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탈 조선왕실의궤 ‘100년만의 귀환’

조선왕실의궤를 비롯해 일본에 반출된 한국 도서 1천200책이 1세기 만에 고국의 품에 안겼다.이들 도서는 지난해 12월 6일 오후 3시20분과 4시35분께 각각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대한항공 여객기에 600책씩 나뉘어 들어왔다.일제 식민지배 때 일본으로 강제 반출돼 일본 궁내청에 소장됐던 이들 도서는 14개 나무 박스에 각기 봉함돼 컨테이너 4대(여객기당 2대)에 담겨 운송됐다.1차분 도서는 길이 3.14m, 높이 1.61m인 컨테이너 박스 2대에 담긴 채 화물계류장을 빠져 나와 국군의장대와 전통의장대, 취타대가 장중한 음악을 울리는 가운데 인천공항 화물 게이트 6번 앞에 마련된 임시 무대 중앙에 안치됐다. 양국 정부를 대표해 박석환 외교통상부 제1차관과 무토 마사토시 주한일본대사가 인수인계를 확인하는 구상서를 교환하면서 이들 도서는 완전히 한국 정부로 소유권과 관리권이 이양됐다.반환된 도서는 컨테이너에서 꺼낸 나무 상자에 담긴 그대로 문화재 운반 전문 무진동 차량에 옮겨져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겨졌다.반환된 도서는 1922년 5월 조선총독부를 통해 일본 궁내청으로 넘어간 조선왕실의궤 81종 167책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반출 도서 66종 938책, 증보문헌비고 2종 99책, 대전회통 1종 1책 등이다.이들 도서는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오는 2월5일까지 고궁박물관에서 특별전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고 있다.글_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사진_장용준기자 jyjun@kyeonggi.com

인천 부평구, 1기관 1시장 합동자매결연

인천시 부평구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1기관 1시장 합동자매결연에 나섰다.부평구는 지난해 12월 12일 구청 중회의실에서 22개동 주민센터 동장, 태성엔지니어링, 대진코스탈, 부평구 중소기업협의회 등 8개 경제 단체장이 참석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1기관 1시장 합동자매결연식을 가졌다 구는 부평구청과 각 동 주민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매주 수요일을 전통시장 가는 날로 지정, 공무원들부터 앞장서 전통시장을 이용하고 있으며, 매달 셋째주 수요일 전통시장 가는 차량을 운행해 직원들이 퇴근하면서 장을 보도록 지원할 예정이다.특히,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역 기업체와 경제단체 등이 참여, 각 시장에서 단체 장보기, 회식, 사무용 물품구입 등을 시행할 계획으로, 각 시장 상인회도 시장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고를 위해 자구 노력을 전개할 계획이다.홍미영 구청장은 전통시장은 부평 서민들의 오랜 삶의 터전으로 특색있게 발전시켜야 한다며 보다 많은 기업과 단체들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한편 구는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시설현대화사업으로 주차장 확보, 아케이드 조성, 고객화장실 설치 및 개보수 등을 벌여왔다.글_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인천 연수구, 자활사업 최우수 기관 대통령 표창

인천시 연수구가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올해 지자체 복지종합평가에서 전국 지자체 중 각종 자활사업 최우수기관으로 선정, 대통령 표창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구는 그동안 지역 자활센터 1곳과 종합사회복지관 3곳과 유기적인 연계를 바탕으로 저소득층의 자립자활 지원을 위한 자활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점을 크게 인정받았다.현재 연수구 지역에는 연수지역자활센터를 비롯해 연수종합사회복지관, 선학종합사회복지관, 세화종합사회복지관, 아동청소년시설, 노인장애인시설 등 80여개 자활사업장에서 기초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 450명이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다.특히 구는 올해 초부터 자활센터에 구내식당 및 카페 등을 위탁을 줘 모두 15명의 자활참여자가 근무하도록 지원해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이는 지역자활센터 대상으로는 전국에서 최초이며, 타 지자체의 벤치마킹 사례가 되고 있다.구는 이들에게 지속적인 일자리를 제공해줘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우는 한편, 희망키움 통장을 통한 자산형성사업, 자활공동체 육성 지원 등 탈 빈곤과 자립자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원 사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지난 2010년 8월엔 복지간병 자활근로사업단에서 간병공동체인 한마음 간병을 창업하기도 했으며, 지난해 2월에는 배송사업단 연수 택배 공동체가 창업해 저소득층 16명이 일을 하고 있다. 이달 또 하나의 배송 공동체가 출범할 예정이다.글_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포토경기 12월호 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