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생명ㆍ손해보험, 민영보험사 출발 가두캠페인

삼성전자, LCD 사업부 분사

삼성전자가 액정표시장치(LCD) 사업부를 분사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본관에서 제43기 주주총회를 열어 LCD사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LCD사업부를 분할하는 안건을 상정해 통과시켰다고 18일 밝혔다. LCD사업부는 다음달 1일 자본금 7천500억원인 가칭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의 신규법인으로 출범한 뒤 상반기 중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와 합병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새 회사의 대표로는 박동건 삼성전자 LCD사업부장(부사장)이 선임됐다.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연결기준으로 매출 165조원, 영업이익 16조원인 지난해 영업실적이 보고됐다.권오현 DS총괄 부회장은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됐고, 최지성 부회장과 윤주화 사장도 사내이사로 재선임됐다. 윤동민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김한중 연세대학교 총장, 이병기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등 3명은 사외이사로 임명됐다. 최지성 부회장은 지난해 금융위기 어려움 속에서 주주들의 격려와 성원에 힘입어 창사 이래 최대 매출과 안정적 손익을 창출하하는 등 업계 선두 자리를 굳건히 했다며 주력사업의 경쟁력 격차 확대, 차별적 신가치 창출, 미래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매출 성장세와 견조한 영업이익 창출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뻥튀기 휴대전화’ 손잡고 대국민 사기극

휴대전화 가격을 부풀린 뒤 보조금을 지급해 마치 엄청난 할인혜택을 부여하는 것처럼 소비자를 속여온 국내 이동통신사와 제조업체가 무더기로 적발됐다.공정거래위원회는 15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등 제조 3사에 과징금 453억3천만원을 부과하고 공급가출고가 차이 공개, 장려금 지급행위 금지 등 시정명령을 내렸다.업체별 과징금은 SKT가 202억5천만원으로 가장 많고 삼성전자(142억8천만원), KT(51억4천만원), LG유플러스(29억8천만원), LG전자(21억8천만원), 팬택(5억원) 순이다.통신 3사는 2008~2010년 총 44개 모델에 대해 공급가보다 출고가를 평균 22만5천원 높게 책정하고 그 차액을 마치 보조금 지급처럼 악용했다.이 과정에서 제조 3사는 출고가가 높으면 고가 휴대전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고 보고 통신사에 높은 출고가를 제안했다.제조사들은 또 같은 기간 209개 모델의 공급가를 향후 지급할 보조금을 고려해 부풀렸다. 이들 모델의 평균 장려금 지급액은 23만4천원이었다. 공급가 가운데 장려금 비중이 무려 40.3%에 달했다.이 때문에 소비자들은 공급가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제품을 사면서도 더 높은 할인혜택을 받기 위해 자신의 통신이용 패턴과 관계없이 더 비싼 요금제에 가입하는 등 피해를 봤다.한편 삼성전자와 SK텔레콤 등 해당 업체들은 공정위의 조치에 마케팅 활동 몰이해라고 반발하며 행정소송 등 법적 조치에 나설 방침을 밝혔다.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코빼기도 못봤는데 상공회의소 회장 당선?

대리인이 투표에 참여하고 총회에 참석하지도 않은 최신원 SKC 회장이 당선되는 등 수원상공회의소 회장 선거가 사전선거 운동 , 부재자 경선 논란 속에 우스꽝스럽게 마무리 됐다.특히 후보자가 현장에 없는 상태에서 경선 투표가 이뤄진데다 대리인 투표 논란까지 일면서 경쟁 후보가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어 심각한 선거 후유증을 예고하고 있다.15일 오전 열린 수원상공회의소 제21대 회장선거에서 최신원 SKC 회장이 양창수 밀코오토월드 회장을 전체 의원 50명 중 28표대 22표로 누르고 당선됐다.그러나 최신원 회장이 불참한 가운데 비공개로 치뤄진 선거가 적법한 지, 최 회장 대리인으로 참석한 인사가 투표권이 있는 지 논란을 빚었다.최 회장은 일본 출장 중이라며 김희수 SKC 상무가 총회에 대신 참석했다. 이와 관련 최 회장측 지지 의원들은 선거에 큰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 반면 양 회장측 지지 의원들은 총회에 참석하지도 않은 최 회장을 대신한 투표는 안된다며 대한상의 등에 유권 해석을 한 뒤 투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측의 의견이 충돌하면서 한 때 총회장에서는 고성이 오고가기도 했다.한 의원은 최 회장은 선거 전에 불거진 제주도 골프여행경비 후원계획이나 금품향응 접대 의혹 등에 대한 해명이 우선이라며 총회에 참석도 하지 않고, 대리인을 내세워 대리경선을 치른 비열한 최 회장은 회장 자격이 없다. 최 회장 당선은 수원상공계의 부끄러운 자화상이라고 비난했다. 이런 혼란속에 박해진 경기신보 이사장 등이 투표를 실시한 뒤 대리인 투표 부분 등이 문제가 되면 그때 법적 대응을 하면 된다고 주장하면서 결국 투표는 우여곡절 끝에 강행됐고 최신원 회장이 6표 차이로 양 회장을 제쳤다. 하지만 양 회장은 절차상 문제있는 선거 결과를 받아들 수 없다며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양 회장은 의원 다수의 반발에도 후보자 없는 경선을 치렀다. 불참한 최 회장의 대리인에게 투표 행사 권한이 있는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현 집행부가 편파적으로 경선을 밀어붙였다. 법적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수원상의 관계자는 선거가 끝난 만큼 의원 간 더 이상 잡음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