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경기학생 동북아 평화역사 유적지 탐방단의 경기학생대표 33명 가운데 일원으로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연길, 훈춘 등 간도 지역을 방문했다. 글을 쓰기 위해 탐방 자료집을 살펴보니 탐방단의 명칭이 눈에 들어온다. 바로 100년을 거슬러 간도에서 다시 읽는 독립선언서 탐방단. 100년을 거슬러 올라간 이 땅에선 독립을 선었했었다. 독립을 선언하고, 만세를 외치고,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고 있고, 왜 했는지, 어떻게 했는지도 알고 있을 것이다. 독립을 위해, 모두가 함께, 평화로운 방법으로 했다는 것을. 이런 점을 들어 사람들은 100년 전의 일들을 기억한다고 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 지금을 살아가는 사람들 중 31운동을 기억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나는 31운동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다. 배웠기에 알 뿐이지. 100년이 지난 일을 경험했고 기억하는 이가 얼마나 남아있을까. 즉 우리가 31운동을 배운다는 것은 31운동이 기억을 넘어 그 의미와 가치를 기념하는 단계에 와 있다는 것이다. 이번 탐방에서 마주친 여러 유적지들 또한 마찬가지다. 우리는 그곳에서 일어난 일들을 경험하지 못했다. 수없이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 그곳을 찾아 배우고 기념하는 것이고 그것이 이번 탐방의 목적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번 탐방을 떠나며 궁금했던 것이 우리가 갈 유적지들은 지금 어떻게 기념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었는데, 어떤 유적지는 지사들을 반일의사로 기념하고, 어떤 곳은 유적지인지도 모르게 방치돼 있었다.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들이 남긴 의미와 가치는 그저 반일이거나 아예 잊혀질만한 것들이었나. 다시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그들은 잊혀지거나 그저 반일의사가 되어 유적지에 남아 있다. 하지만 따져보면 큰 일도 아니다. 괜찮다. 나는, 우리는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일본을 미워한 것이 아닌 평화를 사랑한 사람들이었다는 것을, 그들이 남긴 의미와 가치는 역사의 인과관계를 타고 우리에게까지 전해졌다는 것을. 결국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는 우리의 몫이다. 이것이 바로 내가 이번 탐방을 통해 배운 것이다.
문성웅 안산 성안고 3학년
꿈꾸는경기교육
문성웅
2019-04-18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