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센타이어가 시장도 예측 못한 그야말로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이에 넥센타이어의 주가는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으며 올 들어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다. 2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넥센타이어는 전 거래일대비 14.68%(1850원) 오른 1만44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공시를 통해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4.6%와 12.8% 늘어난 4529억원과 53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힌데 따른 것이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2012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11.9%로 집계됐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역시 시장 컨센서스를 뛰어넘은 분기별 사상 최대치다. 이같은 실적 개선세에 무엇보다 놀란 것은 증권사였다. 넥센타이어에 대한 실적 전망이 완전히 어긋났기 때문이다. 1분기 넥센타이어의 실적에 대해 예측한 증권사들은 넥센타이어의 영업이익률을 10%대로 예상했다. 지난 주 넥센타이어의 실적 전망 보고서를 내놓은 하나대투증권의 경우 넥센타이어의 영업이익률을 10.1%로 전망했다. 앞서 보고서를 발표한 KB투자증권도 영업이익률은 전년보다 0.9%포인트 떨어진 10.1%로 제시했으며 한국투자증권 또한 영업이익률을 10.2%로 봤다. 이들은 넥센타이어가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쟁 심화로 작년 내내 하락한 평균판매단가(ASP)가 올해 1분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업황 면에서 유럽, 미국 시장의 수요가 회복되고 있지만 중국산 타이어는 물론 선두업체들과의 가격 경쟁이 여전한 점이 넥센타이어 실적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하지만 이에 대해 넥센타이어 측은 글로벌 저성장 기조와 원달러 환율 하락 등으로 영업환경이 어려웠지만, 생산설비와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마케팅을 강화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28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2개 종목, 코스닥 5개 종목 등 총 7개 종목이 상한가로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신우와 넥센타이어는 전 거래일대비 14.89%, 14.68%오른 463원, 1만4450원에 장을 마쳤다. 회생절차를 개시했다는 소식에 신우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지난 25일 신우는 수원지방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 개시 결정 통보를 받았다고 공시했다. 넥센타이어는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는 소식에 가격제한폭까지 올랐다. 넥센타이어는 연결 기준으로 1분기에 영업이익은 538억원, 매출액은 452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2.8%, 4.6% 증가한 수치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케이디씨는 전일대비 14.99%오른 798원에 장을 마쳤고 한라IMS와 리노스는 각각 14.88%오른 5210원, 30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국제디와이와 씨그널정보통신도 각각 14.78%, 14.48%오른 264원, 1075원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디와이가 대표이사 배임혐의가 무혐의로 결론났다는 소식에 상한가까지 치솟았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재난망 구축에 대한 기대감에 철도 수송 안정 정보를 주고받는 디지털자가망 TRS를 공급하고 있는 씨그널정보통신도 상한가를 기록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세계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휴대폰이 노키아1100 제품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해외 IT 전문매체 폰아레나는 노키아1100이 단일 모델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제품 1위에 등극했다고 보도했다. 폰아레나에 따르면 노키아1100은 5년간 누적 판매량 2억5000만대를 기록했다. 노키아1100이 인기를 끌었던 이유로는 가격 경쟁력과 무약정 요인이 꼽힌다. 이 모델은 최소한의 기능만 제공하는 초저가폰이다. 약정 없이 50달러(약 5만원)면 살 수 있다. 전체적인 스펙은 96x65 해상도, 흑백 디스플레이, 알람, 문자(4줄 지원) 입력 등이다. 브라우저, 카메라, 인터넷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기본 게임은 2개 정도가 들어있다. 스펙은 최신 스마트폰에 비하면 현저히 떨어지지만, 노키아1100은 지난 2003년 첫 출시 이래 2억대 이상이 팔려나갈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이 휴대폰은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라틴아메리카 등 개발도상국 주민들을 겨냥해 만들었기 때문에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노키아는 이 제품을 포함한 초저가폰을 내세워 2000년대 후반 세계 저가폰 시장을 선도한 바 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한국거래소는 미래에셋자산운용(주)가 운용하는 TIGER 합성-유로스탁스50(H) ETF와 TIGER 합성-일본(H) ETF를 오는 30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이로써 전체 ETF 상장종목수는 151개로 증가했다. TIGER 합성-유로스탁스50(H) ETF는 국내 최초 유럽시장 ETF로 유로존 대표 우량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ETF이고 TIGER 합성-일본(H) ETF는 국내 최초 원/엔 환헷지 ETF로 일본을 대표하는 주식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ETF다. 거래소 관계자는이번 ETF 상장으로 유로존 및 일본 대표 주식에 대한 투자가 용이해짐에 따라 투자자는 환율변동 위험 없이 보다 다양한 지역에 자산배분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주식시장이 열리는 시간에 투자할 수 있으므로 외국 상장 ETF에 비해 거래가 편리하여 투자저변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합성 ETF는 실물 ETF와는 달리 거래상대방 위험 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투자자는 거래소 및 운용사 홈페이지 등에서 제공하는 거래상대방 위험평가액을 매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28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코스닥시장 상장법인 2개 종목이 하한가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케이엘티는 전일대비 14.98%(325원) 내린 1845원을 기록했다. 오리엔트정공은 14.77%(175원) 하락한 1010원에 거래를 마쳤다. 케이엘티는 상장유지 결정에 장초반 급등한 뒤 하한가로 마감해 하루 새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25일 기업심사위원회의 심의 결과 케이엘티가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케이엘티는 이날부터 거래를 재개했다. 앞서 케이엘티는 횡령 및 배임혐의 등으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됐고 지난해 9월26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다. 오리엔트정공은 유상증자 결정에 하한가로 추락했다. 오리엔트정공은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67억7000만원 규모의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28일 외국인 순매도 상위 10개 종목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28일 외국인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28일 기관 순매도 상위 10개 종목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SKC는 올 1분기 영업이익이 316억58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2%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 6675억원, 순이익 160억1100만원으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각각 19.2%, 218.2% 늘었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2.7%, 4.2% 감소한 반면 순이익은 384.8% 증가했다. 사업 부문별로 화학사업은 매출 2737억원 영업이익 193억원으로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7%, 34.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필름사업 부분은 매출 20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으나, 영업이익 1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2% 감소했다. 자회사의 경우, 올 1분기 매출 1431억원, 영업손실 74억원을 기록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두산건설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5% 늘었다고 2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5184억원으로 8.5% 줄었고 당기순손실은 24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