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외의 굴욕, 초여름 대표 과일의 몰락

초여름 대표과일인 참외가 토마토는 물론 수입포도에 밀리는 굴욕을 맛봤다. 11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초여름 대표 과일 참외가 올해 5월에는 토마토는 물론 수입포도에도 밀려 롯데마트 과일 내 매출 순위가 4위로 내려앉았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5월 초여름 대표 과일로는 수박과 참외였고 이들의 매출이 과일 전체 매출의 40% 가량을 차지하며 1위와 2위를 기록해왔다. 참외는 특히 5월 매출이 연간 매출의 35%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5월의 대표적인 과일이다. 그러나 올 들어 참외 수요는 크게 줄었다. 참외 값이 수박이나 토마토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올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 롯데마트에서 수박 1통(8kg)은 지난해 1만5천원에서 1만7천원으로 13% 가량, 방울 토마토 1팩(1kg 기준)은 지난해 4200원에서 5천원으로 19% 가량 올랐다. 그러나 참외는 냉해로 생산량이 감소하며 4~8개 1봉에 1만원으로 지난해 7500원보다 33% 가량이나 급등했다. 반면 포도, 바나나 등 수입과일의 수요 증가로 6~7위에 머물던 토마토는 참외의 고전에 따른 반사효과로 전년대비 매출이 65% 가량 늘며 수박에 이어 2위 자리를 꿰찼다. 참외의 굴욕을 접한 누리꾼들은 참외 좋아하는데 너무 비싸다, 참외의 굴욕 안타깝네, 참외 토마토에 밀려 굴욕 당했구나, 참외 비싸서 사먹을 수가 없어,엄마가 마트가면 맨날 토마토 밖에 안사와 등의 반응을 보였다. 홍지예기자 jyhong@kyeonggi.com

황상민 김연아 비판 “고소, 사람 우습게 생각하는 것”

김연아 교생실습 쇼 발언으로 피소된 연세대 황상민 교수가 김연아를 다시 한 번 비난했다. 황상민 교수는 지난 11일 채널A 박종진의 시사토크 쾌도난마에 출연해 김연아는 전형적인 소년성공이다. 나이가 들면 불행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황상민 교수는 운동천재들은 20~30대 후반이 되면 보통 삶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주위사람들과 어려움을 겪게 되며 심지어 정신병 등을 호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황 교수는 학생임에도 교수를 고소하는 심리 상태라면 이미 자기 기분에 따라 조절이 안 되고 주위 사람을 우습게 생각하는 것이라며 고소 자체가 또 다른 리얼리티 쇼다. 사과하면 고소를 취하하겠다는 자체도 쇼다. 내게 창피를 주고 인격 살인을 하겠다는 멘트라고 주장했다. 특히 황상민 교수는 대한민국에서 김연아는 무조건 여신이고 우상숭배 해야 하는 대상이냐. 쇼를 쇼라고 얘기하는 게 왜 명예훼손인가?라고 비판했다. 앞서 황상민 교수는 앞서 지난달 22일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에 출연해 김연아의 교생실습에 대해 김연아가 교생실습을 성실히 간 것은 아니다. 교생실습은 한 번 쇼했다고 표현하는 게 정확하다고 발언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이후 김연아 측은 그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홍지예기자 jyhong@kyeonggi.com

해외서 한국사람 창피할 때 “떠들지 마”

해외에서 한국 사람이 창피할 때가 공개됐다.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유학몬은 해외방문 경험이 있는 직장인 670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국제매너 수준에 대해 설문을 실시했다. 조사결과 해외 현지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에티켓을 잘 지키고 있느냐는 질문에 별로 지키지 않는 편이다가 49.3%비율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특히 해외에서 한국 사람들이 가장 창피할 때는 거리 또는 공공장소에서 떠들 때(36.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부딪혔는데 남 몰라라 하고 그냥 지나칠 때(18.5%)가 뽑혔다. 계속해서 길거리에서 일행과 함께 옆으로 무리지어 다닐 때(15.7%), 거리 또는 공공장소에서 침 뱉는 것을 보았을 때(15.2%), 뒷사람을 배려하지 않고 문을 그냥 닫고 나갈 때(10.7%)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외에 나갔을 때 이것만큼은 꼭 지켜줬으면 하는 행동 역시 거리 또는 공공장소에서 떠들지 않는 것이 35.8% 비율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어 부딪혔는데 미안하다는 의사표시를 하는 행동(19.3%), 거리 또는 공공장소에서 침 뱉지 않는 것(16.7%), 길거리에서 일행과 옆으로 무리지어 다니지 않기(12.4%)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해외에서 시끄럽게 떠드는 한국사람들 보면 창피하다, 공공장소에서 떠드는 한국인 해외에서 보면 진짜 창피하더라, 해외에서 떠드는 한국사람 나만 창피하게 생각한 게 아니었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홍지예기자 jyhong@kyeonggi.com

제일 많이 팔린 술 1위 진로소주 “영국에 더 알리자”

제일 많이 팔린 술 1위로 한국의 진로소주가 꼽혔다. 12일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영국 주류 전문지인 드링크스 인터내셔널은 2011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증류주 순위를 발표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주류 1위는 6138만 상자가 팔린 한국의 진로소주이며, 2위는 2470만 상자가 팔린 미국 보드카 스미르노프(Smirnoff)로 집계됐다. 이어 3위는 2390만 상자의 판매고를 올린 한국의 롯데 소주가 차지했다. 1위와 3위 모두 한국의 소주가 차지, 진로와 롯데의 판매실적을 더하면 8528만 상자로, 이는 세계 증류주 시장에서 소주의 높은 점유율을 나타낸다. 데일리메일은 이번 결과에 대해 1위 결과가 매우 예상 밖이라면서 진로가 전 세계적으로 많이 팔린 술임에도 불구하고, 영국인들에게는 소주가 비교적 생소하다고 전했다. 제일 많이 팔린 술 1위를 접한 누리꾼들은 제일 많이 팔린 순 1위 진로소주라니 자랑스럽다, 제일 많이 팔린 술 1위 진리소주 나 때문인 듯, 역시 진로수주, 술까지 세계화가 되어가고 있다니 기분좋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위스키 종인 조니 워커는 1800만 상자를 판매해 8위에 올랐으며, 스웨덴산 보드카인 앱솔루트 16위, 미국산 잭 다니엘은 1058만 상자로 19위에 올랐다. 홍지예기자 jyhong@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