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연두에서 제조한 '이제부터 갈아만든 진짜 검은콩 두유'가 세균수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아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세균수 기준 규격 부적합 판정을 받은 '이제부터 갈아만든 진짜 검은콩 두유'를 회수·판매 중지 조치했다고 7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주식회사 연두에서 제조한 제품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청에서 판매 중단 및 회수조치 중이다. 회수 대상 제품의 소비기한은 각각 2025년 3월 1일까지, 2025년 3월 29일까지, 2025년 5월 10일까지로 표기된 제품이다. 식약처는 "해당 회수 식품 등을 보관하고 있는 판매자는 판매를 중지하고 회수 영업자에게 반품해 달라"며 "이미 구입한 소비자는 회수대상 업소로 반납해 위해식품 회수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2025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수험생들을 위한 다채로운 유통 기획전이 열렸다. 단순히 합격을 기원하는 것을 넘어 수험생들의 입맛과 건강, 트렌드를 반영한 맞춤형 상품들이 출시되며 수능 선물 시장이 더욱 풍성해지고 있다. 6일 유통 업계에 따르면 업계는 오는 14일 예정된 수능을 앞두고 52만여명 수험생의 합격을 기원하는 다양한 이벤트와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찰싹 붙으라’는 의미로 유행했던 찹쌀떡과 엿이 주를 이루던 수능 선물 세트가 쿠키, 초콜릿 등 학생들의 입맛에 맞춘 다양한 디저트로 진화해 눈길을 끈다. 이날 오전 AK플라자 수원점 푸드홀에는 ‘수능 대박’이라는 응원 문구가 붙은 쿠키를 구경하는 학부모가 더러 보였다. 매장 매니저 최희정씨(가명·58)는 “예전에는 찹쌀떡이나 엿이 많이 나갔지만, 요즘은 쿠키 종류와 초콜릿이 더 인기”라며 “학생들의 입맛이 변하면서 제품 구성도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편의점 CU는 사격 국가대표 김예지 선수와 협업해 ‘예지력 아르기닌’, ‘예지픽 멀티비타민’ 등 건강을 생각한 상품을 출시했다. 또 서울대 초콜릿, 시계 등 재미있는 기획 상품도 선보이고 있다. 스타벅스는 ‘네잎클로버’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으로 행운을 기원, 파리바게뜨는 ‘오색찬란 찹쌀떡’, ‘합격 기원 세트’ 등 다채로운 구성의 선물 세트를 출시했다. 온라인몰 역시 수험생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행사를 진행하며 응원에 동참하고 있다. 쿠팡은 먹거리, 핫팩, 필기구 등 다양한 상품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 특히 ‘수능’ 테마관을 운영하며 수험생들을 위한 맞춤형 상품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준비했다. 이마트는 수능 한파에 대비한 보온용품 할인전을 연다. 일부 업체는 수능 이후 수험생을 위한 이벤트도 계획 중이다. 수험생을 대상으로 특별한 이벤트를 기획해 특정 상품 구매 시 할인 쿠폰이나 경품을 제공하거나, 수험생 인증 시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수능 선물은 단순히 합격을 기원하는 것을 넘어 수험생들의 건강과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며 “학생들의 입맛과 트렌드를 반영한 맞춤형 상품들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이스크림 버전 ‘흑백요리사’가 열린다. 최근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에 출연해 인기를 끈 최현석, 윤남노 셰프는 SPC 배스킨라빈스의 아이스크림 레시피 대결인 ‘핑크스푼대전’에 나섰다. 배스킨라빈스는 6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두 셰프가 자신의 레시피대로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모습 등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최현석 셰프는 바닐라 아이스크림에 달걀 노른자와 파마산 치즈 소스를 조합하고 짭짤한 베이컨칩을 올린 ‘까르바닐라’를, 윤남노 셰프는 올리브와 케이퍼(향신료)의 강렬한 맛을 부드러운 바닐라와 조합한 ‘돌아이스크림’을 제안했다. 두 셰프의 레시피 아이스크림은 ‘워크샵 바이 배스킨라빈스(이하 ‘워크샵’)’ 매장에서 12월5일부터 판매한다. 우승작은 소비자 투표 결과와 현장 판매량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돼 선정된다. 온라인 투표는 오는 10일까지 해피포인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진행되며, 다음달 4일 워크샵 매장에서 열리는 현장 심사와 같은달 17일까지 제품 판매 데이터를 합산해 최종 결과가 발표된다. 우승작은 정식으로 제품화해 전국에 출시될 예정이다. 앱 투표 참여 고객에게는 11월 이달의 맛 싱글 레귤러를 싱글킹 사이즈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쿠폰이 제공되며, 자신이 투표한 셰프가 최종 우승할 경우 ‘싱글레귤러 1+1’ 쿠폰도 12월에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또 해피포인트 앱 투표 참여 고객 중 추첨을 통해 35명이 12월4일 두 셰프와 함께하는 워크샵 현장 심사에 초청된다. 배스킨라빈스는 10일까지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두 셰프가 추천한 아이스크림을 포함해 패밀리 사이즈를 구매하면 최대 6천원의 가격 혜택을 제공한다. 최현석 셰프는 ‘피스타치오 아몬드’와 ‘아몬드 봉봉’을, 윤남노 셰프는 ‘슈팅스타’와 ‘엄마는 외계인’을 각각 추천했다. 배스킨라빈스 관계자는 “최현석, 윤남노 셰프의 특별한 레시피로 만든 아이스크림을 직접 시식하고 평가할 기회를 가져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광천다솔김, 해농, 동이식품 등 3개 업체가 제조한 김가루 제품들에서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원료가 쓰여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됐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따르면 ㈜광천다솔김이 만든 1㎏ '김가루' 제품은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원료인 '수입산 단김'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해당 조치 중이다. 해당 제품의 소비기한은 2025년 9월29일까지다. 또 주식회사 해농이 만든 1㎏ '솔솔솔김가루'(2025년 4월24일), 1㎏ '가루김까루'(2025년 4월28일) 제품도 같은 이유로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조치를 당했다. 유한회사 동이식품의 1㎏ '해미락 김가루' 또한 대상이다. 이 제품은 소비기한이 2025년 9월12일까지인 것과, 2025년 10월23일까지인 것이 모두 판매 중단 및 회수 대상이다. 식약처가 회수한 양을 모두 합하면 6만9천641kg에 달한다. 식약처는 "해당 회수 식품 등을 보관하고 있는 판매자는 판매를 중지하고 회수 영업자에게 반품해 달라"며 "이미 구입한 소비자는 섭취를 중단하고 회수대상 업소로 반납해 위해식품 회수에 적극 협조해주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커피전문점 메뉴별 평균 가격이 소비자 기대치보다 최대 32.4%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원이 지난 5월28일부터 6월21일까지 전국 25개 커피전문점의 메뉴별 가격 등을 조사한 결과, 커피‧음료 판매가격은 소비자가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가격과 최대 32.4%(1천153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개월간 커피전문점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에게도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응답자의 73.5%(735명)가 커피전문점에서 판매하는 커피‧음료 가격이 비싸다고 인식했다.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정 가격은 아메리카노 평균 2천635원, 카페라떼 3천323원, 카라멜마끼아또 3천564원, 티(Tea) 2천983원 등이었다. 하지만 기본 사이즈 기준 실제 판매가격은 아메리카노 평균 3천1원, 카페라떼 3천978원, 카라멜마끼아또 4천717원, 티(Tea) 3천555원이었다.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정 가격보다 적게는 13.9%(366원)에서 많게는 32.4%(1,153원)까지 높았다. 특히 판매점에 따라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정 가격 대비 1천335원 저렴한 곳도 있지만, 최대 3천336원 비싼 곳도 있어 업체별로 상당한 격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주요 커피전문점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2천166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에선 '약관·정책(주문변경·취소 불가 등)'과 관련한 상담이 43.5%(942건)로 가장 많았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의 55.2%(552명)가 주문 과정에서 불편·불만을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이 중 '주문 후 변경·취소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33.9%를 차지했다. 이에 소비자원이 커피전문점 스마트오더 앱에서 주문변경·취소가 가능한지 조사한 결과, 21개 중 15개(71.4%) 업체에 취소기능이 없었고, 3개(14.3%) 업체는 주문 후에 변경·취소가 불가하다는 등의 사전고지나 동의 절차도 마련하지 않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스마트오더 앱에 주문취소 기능 및 사전고지 절차 등 마련 ▲법정단위 표시 강화 ▲영양성분 정보 등 표시 강화 등을 권고했다.
삼천리 스포츠단 소속 프로골퍼 마다솜이 ‘S-OIL 챔피언십 2024’ 우승을 차지한 가운데 삼천리가 우승 기념 이벤트를 실시한다. 삼천리는 SL&C(삼천리ENG 외식사업본부)는 오는 10일까지 모든 외식 브랜드 매장 고객을 대상으로 메뉴 증정 행사를 펼친다고 4일 밝혔다. 대상 브랜드는 ▲모던 중식당 ‘Chai797’ ▲홍콩식 대중음식점 ‘호우섬’ ▲한우 등심 전문점 ‘바른고기 정육점’ ▲직화구이 전문점 ‘서리재’다. SL&C는 5만원 이상 주문 시 Chai797에서 '탕수육(소)’를 제공하고, 호우섬은 ‘쇼마이(3PC)’, 서리재는 ‘명란 계란찜’을 테이블당 1개씩 제공한다. 또 바른고기 정육점에서는 구이류 및 불고기 2인분 이상 주문 시 '육회(소)'를제공한다. 이번 이벤트는 기타 쿠폰, 할인, 프로모션과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 SL&C 관계자는 “삼천리 스포츠단 입단 후 연이어 우승 소식을 전하고 있는 마다솜 프로의 우승을 기념해 고객들과 기쁨과 감사의 마음을 나누기 위해 이번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SL&C 매장에서 품격 있는 맛과 서비스를 즐기시며 소중한 분들과 좋은 추억을 만드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SL&C는 중식과 한식 분야에 특화된 다양한 브랜드로 전국 주요 상권에 70여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1. 소비자 A씨는 지난해 5월10일 한 온라인쇼핑몰에서 재킷을 4만4천850원에 구입했다. 배송된 제품을 확인한 A씨는 생각한 브랜드가 아니라 청약철회 기간 내 반품에 따른 환급을 요구했다. 하지만 해당 쇼핑몰의 사업자는 반품 배송비로 6만원을 청구했다. #2. B씨는 지난해 7월2일 한 온라인스토어에서 의류 여러 점을 31만3천700원에 샀다. 이후 7월13일 제품을 받았고, 흰색 티셔츠 2점에 대한 반품을 요구했다. 사업자는 “흰색 색상의 제품은 반품이 불가하다”고 거부했다. 온라인·모바일·소셜커머스 등에서 유통된 의류·신변용품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해마다 늘고 있다. 특히 연말 판매 촉진을 위한 대규모 할인 행사 등 영향으로 11~12월에 그 피해가 집중돼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당부된다. 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1년~2023년) 전자상거래로 거래된 의류 등의 피해 사례는 총 1만1천903건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21년 2천986건, 2022년 4천346건, 2023년 4천571건 등이다. 이를 피해유형별로 분석하면 '청약철회 거부'가 5천78건으로 42.7%를 차지했다. '품질 미흡 및 계약불이행'까지 포함할 경우 전체의 88.5%(1만528건)에 달한다. 최근 3년간 피해구제 신청 건수를 월 평균으로 별도 계산하면 992건이다. 11~12월의 경우 평균 1천224건으로 23.4%(232건) 더 높다. 이에 따라 소비자원은 올 연말에도 관련 피해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비자가 온라인거래로 제품을 구입했다면 청약철회 가능 기간을 축소하거나 제품 수령 당일을 포함해 7일을 계산하는 등 사업자가 청약철회를 제한하더라도 '전자상거래법'에 따라 제품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수령 당일 제외)에 청약철회가 가능하다. 소비자원은 의류 관련 등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예방과 불합리한 거래 관행 개선을 위해 주요 청약철회 제한·방해 사례를 카드뉴스로 제작해 배포한 상태다. 이 안에는 할인 상품, 특정 소재·색상 제품의 청약철회를 거부하거나 청약철회 기간을 임의로 제한하는 등 의류 전자상거래상 대표적인 청약철회 제한·방해 유형 9개 항목과 각 사례가 담겨 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해당 카드뉴스를 기관 누리집과 소비자24 등에 게시하고, 쿠팡㈜, ㈜지마켓, 11번가㈜ 등 주요 통신판매(중개) 사업자에게 제공해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한 적극 협조를 요청했다"며 "피해다발업체의 불법·부당행위가 근본적으로 시정될 수 있도록 관할 행정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사업자의 자율적 시장개선 권고 등 소비자피해 확산 차단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웃도어 워킹화 제품마다 발바닥 압력과 미끄럼 방지 등 기능이 달라 사용 목적에 따른 선택이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8개 브랜드의 아웃도어 워킹화 8종에 대해 기능성과 내구성, 제품특징 및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하고, 31일 그 결과를 밝혔다. 먼저 아웃도어 워킹화의 핵심 성능인 기능성은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발바닥 압력'의 경우 밀레(디맥스 ST-301) 1개 제품이, '무릎 피로도'의 경우 밀레(디맥스 ST-301), 컬럼비아(벤슨 와이드핏) 2개 제품이, '충격흡수 및 추진력'의 경우 노스페이스(시에라), 머렐(모압 3), 아이더(오르공 v3)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 평가를 받았다. '미끄럼 저항'은 노스페이스(시에라),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버킷 마운틴 LT), 머렐(모압 3), 컬럼비아(벤슨 와이드핏) 4개 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미끄러지지 않았다. 네파(카이트), 케이투(휘스트) 2개 제품은 기능성 전 항목에서 고르게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함께 겉창과 겉감(갑피)의 접착 부위가 튼튼한 정도는 네파(카이트), 노스페이스(시에라), 밀레(디맥스 ST-301), 컬럼비아(벤슨 와이드핏) 4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겉창의 마모정도는 노스페이스(시에라), 머렐(모압 3) 2개 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마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겉감과 안감은 반복되는 마모에도 전 제품이 손상 없이 우수했다. 깔창을 1만회 마모한 결과, 모 소재를 사용한 노스페이스(시에라) 제품은 변색과 마모가 발생했고, 머렐(모압 3), 컬럼비아(벤슨 와이드핏) 제품은 색이 변했다. 또한 걷는 과정에서 신발이 반복적으로 접히고 펴질 때 발생하는 파손 여부와 착용 시 당겨 사용하는 뒤꿈치 부위의 뒷고리가 잘 고정됐는지 확인한 결과 전 제품이 손상 없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양말에 색상이 묻어나는 정도, 비 등 물에 젖었을 때 변색 등의 평가에서도 전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했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신발을 직접 착용 후 전체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기도 했다. 여기서 컬럼비아(벤슨 와이드핏) 제품이 5점 만점의 4.1점으로 가장 높았고, 케이투(휘스트) 제품이 3.9점으로 뒤를 이었다. 폼알데하이드, 유기주석화합물(TBT) 등 유해물질 5종을 시험한 결과에서도 시험대상 전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제품별 가격은 10만9천원에서 17만9천원으로 차이가 있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제품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아웃도어 워킹화의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24'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해외직구로 유입되는 '뇌 건강' 관련 식품에서 사용 불가능한 원료 및 성분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기억력 개선, 집중력 향상 등을 광고하는 뇌 건강 표방 해외식품에 대해 공동으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30일 밝혔다. 먼저 우리나라는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에 따라 국민건강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의약품과 의약품 유사물질,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원료 등을 '국내 반입차단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해당 원료 및 성분이 함유된 식품은 수입·판매할 수 없다. 이번 공동 조사의 대상 제품은 19개였는데, 전 제품에서 갈란타민, 빈포세틴 등 뇌기능 개선·치료제(전문의약품) 성분 또는 누펩트, 바코파, 석송과 같은 식품 사용 불가 원료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2개 제품에서 검출된 갈란타민과 3개 제품에서 검출된 누펩트는 이번 조사에서 국내 유입이 처음 확인된 성분으로 식약처가 지난달 23일자로 '국내 반입차단 대상 원료·성분’으로 신규 지정·공고하게 됐다. 조사에서 확인된 갈란타민, 빈포세틴, 시티콜린은 뇌 기능 치료에 사용되는 신경정신계 전문의약품 성분으로, 의사의 처방 없이 식품을 통해 잘못 복용할 경우 구토, 두통, 설사는 물론 심할 경우 쇼크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비자원은 전문의약품 성분과 식품 사용불가 원료가 함유된 제품을 구매대행하는 사업자에게 판매 중단을 권고했고, '통신판매중개업 정례협의체'와 알리익스프레스에는 해당 제품이 유통되지 않도록 판매 차단을 요청했다. 특히 소비자에게는 해외직구나 구매대행으로 식품을 구입할 경우 원료 및 성분명을 주의 깊게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관세청에 해당 제품의 통관을 보류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해외 온라인 판매사이트의 접속차단을 요청하는 등 국내로 반입되지 않도록 조치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식약처와 다소비 식품, 위해 우려가 높은 식품 등에 대한 공동 안전성 조사를 통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소비자원과 식약처의 이번 조사는 기억력 개선, 집중력 향상 치매 예방 등을 광고하는 식품 중 판매량 상위 제품 19개를 대상으로 했다. 구매대행 17개, 해외 직접구매(중국) 2개 등이다.
올해 4인 가족의 평균 김장 비용은 약 42만원으로 작년보다 20%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재료인 배추와 무 가격이 대폭 인상되면서 전체 비용 상승을 주도했다. 30일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김장 주요 재료 15품목에 대한 김장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은 41만9천130원, 대형마트는 52만1천44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각각 19.6%, 20.5% 상승한 수준이다. 상승 주요 품목은 미나리, 무, 배추 등 엽근채소류다. 기록적인 폭염과 잦은 강우 등 이상기후에 따른 생육환경 악화 및 생산량 감소가 주된 이유로 분석된다. 미나리는 전년 대비 94.5%, 무는 65.9%, 배추는 61.1%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배추의 경우 포기당 평균 7천50원으로 협회에서 지난 16일에 예측한 11월 전망치인 5천300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다만 2주 전보다는 약 20% 하락했다. 작황이 호전되고 11월 중순 이후 출하 성수기를 맞이하면서 점차 전망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대파, 생강, 고춧가루 등 양념채소류는 전년 대비 하락했다. 국내산 작황 및 공급이 안정적이고, 수입물량 또한 증가해 전반적인 하락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년 대비 대파는 29.9%, 생강은 21.9%, 고춧가루는 7%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김장비용(전통시장 기준)은 세종이 전국 평균 대비 109% 수준인 45만6천680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부산, 전남, 경기 등 순이다. 반대로 강원은 38만5천760원으로 가장 낮았다. 정부는 김장 재료 수급 안정 대책으로 계약재배 물량과 비축물량을 활용한 김장 재료 공급량 확대, 농수산물 할인지원을 통한 소비자 부담 경감 등을 주요 내용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올해 김장 비용이 약 20% 상승한 것으로 조사된 만큼, 이러한 대책이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김장 물가 안정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향후 수급상황 및 추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라는 게 협회의 시선이다. 김기일 한국물가협회 생활물가팀 과장은 “배추 가격이 올해 폭염 영향으로 작황이 부진하고 생육이 지연되면서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가을배추 작황 회복 및 출하지 확대로 김장철 수급은 양호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고춧가루, 대파, 생강, 마늘 등 부재료의 가격이 안정세를 보여 김장 성수기인 11월 중순 이후로는 부담이 다소 경감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