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배송, 누구에게나 편리한가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이 단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당일 구매한 물품을 당일 받아볼 수 있게 하거나, 적어도 다음 날 아침까지는 받아볼 수 있도록 배송하는 서비스. 바로 총알 배송, 로켓 배송이라는 단어이다. 택배를 기다리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한없이 편리한 서비스이지만, 과연 이 총알 배송을 편리하다는 이유로 당연시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로켓배송을 가장 큰 서비스로 삼고 있는 쿠팡의 경우, 2018년 6월 서초지점을 시작으로 24시간 배송을 시작했다. 과거 쿠팡 배송직원들은 오전 8~9시에 출근해 저녁 7시에 퇴근했으나, 24시간 배송 서비스 이후 야간 근무를 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저녁 있는 삶, 쿠팡맨은 포기해야 하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새벽 배송이 단순히 택배 기사들의 편리함을 빼앗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택배 회사에서는 배송 업무 자체가 심야에 이뤄지고 있으며 신속한 배달을 요구하는 특수성으로 인해, 운전면허를 갓 소지한 대학생들을 아르바이트생으로 고용하고 있다. 이때 운전에 미숙한 초보운전자들이 숙련자들에게도 힘든 배송업무를 하게 되면서, 각종 교통사고가 발생한다. 올해 1월 고양시에서는 택배 배송을 하던 A 씨가 길을 지나던 B 씨를 치어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A 씨는 운전면허를 소지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누군가의 편리함을 위해 생겨난 총알 배송 서비스는 또 다른 누군가의 편리함의 권리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제3자의 목숨을 빼앗고 있다. 누군가로 특정할 일이 아니다. 나의 편리함이 당신의 편리함과 생명을 빼앗는 것이 과연 당연한 일일까? 차라리 조금 불편하더라도 우리는 서로의 편리함을 지켜주고 함께 살아가야 맞는 것이 아닐까? 이희지기자(평택 라온고 3)

[학생칼럼] ‘갤럭시 폴드’ 내구성 문제 조속히 해결되길

4월 26일 북미 지역에 첫 출시 예정이었던 갤럭시 폴드에 내구성 결함이 발견돼 삼성에서 출시일을 잠정 연기했다. 갤럭시 폴드는 삼성의 첫 폴더블 스마트폰이다. 폴더블 스마트폰은 평소에는 화면을 일반 스마트폰처럼 쓰다가 동영상 감상이나 게임 플레이 등 큰 화면이 필요할 때 큰 화면으로 펼쳐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스마트폰이다. 갤럭시 폴드는 화웨이의 폴더블 폰 메이트 X보다 약 70만 원 싼 가격을 경쟁력으로 폴더블 폰 시장을 개척할 것으로 예상돼 왔다. 그런데 지난 4월 17일, 외국의 CNBC 기자 Steve Kovach이 갤럭시 폴드가 하루 만에 고장을 일으킨 모습을 트위터에 올려 화제가 되었다. 영상에 따르면 삼성에서 제공받은 지 단 하루 밖에 안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화면의 반이 망가져 실사용이 불가능한 수준을 보여 갤럭시 폴드의 내구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네티즌들의 문제 제기에 삼성은 갤럭시 폴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스크린 보호막을 뜯은 기자의 잘못으로 갤럭시 폴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혀 혼란을 빚고 있다. 삼성에서 말하는 스크린 보호막은 기존에 스마트폰에 부착해 쓰는 강화 필름이 아닌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로 복합 폴리머 소재로 만들어 떼면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에 큰 지장이 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고장이 날 수 있다고 핸드폰 겉 비닐에 적어 놓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고문이 쓰여 있지 않은 기기를 몇몇 기자들이 받았고, 이 스크린 보호막은 기존에 스마트폰에 부착해 쓰는 보호필름과 모양새가 똑같아 실사용자들이 오해해 뜯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삼성은 필름 관련 주의사항 안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필름을 뜯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의 힌지, 접히는 부분에서 이물질이 화면에 튀어나오는 사진이 올라와 더욱더 갤럭시 폴드의 내구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었다. 결국 4월 23일 삼성은 자사 뉴스룸 홈페이지를 통해 갤럭시 폴드 출시를 잠정 연기한다고 밝혔다. 삼성에서는 회수한 기기를 통해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디스플레이 손상 방지 대책을 만들 것으로 밝혔다. 이번 갤럭시 폴드는 폴더블 폰 1세대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삼성의 대처가 앞으로 폴더블폰이 상용화가 될지 안 될지 결정하는 기로일 것 같다. 개인적으로 스마트폰을 쓰다가 유튜브를 볼 때 화면이 작아 불편했던 사용자로서 스마트폰을 접어서 쓸 수 있게 만든 삼성의 연구원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갤럭시 폴드의 내구성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어서 하루빨리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유도희기자(의왕 갈뫼중 2)

[학생칼럼] 동북공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중국은 2002년부터 동북 변경 지방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일련의 연구 작업을 뜻하는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중국은 동북 지역의 정치적 안정과 한반도의 정세 변화에 대응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를 해왔지만, 이 과정에서 고구려사를 중국사로 편입하려는 역사 왜곡이 나타났다. 고구려사가 중국사라는 그들의 주장은 왜곡된 역사이다. 첫째, 고려왕조 성씨가 고구려 왕조와 달라 역사 계승성이 없다라는 주장은 옳지 않다. 왕건이 고려를 건국할 때 국호를 고려라고 한 것은 고구려 계승을 분명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고려가 세워질 초기에 왕건이 만든 훈요 10조, 정계, 계백료서의 내용을 통해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둘째, 고구려가 독립국이 아닌 중국의 지방 정권이다라는 주장은 옳지 않다. 중국은 고구려가 중원 왕조에 조공하고 책봉했으므로 고구려가 중원의 지방 정권이라고 주장하지만, 조공과 책봉은 동아시아의 외교 형식이자 당시 관례일 뿐이다. 이는 고구려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으며 왕이 아니라 황제를 뜻하는 태왕을 칭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중국 주변국은 대부분 중국에 조공을 바쳤기 때문에 고구려가 조공을 바쳤던 것은 대륙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려는 일종의 실리 외교라고밖에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고구려가 멸망한 후 그 주민의 상당수가 중국으로 들어가 한족으로 흡수되었다는 중국의 주장은 옳지 않다. 고구려 멸망 이후 실제로 많은 수의 고구려 유민들이 중국으로 흘러갔지만, 신라로 내려와 한국사 흐름 속에 융합되어 간 경우도 많았고 그 외에 행방은 매우 다양하였다. 중국으로 들어간 유민들은 전쟁 포로의 성격이 강했으며, 이런 전쟁 포로의 수를 가지고 고구려사의 귀속 문제를 논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나라를 잃은 그들이 스스로 택한 길이 무엇이었는가인데, 그들이 고구려인으로서의 자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의 이러한 역사 왜곡을 시도하려는 것은 태평양에 진출하기 편한 동해안 지역을 장악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정부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동북공정을 진행하고 있기에 우리나라도 동북공정에 관해서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갖고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통일된 후 중국의 타깃이 될 간도가 엄연히 우리의 땅이라는 사실과 고구려, 고조선이 한국의 자랑스러운 역사임을 전 세계적으로 알려야 한다. 김규리기자(고양 저동고 2)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