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채로운 보석으로 채운 자우림 새앨범>

7집 '루비ㆍ사파이어ㆍ다이아몬드' 발매 (서울=연합뉴스) 혼성그룹 자우림(이선규, 김진만, 구태훈, 김윤아)의 7집 '루비ㆍ사파이어ㆍ다이아몬드'는 다른 감독이 연출한 여러 편의 뮤지컬 사운드 트랙처럼 곡마다 개성이 뚜렷하다. 빅밴드가 흥겹게 꿍꽝거리다가, 때론 전자 사운드와 충돌하고, 이선규의 기타가 '딥'한 소리도 낸다. 다행히 매 편의 주인공인 보컬 김윤아의 카랑카랑한 '여우 음색'이 트랙을 평평하게 고른다. 음반 전체에 자신감이 넘친다. '짝수 음반은 무겁고 홀수 음반은 가볍다'는 '자우림의 저주'가 이번에도 들어맞았다. '오 허니(Oh Honey)'로 밝고 경쾌한 공연이 될 것이란 예고편을 때리더니, 꽤 서정적인 '반딧불'에서 숨을 죽이고, 김윤아의 음색이 1인 다역을 한 타이틀곡 '카니발 아무르(Carnival Amour)'에선 재기발랄 통통 튄다. 긴장을 늦추지 않고 '더 데빌(the DEVIL)'에서 록 사운드로 무게감을 준 후 이선규가 보컬로 참여한 '푸어 톰(Poor Tom)'에선 꽤 비장하다. "1997년 데뷔해 자우림이 10년 넘게 간직한 음악의 보석상자를 연 거죠. 딱 열었는데 루비, 사파이어, 다이아몬드처럼 다채롭고 컬러풀한 음악이 나오는 거에요. 자우림이 낼 수 있는 색깔로 가득 찬, 정체성을 찾은 음반이죠."(김윤아) "이제야 한 음반에서 조화로운 음악을 담게 됐어요. 음악적인 자신감을 느끼게 됐죠."(구태훈) 7집이 전작과 다른 점은 네 멤버가 쌓아온 좋은 기억이 처음으로 작업의 재료가 됐다는 점이다. 지금껏 늘 함께 있으니 공유한 기억을 되새김질할 필요성을 못 느꼈다. 2002년 여름 일본 교토의 오랜 전통 여관에서 함께 술을 먹다가 반딧불이 나오는 계곡이 있다는 제보에 산에 오르던 기억('반딧불'), 1997년 빵집 여자를 짝사랑했던 이선규를 떠올린 '27', 유년기 비틀스ㆍ듀란듀란ㆍ올리비아 핫세를 좋아했던 20세기의 자신들을 생각하며 '20세기 소년소녀'를 완성했다. 사실 자우림은 그리 친절했던 그룹이 아니다. '이 노래는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란 대중의 눈치를 보거나 걱정하며 작업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의 목표는 자신에게 가장 좋은 음악이었고, 운 좋게도 대중이 받아들여 준 건 꽤 진실했던 덕택이라고 여긴다. 김윤아는 "늘 내 얘기, 생각을 담았지만 솔직히 고백하건대 그렇지 않은 노래가 딱 한 곡 있다"며 "1집의 '일탈'은 다른 사람들이 하고 싶어하는 얘기를 상상해 썼다"고 했다. "데뷔 전 신림동 옥탑방에 모여서 이런 저런 작업을 했어요. 그때 '다른 사람이 들어서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노래, 남을 만족시킬 수 있는 소재가 뭘까, 아! 일탈이구나'라고 생각했죠. 그 이후에는 단 한 곡도 없어요. 제가 원하는 것도 뭔지 모르는데 남이 원하는 건 체크할 수 없더라고요."(김윤아) 이들은 6집 이후 1년8개월의 공백기를 거치며 멤버들의 진가를 새삼 느꼈다고 한다. 그 사이 이선규는 김C와 프로젝트 밴드 페퍼민트 클럽으로 음반을 냈고, 김진만은 영화 음악 작업을 했다. 구태훈은 사운드홀릭이란 레이블을 운영하며 슈퍼키드, 벨라마피아 등의 신인 밴드를 양성했다. 김윤아는 아들을 낳고 엄마가 됐다. 8개월 된 아들의 사진을 자랑한 김윤아는 "전에는 내가 가진 에너지의 40%만 사용하면 됐지만 지금은 풀 가동 중"이라며 "임신하고 아기를 낳을 때까지 곡 작업을 했다. '엄마가 되면 내가 변화될까'란 기대를 했는데 정말 더 자유로워진 것 같다. 음악작업이 나에 대한 제한을 해소하는 탈출구랄까"라며 음악인과 생활인의 경계를 잘 넘나든 뿌듯함을 표시했다. 영화 '인디아나 존스4'의 결말을 얘기하자 울상짓는 이선규, '1박2일'에 이선규가 나가면 재미있을 거라며 '깔깔' 대는 김윤아, 인터뷰 도중 김윤아에게 나방이 날아들자 손으로 휘휘 저어주는 구태훈, 일렉트릭 콘트라베이스를 구입했다고 자랑하는 김진만. 제각각이지만 조화를 이루는 멤버들은 7집의 음악과 맞닿아 있다. 지금도 밴드 음악에 입문하려는 이들은 자우림의 음반을 찾아 듣는다. 홍대 클럽 인디밴드는 그곳에서 잉태한 자우림의 성공을 보며 꿈을 키운다. 이것이 자우림이 11년째 음악을 하는 원동력이다. 7월 4-5일 서울 올림픽공원 테니스경기장에서 야외 공연을 펼친다.

<새음반> 닐 다이아몬드 신작 등

(서울=연합뉴스) ▲전 세계에서 1억2천500만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리고 있는 베테랑 싱어송라이터 닐 다이아몬드(Neil Diamond)가 3년 만에 신작 '홈 비포 다크(Home Before Dark)'를 발매했다. 신작은 다이아몬드가 발표한 음반 사상 처음으로 빌보드 음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노익장'이 제대로 발휘된 음반이다. 유명 프로듀서 릭 루빈이 음반 작업에 참여했고, 발매 첫 주에 14만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리는 등 인기를 모았다. 이 음반에서는 딕시 칙스의 멤버 나탈리 메인스와 함께 부른 '어너더 데이 댓 타임 포갓(Another Day That Time Forgot)'이 눈에 띈다. 삶에 대한 찬사를 담은 '프리티 어메이징 그레이스(Pretty Amazing Grace)'와 생동감 넘치는 선율의 '이프 아이 돈트 시 유 어게인(If I Don't See You Again)' 등 12곡을 담았다. 1962년부터 음반 녹음을 시작한 다이아몬드는 '스위트 캐럴라인(Sweet Caroline)', '송 성 블루(Song Sung Blue)', '비(Be)' 등을 히트시켰다. 7월부터 북미지역 37개 도시를 도는 투어를 펼칠 계획이다. ▲전설적인 록그룹 라디오헤드(Radiohead)가 데뷔 후 처음으로 베스트 음반 '더 베스트 오브(The Best Of)'를 발표했다. 이 베스트 음반은 수록곡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발매됐다. '크립(Creep)', '카마 폴리스(Karma Police)', '파라노이드 안드로이드(Paranoid Android)' 등 16곡이 수록된 일반 버전(CD 한 장), 여기에 13곡을 추가한 스페셜 에디션(CD 두 장), 총 29곡이 수록된 4장 짜리 LP세트, 21곡의 뮤직비디오가 수록된 DVD 등 다양한 형태로 발매됐다. 1993년 '크립'이 수록된 데뷔음반 '파블로 허니(Pablo Honey)'를 발표한 이들은 이후 15년 넘게 록 음악계를 이끌고 있다. 'OK 컴퓨터(OK Computer)', '더 벤즈(The Bends)' 등 발표하는 음반마다 평단과 대중의 관심을 고루 모으며 전 세계적으로 2천5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 (사진설명=닐 다이아몬드의 신작 '홈 비포 다크' 표지<<소니비엠지뮤직 제공>>)

<원더걸스를 둘러싼 소문의 진실은?>

(연합뉴스) 연예계에서는 인기가 오를 수록 이런저런 말들이 따르는 법. 세번째 프로젝트 음반 '소 핫(So Hot)'으로 컴백한 그룹 원더걸스를 둘러싼 궁금증들을 직설적으로 물었다. 멤버들은 열애설, 표절설 등의 루머도 대중의 관심을 받지 못하면 생기지 않는 법이라며 꽤 의젓하게 대답했다. --소희는 소문처럼 '왕따'인가. ▲멤버 모두 웃고있고 나 혼자 무표정한 영상을 편집해 올리는 분들이 있었다. 정말 '왕따' 아니다.(소희) 요즘은 나와 선예가 사이가 안 좋다더라. 동갑내기인데 나는 올해 대학에 진학했고 선예는 대학에 떨어진게 이유란다. 또 둘이 무대 배치 상 떨어져 있는 것도 그때문이라더라. 하하.(예은) --커플링을 끼는 사이라고 소문난 선예와 수영선수 박태환은 어떤 사이인가. ▲태환이와 MBC TV '행복주식회사-만원의 행복' 촬영 때 함께 출연하며 친해졌다. 게다가 태환이는 나, 예은, 선미와 함께 같은 교회를 다녀 가끔 식사도 한다. 그런데 열애설은 나와만 나더라. 반지는 내가 아빠에게 받은 생일 선물인데 평소 물건을 잘 잃어버려 특별한 콘셉트의 의상이 아닐 경우 끼고 다닌다. 또 '소 핫'이 공개되기 전 태환이의 미니홈피에 노래 제목이 미리 올라온 건 가끔 보니 자연스럽게 알려준 것이다. 우리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태환이가 올린 것 같다. --'소 핫'과 유리스믹스의 '스위트 드림스(Sweet Dreams)'가 비슷하다는 일부 의견도 있는데. ▲'소 핫' 같은 노래는 같은 코드의 반복이 특징이다. 그래서 중독성이 있는 것이고. 특히 요즘은 '원 코드' 진행의 곡이 많은데 그런 이유로 표절을 거론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예은) 사실이 아님에도 이슈가 되는 건 관심으로 받아들이고 싶다.(선예)

원더걸스 "'21세기 공주병' 전염시킬래요"

(연합뉴스) "'공주는 외로워' 이후 최고의 노래래요."(멤버들) '니가 날 사랑한다니 어머나 다시 한번 말해봐~'라며 '텔 미(Tell Me)'를 외치던 소녀들. 팬들의 사랑이 지나쳤던 걸까. 5인조 여성그룹 원더걸스가 3일 발매한 세번째 프로젝트 음반 '소 핫(So Hot)'은 전국 여성들에게 이제는 '21세기 공주병'을 전염시킬 태세다. '아임 소 핫(I'm so hot) 난 너무 예뻐요/ 아임 소 파인(I'm so fine) 난 너무 매력있어/ 아임 소 쿨(I'm so cool) 난 너무 멋져~ '. 원더걸스가 변신 단추를 눌러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며 한층 진화했다. '뽀글이' 퍼머에 원색 액세서리, 1980년대 마네킹 차림으로 '레트로' 열풍을 이끌던 이들은 미래지향적인 표범무늬 의상으로 갈아입었다. '텔 미'의 '팔찌춤'은 '소 핫'의 '브이(V)라인 춤'으로 바뀌었다. '텔 미'가 국민가요로 부상할 때 가요계에서는 우려의 시각이 컸다. 프로듀서 박진영의 노래 한곡 으로 '국민 여동생'으로 떴지만 후속 히트작이 나오지 않으면 가파른 하향곡선을 탈 수도 있다는 우려였다. 그러나 기우(杞憂)였다. 지난달 말 온라인에서 미리 공개된 '소 핫'은 그날로 각종 온라인 차트 1위를 휩쓸었다. "어린 나이에 사랑받으니 감당하기 힘들 때도 있었어요. 하지만 우리가 무대에서 즐기고 사람들도 함께 신나면 된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졌죠."(선미) 쉬운 멜로디, 재미있는 춤 덕택에 일반인들이 UCC 동영상으로도 제작해 순식간에 퍼진 '텔 미'처럼 '소 핫'을 쉽게 배우고 맛있게 부르는 비법을 들어봤다. "자아도취예요. '철판' 깔고 '나만 보니 얘들아, 내가 그렇게 예쁘니'라는 생각을 해야하죠. 녹음할 때 작곡가가 '선미야, 남자들이 너만 본다고 생각해라'고 하셨어요. 마이크 잡고 3분만 공주병에 걸리면 되요."(선미) "노래를 부른다기보다 말한다고 생각하세요. 예를들면 '아~ 이거 진짜 맛있어'라고 말할 때 멜로디를 살짝 싣는 느낌이죠."(선예) 핑크, 오렌지 등 톡톡 튀는 컬러 립스틱을 바르고 마주앉은 멤버들은 그 사이 중학생 소희(창문여고), 선미(청담고)는 고등학생, 고등학생 예은(경희대 포스트모던음악과)은 대학생이 됐다. 선예는 올해 다시 입시에 도전할 생각이고, 대학생인 유빈은 성년을 맞았다. 유빈이는 5㎏이나 체중감량을 했고, 선미는 키가 2㎝ 더 컸다. '수면의 과학' 등 미셸 공드리 감독 영화의 팬이라는 소희는 "여고인 덕택에 나에 대한 관심은 학기 초에만 잠깐 있었을 뿐 친구들과 편안하게 지낸다. 활동 때면 수업을 빠져 성적이 좋지 않을 때 속상하다"며 수줍게 웃었다. 학구열에 불타는 예은이는 학과 친구들과의 합주를 위해 자정까지 또래들과 섞이곤 한다. 신세대의 아이콘이 되다보니 말과 행동에도 책임감을 느낀다고 한다. "또래들은 좋아하는 아이돌 가수의 모든 것을 닮고 싶어해요. 만약 우리가 그중 하나라면 항상 좋은 영향을 주고 모범이 되려고 노력해요."(선예) 박진영은 나이 어린 멤버들이 갑작스럽게 바뀐 생활과 과부하가 걸린 스케줄에 혼란스럽지 않도록 공백기 동안 마음을 정리할 시간을 줬다. 2월 중순~3월 초 MTV 코리아 '원더걸스 시즌 3' 촬영 겸 박진영의 미국 공연 게스트로 원더걸스를 동반한 것. 멤버들은 미국 방문에서 자신감을 얻었다고 했다. "미국에서 아시안계 걸그룹이 인기를 끈 적이 없고, 요즘은 현지 걸그룹도 드물어 아시안계가 진출하기 좋은 상황이래요."(예은) 선예는 리더답게 "미국행을 통해 네 멤버들의 소중함을 새삼 느꼈다"며 "예은, 선미, 소희에 대해 몰랐던 점을 새로 알게 되자 미안했다. 현아가 나간 후 들어온 유빈 언니를 만난 건 정말 행운"이라고 팀워크를 자랑했다.

조영남, 예술의전당서 데뷔 40주년 독창회

(연합뉴스) 커다란 뿔테 안경을 쓰고도 바퀴 달린 신발 힐리스가 잘 어울리는 중년. 화개장터를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장터로 만든 사람. 화가 겸 가수 조영남이 8월1일 오후 8시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데뷔 40주년 기념 '2008 조영남 독창회-40년 만의 귀향'를 개최한다. 조용필이 예술의전당 오페라홀에서 여러 차례 공연했지만 대중가수가 클래식 공연장인 콘서트홀에서 단독 공연을 여는 것은 처음이다. '40년 만의 귀향'이란 타이틀을 붙인 것은 그가 서울대 음대 성악과에 다니던 시절로 돌아간다는 의미. 1945년 황해도에서 해방둥이로 태어난 그는 1964년 서울대에 입학했고 1966년 등록금을 벌기 위해 당시 젊은이들의 문화를 이끈 음악다방 '쎄시봉'에서 처음 노래했다. 정식 가수 데뷔는 '딜라일라'를 발표한 1969년이다. 그는 이번 무대에서 대학시절 부른 푸치니 오페라 '토스카' 중 '별은 빛나건만' 등의 오페라 아리아와 '오 솔레미오' 등 대표적인 이탈리아 가곡을 선사한다. 반주는 70인조 모스틀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맡는다. 이 무대를 축하하기 위해 당초 조영남의 친동생인 테너 조영수 교수(부산대)가 함께 할 예정이었으나 평소 친분이 두터운 바리톤 김동규가 함께 공연하기로 했다.

배틀 "한국의 뉴키즈온더블록 꿈꾼다"

(연합뉴스) 6인조에서 5인조로 새단장한 남성그룹 배틀이 10일 세번째 싱글 '스텝 바이 스텝(Step By Step)'을 발매한다. '한국의 뉴키즈온더블록(New Kids On The Block)'이 되겠다는 각오로 작업해 1년 여 만에 발표하는 음반에는 '빅 체인지'(Big Change)', '스텝 바이 스텝(Step by Step)', '러브 유(Luv U)' 등 인트로를 포함해 총 세곡이 수록됐다. 뉴키즈온더블록은 1980~90년대 선풍적인 인기를 끈 미국의 아이돌 그룹으로 올해 14년 만에 재결합해 화제다. '스텝 바이 스텝'은 이들의 최고 히트곡 제목. 배틀의 타이틀곡 '스텝 바이 스텝'은 복고풍의 디스코 리듬과 일렉트로니카 장르를 혼합해 중독성 있는 곡으로 완성됐다. 지난달 29~30일 케이블 채널 음악 프로그램의 비방송용 무대에서 공연된 후 관객들이 배틀의 변신에 대해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3일 소속사 굿엔터테인먼트는 설명했다. 인트로곡 '빅 체인지'는 강렬한 힙합 비트가 인상적이며, '러브 유'는 부드러운 보컬과 파워풀한 랩이 조화를 이룬 일렉트로닉 사운드곡이다. 소속사는 "뉴키즈온더블록을 롤 모델로 삼아 복고풍의 디스코 리듬을 접목시킨 음악, 현란한 스텝의 셔플 댄스('발을 질질 끌다'라는 뜻으로 문워크와 토끼춤이 기본)를 선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텝 바이 스텝'의 뮤직비디오는 6일 공식 홈페이지(www.goodenter.com/battle)를 통해 처음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