속반을 투입, 백화점 및 대형할인점, 재래시장, 노점상, 양곡상, 도축장, 석유판매소 등을 대상으로 쇠고기 돼지고기 곶감 대추 조기 등과 갈비세트, 다류세트 등에 대한 수입농산물 둔갑판매행위, 원산지 표시변경, 손상행위 등 불법유통을 단속키로 했다. 특히 마늘 콩 참깨 고춧가루 등 양념류와 출산물에 대해서는 부정유통뿐만아니라 비위생적 처리와 운송행위 등도 단속, 고발조치키로 했다./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대한주택공사가 중소기업 단체수의계약 품목인 싱크대 납품물량을 해당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축소시킨 뒤 자회사인 (주)한양목재에 대부분을 배정하자 관련 중소기업계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싱크공업협동조합과 주택공사에 따르면 주택공사는 올해 총납품 받을 물량 6천909가구 가운데 97%에 달하는 6천709가구를 자회사인 한양목재에 최근 배정하고 56개 조합업체 중 주공 납품자격을 갖춘 15개 업체가 참여하는 싱크협동조합에는 3%에 불과한 200가구만을 배정했다. 이때문에 싱크조합은 주공의 이같은 행위는 단체수의계약 품목의 경우 중소기업들에게 먼저 배정을 하라는 정부의 중소기업정책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처사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조합은 또 IMF체제 이후 건설시장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과당경쟁으로 업계가 최악의 실정에 놓여 있는데다 주요 수요처가 건설업체이나 민간건설업체 물량은 대부분 대기업 자체적으로 조달하고 있어 공공주택분야를 맡고 있는 주공에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이어서 생존권마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합은 특히 중소기업청이 최근 주택공사에 조합과 한양에 각각 50%씩 배정하라고 촉구했지만 일방적으로 무시, 중소기업 육성시책에 부정하는 횡포를 부리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와관련 조합은 최근 긴급 이사회를 열고 주공을 상대로 한 투쟁위원회를 구성키로 하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 등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주공의 한 관계자는 “물량을 배정한 8개지구에 모델하우스를 설치하면서 한양목재가 ‘라자’라는 자사상표를 부착했기 때문에 입주후 입주민들의 이의제기 등 민원을 우려해 어쩔 수 없었다”며 “앞으로는 중소업체들에게 배정물량을 늘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