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으로 시작한 우슈가 이제 저의 삶이자 인생의 전부가 되었습니다” 우슈 국가대표 코치를 지내다 현재는 의정부시 우슈협회 전무이사로 재직중인 황춘성 백호관 관장(39). 경기북부 우슈의 메커로 불리는 의정부1동 백호관에서 운동을 시작한지 26년째를 맞고 있는 그의 무술실력은 공인 5단. 지난 95년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제2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곤술부문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한 황관장은 지난 94년 국민체육진흥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한 체육인에게 주어지는 백마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의 손을 거쳐간 제자만도 1천여명. 지역 무술인 사회에서 그의 존재는 가히 국보급이다. 하지만 다른 체육에 비해 사회적 관심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가장 큰 고민이다. 황관장은 그 예로 경기도체전에 우슈종목이 없다는 사실을 꼽는다. “체력증진은 물론 정신수양에 더없이 좋은 우슈를 생활체육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선수들을 양성할 수 있는 공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황관장은 “이를 위해서는 학교 우슈부 창립이 필수적”이라고 힘주어 말한다. “우슈는 힘과 유연성, 속도감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데다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 최대의 장점”이라는 그의 모습에서 진정한 무술인의 자세를 엿볼 수 있었다. /의정부=배성윤기자 sybae@kgib.co.kr
가평읍 사무소(읍장 이덕훈)가 후원자들과 함께 관내 소년소녀가장 및 저소득층 자녀 생일 챙겨주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어 훈훈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덕훈 읍장은 정형선씨(34·가평읍 동일제과 대표)와 박창문씨(36·명동화원 대표), 가평감리교회 여선교회 신도 등 후원자들과 함께 지난 98년부터 가평읍 하색2리 신임순양(18)을 비롯한 소년소녀가장 및 저소득층 자녀 21명의 생일날 부모를 대신해 축하케익과 꽃다발을 전해주는 사랑의 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어 주민들로 부터 칭송을 받고 있다. 이 읍장은 또 지난 2월부터 관내 지체·시각·정신 1급 장애자 25명과 읍사무소 직원간 자매결연을 맺고 도우미 역할을 담당하는 공직자 장애인 도우미제를 실시하고 있어 주민들로부터 칭송을 받고 있다./가평=고창수기자 cskho@kgib.co.kr
국내 최대의 전력용 반도체 생산업체인 페어차일드 코리아 반도체(대표이사 김덕중)가 99년도 외국인 국내투자 기업중 우수기업으로 선정돼 3일 산업자원부 장관으로부터 ‘외국인 투자 기업증’을 수상했다. 산자부가 후원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관, 전년도 외국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사에서 페어차일드 코리아는 고용창출, 수출증대 등 국가 및 지역경제 발전과 환경보호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덕중 대표이사는 “창립이래 노사화합 경영과 고용확대, 2억8천만불에 달하는 수출규모, 세계최고의 초절전형 반도체 등 신제품 개발이 수상요인이 된 것 같다”며 “신제품 개발과 수출증대에 더욱 힘써 세계일류의 전력용 반도체 기업으로 제2의 도약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부천=조정호기자 jhcho@kgib.co.kr
매주 금요일이면 이용객들이 하나 둘씩 빠져나간 김포시 여성회관(관장 김병식)의 닫힌 문틈 사이로 흥겨운 소리가 들려 나온다. 김포여성회관 직원들이 만든 동아리 ‘밝은뜨락 맑은 패’회원들의 장고치는 소리다. 지난해 9월 혼이 담긴 우리의 소리를 배워보자는 취지로 결성돼 현재 관장을 비롯한 13명 전직원이 통진종고 사물놀이패 지도교사인 김현태씨(42)의 지도로 매주 금요일 오후 6시30분부터 1시간가량 7개월째 장고를 배우고 있다. 사물놀이는 장고와 꽹과리, 징, 북으로 이뤄져 있지만 회원들은 아직까지도 장고만 치고 있다. 사물놀이의 기본 장단을 맞출 수 있을 정도로 익히기 위해서다. 이제는 회원 모두 흥을 돋울 수 있는 웃다리 장단정도는 손쉽게 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동아리 모임과 달리 우리 가락 우리의 소리를 배우면서 흥겨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에 대단한 자부심을 갖고 있다. 김병식 관장(46)은 “단순히 동아리 모임으로 시작했지만 장고를 치다보면 어느새 마음이 상쾌하고 홀가분할 정도로 무아지경에 빠져든다”며 “장고를 익힌 후 분야별로 나눠 강습을 받아 사물 연주회도 가져볼 생각”이라고 말했다./김포=권용국기자 ykkwun@kgib.co.kr
“진짜 하고 싶었던 일을 하면서 사람들과 자유로운 세상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일선 학교의 평범한 교사로 이미 언론인을 꿈꾸는 이들의 바이블이 된 ‘이렇게 해야 바로 쓴다 1·2’와 수험생들의 입시책자이자 올바른 글쓰기를 위한 ‘너무나도 쉬운 논술’등의 저자로 더 유명한 부천정보산업고의 한효석 선생(41). 그가 오는 9월1일자로 명퇴를 신청했다. 지난 77년 스물두살때 여주종고에서 처음 교편을 잡은 이후 부천고를 거쳐 부천정보산업고까지 23년동안 사춘기에 접어든 제자들이 과학적이고 자유로운 학습을 통해 열린 마음으로 삶과 사회와 인간을 바라볼 수 있도록 눈과 귀를 맑게 하는데 열정을 쏟아왔던 정든 교단. 그러나 그는 안정된 삶의 터전이자 존경받아온 스승의 길보다 본능적으로 글쟁이의 욕망을 접을 수가 없었다. 출발점은 자신이 진짜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 한선생은 명퇴후 6개월동안 국내외를 여행하면서 충분히 몸과 마음을 충전한 뒤 사회복지관이나 장애인 협회 등에서 참다운 자원봉사를 하고 싶다. 또 최근 작고하신 아버지를 통해 격정의 시대를 살아온 서민들의 생활사와 가족사를 조명할 계획이다. 여기에 교실붕괴로 나타나고 있는 교육현안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pipls.co.kr)를 개설했다. 여기에는 부모자격시험문제, 사람과 사람들, 열린 수업법 등 14개 코너를 마련해 그가 꿈꾸는 이상적인 교육을 마치 인터넷속으로 옮겨놓은 듯한 착각이 들도록 만들었다.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것은 사람입니다” ‘한사람의 열걸음보다 열사람의 한걸음’을 준비하는 그는 지금부터가 시작이라며 담담해한다. /부천=조정호기자 jhcho@kgib.co.kr
하루 24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바쁘게 사는 초등학교 교사 오창길씨(32·환경을 생각하는 인천교사모임 대표)와 동료교사들이 일을 냈다. 오교사는 동료교사 26명과 함께 지난달 12일 인터넷에 환경관련 홈페이지(http://myhome.dreamx.net/jwgo)를 개설했다. 하루평균 접속건수 200건에 최근까지 이 사이트를 다녀간 방문객만도 1천642명으로 갈수록 네티즌들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지난 91년부터 방학때 환경문제를 걱정하는 동료교사들끼리 모이다 환경운동도 아날로그시대에서 디지털시대로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 95년 부산에서 전국모임이 결성됐습니다” 오교사의 설명이다. 이들이 개설한 홈페이지를 열면 황토색 바탕화면에 지금은 멸종 위기에 놓인 애기똥풀이 방문객을 맞이하고 일선교사들의 환경에 대한 걱정거리들이 일목요연하게 펼쳐진다. 오교사는 “홈페이지가 개설됐으니 이제 더 열심히 환경문제를 고민해야죠”라며 환하게 웃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인천지방중소기업청은 제3회 중소기업상 수상자로 유병섭씨 등 3명을 선정 발표했다. ▲우수중소벤처기업상=유병섭 대산압연 대표:와이어 글라이딩(정밀 커팅기계) 장치의 품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샹시키며 97년 100만불, 99년 275만불을 수출했으며, 올 수출목표를 600만불로 잡는등 해외시장 개척에 앞장서고 있다. ▲수출유망중소기업상=홍원태 성산산업 대표:전기밥솥의 최첨단 부품인 IH형 내부용기를 개발, 생산품 전량을 일본의 5대 가전사에 수출하고 있다. ▲경영혁신상=신영락 유테크정보통신㈜ 대표:지난해 12월 ISO 9002를 인정 받았으며, 안정적 수신감도를 전해주는 900MHZ 고속 무선호출기를 개발해 지난 한햇동안 275만불의 수출실적을 올렸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농업·농촌발전을 위해 35년간 농촌지도에 헌신한 류지웅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이 지난달 31일 명예퇴임했다. 류 원장은 고려대 농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65년 시흥군 농촌지도소에서 농촌지도공직을 시작, 화성과 파주농촌지도소 소장과 도농업기술원 지도국장을 거쳐 98년부터 원장으로 재직했다. 류 원장은 농촌진흥사업 초창기부터 퇴임하는 날까지 주곡자급 달성을 위한 녹색혁명 성취와 농업개방화에 대응하는 첨단농업기술 개발 보급, 급변하는 농업여건을 슬기롭게 극복하는데 헌신적으로 공헌해 농업인과 직장 선·후배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특히 IMF로 어려움에 처해 있던 99년 주곡의 안정다수확 기술보급으로 300평당 쌀502㎏을 생산, 정부로부터 경기도가 쌀 생산 최우수도로 선정되는데 기여했다. 류 원장은 그동안 국무총리 표창, 근정포장 등을 수상했다. 류지웅 원장은 명예퇴임식장에서 “새로운 2천년 지식기반 경제시대를 맞아 전 농촌지도공무원이 농업기술을 개발 보급하는데 앞장서고 벤처 농업육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농업인이 농업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황교선 고양시장은 지난달 30일 한미협력협회의 초청을 받아 의정부 레드 클라우드 미군기지에서 개최된 한미협력협회 창립모임에 참석했다. 황시장은 이날 사교 모임시간에 주한미군 장성들에게 꽃박람회 기념배지를 일일이 달아주었으며 만찬에서는 특별연설을 통해 오는 26일 개막되는 꽃박람회의 우수성을 적극 홍보했다. 이에 슈워츠 사령관과 디즈 미 2사단장은 꽃박람회 일정을 자세히 물어보는등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개막 행사에 반드시 참석하겠다고 약속했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교육행정직 ▲1001 정연섭 ▲1003황희선 ▲1010 황미라 ▲1011 우효민 ▲1017 이태균 ▲1019 정재승 ▲1028 박영옥 ▲1031 전혜정 ▲1044 윤영진 ▲1048 허진 ▲1055 권오연 ▲1066 김상인 ▲1076 정은경 ▲1088 이송희 ▲1101 김근호 ▲1116 신현정 ▲1129 전진영 ▲1130 강수정 ▲1138 박신애 ▲1139 신지인 ▲1145 박주연 ▲1154 이정숙 ▲1156 엄주현 ▲ 1162 이화선 ▲1164 김희정 ▲1167 이승경 ▲1174 임현택 ▲1185 정은정 ▲1191 최경호 ▲1194 임경성 ▲1202 하정희 ▲1205 이혜경 ▲1213 김숙현 ▲1214 이대호 ▲1220 박상경 ▲1224 강주성 ▲1232 유은숙 ▲1233 김현아 ▲1255 주은희 ▲1271 한의석 ▲1283 강병무 ▲1293 곽현주 ▲1296 김현숙 ▲1300 황성혜 ▲1312 이정렬 ▲1323 이국희 ▲1329 나선수 ▲1331 김정희 ▲1341 조성은 ▲1344 이향미 ▲1348 이효심 ▲1350 임대혁 ▲1359 김지정 ▲1361 김미성 ▲1367 박금순 ▲1373 민성기 ▲1374 김은선 ▲1378 김지영 ▲1391 장은경 ▲1392 박문선 ▲1399 박순희 ▲1400 김진선 ▲1401 이현정 ▲1417 남지혜▲1423 한현정 ▲1424 김영진 ▲1428 김은하 ▲1430 박선화 ▲1433 이정모 ▲1448 박송화 ▲1451 이봉주 ▲1458 왕준미 ▲1466 정은희 ▲1480 양희영 ▲1481 석정혜 ▲1482 신영주 ▲1527 성혜란 ▲1530 문지선 ▲1533 최혜미 ▲1541 정은영 ▲1542 이기정 ▲1548 이양식 ▲1568 신원선 ▲1592 이현숙 ▲1604 조민경 ▲1613 오광택 ▲1634 김성천 ▲1639 안미연 ▲1652 김소영 ▲1686 신완이 ▲1709 조선경 ▲1771 현지혜 ▲1784 윤영준 ▲1794 권윤희 ▲1806 강근복 ▲1823 제정순 ▲1840 최경심 ▲1864 이오현 ▲1866 박희대 ▲1868 이은주 ▲1909 조세영 ▲1919 유주형 ▲1925 강주희 ▲1934 김한나 ▲1938 황보경 ▲1943 민상철 ▲1965 이남희 ▲1971 김정애 ▲1983 박형문 ▲1985 황미애 ▲2025 김응수 ▲2040 이인숙 ▲2043 오근정 ▲2079 박현정 ◇사무보조직 ▲5507 유신애 ▲5510 노선 ▲5513 김민준 ▲6014 장현숙 ▲6016 황미영 ▲6031 최수연 ▲6048 김주영 ▲6050 이선희 ▲6053 복정자 ▲6054 김선주 ▲6059 채경국 ▲6073 심미섭 ▲6076 신영희 ▲6081 권현지 ▲6087 서진옥 ▲6091 최경희 ▲6100 최영희 ▲6109 신광식 ▲6115 김지연 ▲6126 양경자 ▲6130 유정순 ▲6133 이필성 ▲6135 양성호 ▲6138 최주윤 ▲6142 이연주 ▲6144 이성미 ▲6160 김순화 ▲6165 홍혜경 ▲6166 금경아 ▲6175 임희정 ▲6186 이정옥 ▲6212 이은주 ▲6213 서정임 ▲6214 윤홍미 ▲6215 박혜경 ▲6223 이미정 ▲6228 이희정 ▲6232 한영미 ▲6236 유지현 ▲6241 정난이 ▲6243 김신애 ▲6265 장희영 ▲6266 김경란 ▲6268 권영미 ▲6281 박정미 ▲6290 최정애 ▲6291 이지연 ▲6303 이선영 ▲6307 최은정 ▲6332 김동훈 ▲6334 김순복 ▲6338 구혜진 ▲6343 이희은 ▲6363 천진혜 ▲6372 김영 ▲6380 윤성자 ▲6396 이태화 ▲6402 정지영 ▲6435 장영선 ▲6438 위상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