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경쟁력 22위 ‘2년 연속’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2년 연속 22위를 차지했다. IMD가 31일 공개한 세계경쟁력연감 2012에서는 조사 대상 59개국 및 지역 경제 가운데 한국은 지난해와 동일한 22위를 기록했다. 순위는 나라별 경제력과 인적자원 역량 등을 종합 평가한 결과다. IMD가 평가한 한국 종합 국가 경쟁력 순위는 2003년부터 30위권에서 등락을 반복하다가 2008년 이후 3년 연속 상승, 지난해 22위를 기록했다. 이는 1997년 IMD의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순위였다. 올해 경쟁력이 가장 높은 국가로는 홍콩이 1위를 기록했으며 미국, 스위스, 싱가포르, 스웨덴 등이 각각 5위권에 진입했다. 중국은 23위를 기록해 지난해 19위에서 4계단 물러났고, 일본과 대만 역시 27위, 7위로 각각 1계단씩 하락한 순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전체 22위,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 6위를 기록해 지난해 8위에서 두 계단, G20 국가 중에는 6위를 기록해 7위에서 한 계단 올랐다. 인구 2천만 명 이상 국가에선 8위를 차지했다. 스테판 가렐리 IMD 세계경쟁력센터 소장은 미국은 선진국과 신흥경제국 등 모든 국가들과 독특한 상호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경쟁력이 세계 경제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전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한국 국가경쟁력 22위인데 중국보다는 높네, 한국 국가경쟁력 그래도 떨어지지는 않아서 다행이네, 한국 국가경쟁력 2년 연속 22위네, 한국 국가경쟁력분발하길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홍지예 기자 jyhong@kyeonggi.com

착한 남자의 경쟁력 “현대식 가정의 기반”

착한 남자의 경쟁력이 공개돼 화제다. 최근 현대식 부부의 개념은 착한 남자가 여성의 선택을 받기 시작하는 성 혁명을 통해 형성됐다는 연구가 나와 눈길을 사로잡았다. 라이브사이언스 닷컴은 30일(현지 시간) 미국 테네시 주립대 연구진의 결과를 인용해 흔히 알파 수컷으로 불리는 강한 남성 대신 필요한 것들을 꾸준히 제공하는 착한 남자를 여성들이 선택하며 현대식 가정의 기반이 생겼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현대식 가정의 진화에 관한 수많은 이론들을 따져 본 결과 이런 가정의 형성이 생물학적으로 타당한 유일한 경우는 여성들이 장기간 부부와 같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을 돌봐줄 수 있는 하위 서열의 남성을 선택하기 시작한 경우임을 밝혀냈다고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여성들이 주는 남자를 선호하기 시작함에 따라 남성간의 경쟁 대신 여성에게 무언가를 주는 쪽으로 투자하는 하위 서열 남성들에게도 드디어 보상이 돌아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진은 현대식 가정이 진화하면서 자녀 공동양육과 노동의 분담이 이루어졌다. 이는 자녀 양육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인류에게는 중요한 일이었다고 지적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착한 남자의 경쟁력 공감된다, 이제 착한 남자의 시대가 오나?, 착한 남자가 경쟁력이 있지, 착한 남자의 경쟁력을 여성들이 더 좋아하겠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홍지예 기자 jyhong@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