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시장, 공장물건 ‘봇물’ 낙찰가율은 60%대 ‘추락’

경기불황으로 경매시장에 공장매물이 쏟아지고 있으나 낙찰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경매업계에 따르면 안산 등 공단지역에서 공장 경매물건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경매정보 제공업체 지지옥션 조사결과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경매에 부쳐진 감정가격 30억원 이상 공장 물건은 모두 1천203건으로 200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30억원 이상 공장은 2008년 520건에 불과했으나 2010년엔 1천건을, 올해는 1천200건을 넘어섰다. 그러나 이들 경매시장에 나온 공장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해 낙찰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낙찰가율(낙찰가를 감정가격으로 나눈 비율)이 2008년에는 75%를 넘었지만 올해는 처음으로 60%대로 추락했다. 안산시 원시동 A 공장은 감정가가 95억원에 달하지만 3차례 경매에서 유찰되면서 최저 매각 가격이 48억원까지 떨어졌다. 감정가 42억원의 안산시 사사동 B 공장도 유찰돼 최저 매각 가격이 29억원으로 낮아졌다. 감정가 121억원의 시흥시 신천동 C공장도 유찰돼 오는 12일 다시 경매에 부쳐진다. 이들 지역은 토지가격 등이 비교적 비싼 곳으로 새 주인을 찾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경매업계는 분석했다. 도내 경매업체 한 관계자는 글로벌 재정위기로 유동성 위기를 겪던 기업들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하면서 경매로 나오는 공장들이 늘었다며 경기 불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내년 상반기까지는 공장 경매 물건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농어촌공 경기본부 ‘농지은행사업’ 매출 1천억 ‘눈앞’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의 농지은행사업이 매출 1천억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7일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장 김정섭)에 따르면 경기지역본부는 현재 농지은행사업 연간목표 943억원 대비 995억원(106%) 집행으로 전국 최초로 목표를 초과달성했으며 이달 말까지 매출액 1천억원 돌파를 위한 물량 확보도 완료됐다. 경기본부는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업의 불모지로 불렸지만, 2010년 450억원에 불과하던 매출액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올해 두배 이상 신장해 농지은행사업이 공사 전체 사업규모의 15%가량을 소화하고 있다. 경기본부는 자연재해, 부채 등으로 일시적 경영위기에 처한 78농가에 362억원을 투입해 농지를 매입하고, 매각대금으로 부채를 상환해 경영회생을 지원했으며, 111㏊ 473억원의 농지를 매입비축했다. 특히 작년에 신규 도입한 농지연금은 전국 사업비의 46%를 확보해, 502명의 고령농업인에게 73억원의 노후생활 안정자금을 지원했다. 김정섭 경기지역본부장은 어려운 사업여건 속에서도 축적된 사업 노하우와 시대의 흐름을 읽는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직원들의 노력이 이뤄 낸 결과라며 앞으로도 시시각각 변하는 고객의 요구와 트렌드 읽기를 통해 양적인 사업 확장은 물론 질적인 품질 향상으로 농업경쟁력 강화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우린 ‘과학’과 친해졌어요~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시행하는 과학문화 확산사업이 경기지역 청소년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7일 경기과학기술진흥원에 따르면 과기원은 도내 청소년들에게 과학문화를 확산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청소년 바이오제약 연구체험으로, 바이오센터에 갖춰진 연구실험 장비를 이용해 바이오제약분야에 특화된 연수체험과 일일체험을 총 10회 270여명의 학생에게 실시했다. 또 올해 처음 과학기술분야 체험수기를 공모한 결과 초중고 113명이 다양한 분야로 응모해 과학기술에 대한 열의를 보였다. 이와 함께 도내 56개 중고등학교에 과학기술인을 파견해 과학강연을 IT, 우주항공, 바이오, 융합 등 최근 과학이슈와 과학기술 리더십 등 여러 분야의 강연을 펼쳤고 수원의정부안양시흥화성시 초등학생 364명(지역아동센터 학생 30%)을 대상으로 생활과학교실을 열었다. 이밖에 청소년 과학문화체험행사를 통해 과학기술인 초청강연이나 경기바이오센터 견학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원영 원장은 과학문화 확산 사업에 대한 경기도민의 폭발적인 수요가 있지만 아직 자원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앞으로 청소년은 물론 직장인주부노령층 등 다양한 계층과 산간벽지학교 소외지역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도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푸대접받는 송아지에 농민들 성난 황소 돌변

정부, 가임암소 110만마리 이상땐 지급 않기로 기준 바꿔 축산農소값 하락 책임 떠넘겨 장관 퇴진 서명운동 소값 폭락 시 농민들의 손실을 보전해주던 송아지가격안정 보조금이 사라지면서 경기도내 농민들이 서명운동에 나서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6일 농림수산식품부와 전국농민회총연맹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00년부터 송아지값이 정부가 정한 기준값(6~7개월령 기준 185만원) 아래로 떨어지면 마리당 최고 40만원을 보상해줬다. 하지만, 지난 3월 농식품부가 사육두수 조절을 이유로 가임암소 사육마릿수가 110만마리 이상일 때는 보전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지급방식을 변경하면서 올해 도내 농민들은 보조금을 전혀 받을 수 없게 됐다. 현재 가임암소는 124만마리가 넘기 때문이다. 통합진보당 김선동 의원에 따르면 올들어 1월부터 6월까지 생산된 송아지에 대해 지난해 보전금 지급기준을 적용할 경우 약 972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계됐다. 1천억원에 달하는 지급금이 사라져버린 것이다. 농민들은 이를 두고 정부가 소값 하락의 책임을 농민들에게 떠넘기려는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안성의 축산농 박모씨(59)는 얼마 전 보조금 신청을 하려다 지급 규정이 바뀌어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정부 정책이 실패한 것을 사료값 상승과 소값 하락으로 고통받는 농민들의 보조금을 빼앗는 것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냐고 불만을 터트렸다. 이와 관련, 전국농민회총연맹에서는 송아지 가격안정제 복원과 서규용 장관 퇴진을 위한 한우인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단체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전농 경기도연맹 관계자는 보전금은 한우농가와 지자체가 공동출연해 조성한 기금에서 지원되는 것으로 한우 농가들의 피땀을 국가가 강탈한 것과 다를 바 없다며 규모가 큰 안성 우시장을 중심으로 이달 내로 서명운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한국을 빛낸 이달의 무역인상' 경인지역 업체가 싹쓸이

제53회 한국을 빛낸 이달의 무역인 상에서 경기인천지역 소재 업체가 수상자로 선정되며 상을 휩쓸었다. 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을 빛낸 이달의 무역인상은 수출실적, 시장개척, 고용창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협회와 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시상하며 매달 두 개사를 선정, 이번 수상자로는 성남소재 기업 엑시콘의 최명배 대표와 인천 소재 신세기산업의 신숙히 대표가 선정됐다. 최명배 대표는 34년 동안 반도체 분야에 종사하며 국내 최초로 반도체 검사장비 국산화에 성공, 연간 2천200만 달러를 수출하고 있으며 현재 경기무역상사협의회 회장으로도 재직 중이다. 엑시콘은 2001년 설립됐으며 지난해엔 빠른 속도로 컴퓨터 데이터를 읽고 사용할 수 있는 SSD(Solid State Drvie) 테스트 시스템을 개발, 삼성전자에 납품하기도 했으며 중국필리핀브라질 등에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수출은 전년대비 249% 늘었다. 이와 함께 신숙히 대표는 정밀 부품 가공용 공작기계 구동의 필수부품인 툴 홀더(공구를 고정하는 장치)를 생산, 툴 홀더 분야에서 세계 2대 메이커로 인정받으며 연간 430만 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리고 있다. 신세기산업은 인천에서 1982 설립됐으며 영국, 프랑스 등 유럽시장에 진출했고 2004년엔 중국 칭다오에 현지법인을 세우고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수출은 430만 달러로 전년대비 108% 증가했다. 이진호 한국무역협회 경기지역본부장은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세계시장 개척에 매진해 한국을 빛낸 이달의 무역인 상 수상업체로 경인지역 업체가 선정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 수출을 견인하고 있는 경기인천 수출의 좋은 성공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