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악화 시중銀, 일제히 대출 가산금리 ‘UP’

시중은행들이 예대금리차 축소로 인한 수익 감소를 만회하기 위해 대출 가산 금리를 일제히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시중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은 주로 소득이 낮고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을 중심으로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1년 간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 방식)의 가산금리를 최고 0.63%p 인상했다. 은행별로는 외국계 은행인 한국 SC은행과 한국 씨티은행이 1년전에 비해 가산금리를 각각 0.33%p, 0.32%p 올린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인상폭을 기록했다. 또 KB국민은행(0.19%p) 신한은행(0.06%p), 우리은행 (0.03%p) 등 국내 은행들도 일제히 가산금리를 올렸으며, 광주은행(0.63%p)과 대구은행(0.13%p), 부산은행(0.11%p) 등 지방은행들도 가산 금리 인상 움직임에 동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들 시중은행들은 주로 소득이 낮고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 위주로 가산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신용등급별 가산금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저신용층인 7~10등급의 가산 금리 인상폭은 최고 2.32%p에 달했지만, 고소득층이 주로 분포한 1~3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최고 0.33%p에 불과했다. 특히 담보가 없는 개인신용대출의 경우, 전북은행의 저신용층 가산금리가 무려 9.89%p에 달하는 등 주택담보 대출에 비해 가산 금리 인상폭이 훨씬 더 컸다. 이처럼 대다수 시중은행들이 가산 금리를 인상한 것은 저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주요 수입원인 순이자마진(NIM)이 크게 떨어지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에 맞추려고 우대금리를 줄이다 보니 가산금리가 높아진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서민이 봉? 은행 이익 줄자 가산금리 인상

이익이 줄어든 은행들이 대출 가산금리를 일제히 올리고 있다. 특히 저신용자의 금리가 고신용자보다 더 올라 은행들이 서민들의 주머니를 털어 이익금을 챙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1년간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 방식)의 가산금리를 최고 0.63%p 인상했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금리에 붙는 것으로서 은행의 마진, 대출자의 신용도, 담보가치 등이 고려 요소다. 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은 소득이 낮고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 위주로 이뤄졌다.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신용등급별 가산금리 자료를 보면 저신용층인 7~10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최고 2.32%p에 달했다. 반면 신용도가 높아 고소득층이 주로 분포한 1~3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같은 기간 최고 0.51%p에 그쳤다. 서민층을 상대로 한 가산금리 인상 강도는 담보가 없는 개인신용대출에서 훨씬 더 셌다. 신용대출 가산금리를 0.10%p 인상한 외환은행은 고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30%p 내렸지만 저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24%p 올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금조달의 만기와 저신용층의 부도 위험을 따져 가산금리를 책정했다며 주택대출은 담보가치(집값) 훼손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가산금리 인상의 다른 사유로 수익성 악화를 꼽았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로 주요 수입원인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하자 어쩔 수 없이 가산금리를 올렸다고 해명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국내 주식펀드, 중국발 악재로 -2%대 주간 수익률

국내 주식펀드가 중국발 악재로 크게 흔들리면서 주간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15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은 전날 오전 기준으로 국내 주식형 펀드의 한 주간 수익률이 -2.2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번 주 중국의 2월 수출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 경제지표가 부진했고 현지 회사채 시장에서 첫 채무불이행(디폴트) 사례가 발생하면서 코스피는 한 주 동안 2.09% 떨어졌다. 이에 반해 소형주가 약진한 덕분에 코스닥지수는 1.33% 올랐다. 펀드 유형별로 살펴보면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투자하는 K200인덱스펀드의 주간수익률이 -2.53%로 나타나 가장 부진했다. 일반 주식형 펀드와 배당주식 펀드의 주간 성과도 각각 -1.85%, -1.53%로 마이너스였다. 순자산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의 국내 주식형 펀드 1천482개 가운데 플러스 수익률을 낸 펀드는 103개에 그쳤다. 채권 금리는 강경파(매파) 성향의 인물이 차기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사라져 상승 압력을 받아오다가 최근 중국 경기둔화 리스크 부각과 함께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돼 다소 하락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의 주간 성과는 0.13%로 나타났다. 순자산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135개 국내채권형 펀드 모두가 이번 주에 플러스 성과를 냈다. 특히 중기 채권형 펀드의 주간 성과가 우수했다. 우리KOSEF10년국고채레버리지상장지수펀드가 0.72%의 수익률로 최고의 주간 성과를 냈다.   양휘모기자 return778 @kyeonggi.com

안정자산 투자 러시… 치솟는 ‘금값’

우크라이나 사태 등 국제 정세 불안으로 안정적인 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금 가격이 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고공행진하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선물은 전날보다 1트로이온스(31.1g)당 1.8% 높아진 1천370.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1천386.70달러를 기록했던 지난해 9월9일 이후 6개월만에 최고치이자, 올해 초(1천225.00달러)와 비교해도 무려 14%나 상승한 수치다. 이날 한국금거래소에서 금 가격은 3.75g(1돈) 당 18만4천원을 기록했다. 이처럼 금 값이 갈수록 치솟고 있는 것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안정적인 자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 전문가들은 오는 16일 러시아 귀속 여부를 묻는 우크라이나의 크림 자치 공화국 주민투표를 앞두고 미국과 러시아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금 매입세가 강화되면서 금 가격이 치솟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크림 자치공화국이 주민투표에서 러시아 귀속을 찬성한다 해도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들이 이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불안정이 상당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여기에 중국이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7.5%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등 중국의 성장률 둔화 우려도 금 수요를 부추기는 원인으로 분석됐다. 과거, 금은 세계 정세가 불안할때마다 안정자산으로서 높은 인기를 누려왔다. 지난 2001년 9ㆍ11테러 당시 20% 가량 폭등했고, 글로벌 금융 위기가 닥친 2009년에는 24%나 상승했다. 또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되고 유럽 재정위기가 닥쳤던 2011년에도 10% 이상 올랐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