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개 대기업 중 22곳이 식음료 소매, 수입품 유통 등 중소기업 업종을 침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 자녀가 지분이나 경영에 참여하는 대기업도 롯데, 삼성, 현대 등 8곳에 달했다.28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35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 중 22개 집단의 74개 기업이 LED램프, 대형마트, 상조, 커피베이커리 등 중기업체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업종에 계열사를 두고 있다. 중소기업 분야 진출이 많은 곳은 삼성, 신세계(각 7개사), 롯데, GS(각 6개), CJ, 효성(각 5개) 등이었다.업종별로 보면 식음료소매(19개), 수입품유통(18개)이 많았다. 교육서비스(5개), 웨딩서비스(2개)도 눈에 띄었다.LED램프출판 등 중소기업적합업종 품목에 들어간 계열사는 14개사, 중기중앙회와 사업조정중인 대형마트서점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등 업종은 21개사다.재벌 2~3세가 지분 또는 경영에 참여한 중소기업 분야 진출은 롯데(5개사)가 가장 활발했고 삼성(4개), 현대차(3개) 순이었다. 총수 3세들은 베이커리커피판매점 등 식음료 소매업(8개), 패션명품 등 수입유통업(5개), 교육서비스업(2개)에 많이 참여했다. 35대 그룹의 계열사는 이같은 문어발식 확장에 힘입어 최근 4년간 매년 2.8개, 모두 393개 순증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경제일반
구예리 기자
2012-02-28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