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남 선전용 전단, 고양·파주서 발견

북한의 대남 선전용 전단이 연이틀 고양과 파주에서 대량 발견됐다. 14일 군과 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18분께 일산동구 성석동에서 북한의 대남 선전용 전단 묶음이 떨어져 차량 선루프가 파손됐다는 사건이 경찰에 접수됐다. 이 차량을 포함해 이날 고양에서 발견된 대남 선전용 전단은 9종, 9천여 장에 달했고 경찰은 수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전단의 내용은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 사진을 우스꽝스럽게 비하해 합성한 전단, 확성기 사진에 ‘함부로 짖어대면 무자비하게 죽탕 날릴 것’이라는 문구를 적은 전단 등 전날 발견된 것과 같은 종류로 파악됐다. 또 이날 오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와 적성면 두포리 일대에서도 북한의 대남 선전용 전단이 무더기로 발견됐다는 112신고가 접수됐다. 앞서 군부대는 지난 13일 밤 9∼11시 사이 파주 임진강변 초소 등에서 북한의 대남전단 풍선 3∼4개가 날아오는 것을 레이더와 육안으로 확인했다.군 관계자는 “어젯밤 북에서 띄운 풍선 3∼4개가 우리 군에 포착됐다”고 말했다. 군은 북한이 야간 풍향이 좋은 때를 골라 서부전선 지역에 여러 개의 풍선을 띄운 것으로 보고 있다. 파주·고양=김요섭·김현수기자

北, 대남전단 12∼14일 살포…파주·고양서 또 발견

북한군이 살포한 대남 선전용 전단이 13일에 이어 14일 경기도 고양지역에서 또 대량으로 발견됐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18분께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에서도 차량 위로 북한의 대남 선전용 전단 묶음이 떨어져 지붕 일부가 파손됐다.고양에서 발견된 전단은 9종, 9천500여 장으로, 경찰이 수거했다. 전단의 내용은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 사진을 우스꽝스럽게 비하해 합성한 전단, 확성기 사진에 '함부로 짖어대면 무자비하게 죽탕쳐 버릴 것'이라는 문구를 적은 전단 등 전날 발견된 것과 같은 종류로 파악됐다. 비슷한 시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와 파평면 두포리 일대에서도 북한의 대남 선전용 전단이 대량으로 발견됐다는 112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따라 군과 경찰은 신고지역 인근을 수색하고 있다. 전단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앞서 군부대는 지난 13일 오후 9시부터 새벽까지 파주 임진강변 초소 등에서 북한의 대남 전단 풍선 3∼4개가 날아오는 것을 레이더와 육안으로 확인했다. 군은 북한이 야간 풍향이 좋은 때를 골라 서부전선 지역에 여러 개의 풍선을 띄운 것으로 보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군이 12일 밤 대남전단을 살포한 데 이어 어젯밤과 오늘 새벽 사이 또 대남전단을 살포한 것이 식별됐다"며 "현재까지 북한군이 살포한 전단 약 수만 장을 수거한 상태"라고 밝혔다.경기북부와 서울 등 수도권에서는 13일 오전 수천 장의 대남 선전용 전단이 풍선에 실려 날아와 곳곳에서 발견됐다. 군 당국은 북한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등을 요구하며 수도권지역에 전단을 살포한 것으로 파악했다. 북한의 대남 선전용 전단 살포와 관련, 접경지역 주민들은 동요하는 기색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윤종원(57) 파주 탄현면 성동리 이장은 "주민들이 불안해하거나 동요하는 것은 없고 그냥 평상시와 같다"며 "어릴 때 봤던 북한 삐라와 종이의 질이나 색이 나아진 것 없이 거의 비슷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北 무인기 MDL 침범 경고사격 받고 돌아가

13일 오후 2시10분께 북한 무인기 1대가 서부전선 군사분계선(MDL) 수십m를 침범한 뒤 우리 군의 경고사격을 받고 북한지역으로 되돌아가는 상황이 발생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서부전선 최전방 1사단 도라산 관측소(OP) 인근에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미상의 항체가 식별됐다”면서 “이 항체가 MDL로 접근하자 경고방송을 하고 경고사격을 했다”고 밝혔다. 이 무인기는 고도 3㎞ 상공에서 MDL을 수십m 가량 침범해 수초간 비행을 했고 우리 군의 경고사격 후 즉각 북한지역으로 되돌아갔다. 군은 지상에서 무인기를 조종하는 북한군이 듣도록 경고 방송을 수회 실시했다. 또 북한지역으로 K-3 기관총 20발을 경고사격했다. 군은 레이더에 이 무인기가 포착되자 초계비행 중이던 전투기에 임무를 부여하고 다른 전투기도 출격 태세를 유지했다. 합참 한 관계자는 “북한 무인기가 MDL을 넘어오기 전부터 레이더로 식별하고 있었다”면서 “초계비행하던 전투기에 임무 전환 지시도 했고 다른 전투기를 출격시키기도 했다”고 설명했다.이어 “무인기가 발진한 곳은 식별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도발은 대북 확성기 방송 개시 이후 우리 군의 배치 상황과 움직임을 정찰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군은 북한이 남측을 비난하는 전단을 살포한 데 이어 정찰용으로 추정되는 무인기를 띄운 것은 추가도발을 위한 탐색전일 가능성도 크다고 판단, 대북 감시·경계태세를 강화했다. 한편 북한 무인기가 MDL 이남 상공에서 식별된 것은 지난해 8월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이 진행될 때 이후 처음이다. 안영국기자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