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영종2지구 갯벌 매립 찬반 논란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영종지구의 사실상 마지막 개발지인 영종2지구 갯벌 매립을 놓고 인천경제청과 인천 환경단체들이 대립하고 있다. 4차 산업 혁명에 걸맞는 신성장 산업 유치를 위한 용지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과 오랫동안 유지된 천혜의 갯벌을 보전해야 한다는 입장이 엇갈리면서 최종 판단에 나설 정부의 입장이 어떻게 될지 지역사회의 관심이 쏠리게 됐다. 영종지구 개발사업을 이끌 마지막 개발지다 인천경제청은 영종도 동측과 영종도준설토투기장 사이 갯벌을 매립해 개발하는 영종2지구 계획을 추진 중이다. 최근까지 개발계획안에 대한 부서 협의를 거쳐 조만간 산업통상자원부에 영종2지구 개발계획 결정(변경) 신청을 제출할 예정이다.해당 부지는 영종지구의 사실상 마지막 개발 가능 토지로,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장 등 항공수요 급증에 대비한 항공정비(MRO) 관련 사업 유치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4차산업혁명 관련 신사업 유치를 위한 앵커시설 유치가 계획됐다.인천경제청은 지난 2003년 국내 1호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당시 영종하늘도시, 미단시티 개발사업 등을 먼저 실시하는 등 순차적으로 사업이 진행됐기 때문에 올해 영종2지구 사업에 착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지난 2013년 수립한 ‘제1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상 영종지구 개발기한이 오는 2022년 끝나는 점도 사업을 서두르게 하고 있다.인천항 항로·수심을 위한 준설이 계속되는 점도 사업 추진의 불가피성으로 꼽는다. 한강 하구지역으로 지속적으로 퇴적물이 쌓여 준설토투기장이 운영되야 하는데, 정부가 개발하는 것 보다 지역사회 의견을 수렴하는 인천경제청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인천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지역 환경단체 등 의견수렴을 통해 일부 부지를 보전하는 등 지역 친화적인 개발계획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인천갯벌생태계를 지켜야 한다 인천지역 환경단체들은 갯벌매립은 인천경제청의 토지매각 수입 확보를 위한 불필요한 처사라며 정면 반박에 나섰다. 오는 2022년이면 조성 중인 송도 11공구 토지매각이 완료될 예정이다보니 신규 토지 확보를 위한 개발사업 지속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특히 영종2지구 갯벌은, 인천 갯벌 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이를 매립할 경우 영종도 동측갯벌 및 강화 남단 갯벌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이곳은 세계적인 멸종위기조류인 알락꼬리마도요, 도요물떼새 등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 환경파괴 논란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이에 환경단체들은 환경부와 해수부, 산자부 등을 찾아 영종2지구 갯벌 매립사업에 대한 반대입장을 지속적으로 피력할 계획이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정부 기관의 심의가 있을때 마다 갯벌 보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각종 행동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이런 가운데 영종2지구 갯벌매립사업은 현재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수립 과정에 있으며, 이후 검토과정을 거쳐 환경영향평가서 심의 등의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정부 부처가 인천지역사회에서 대립하고 있는 찬반 논란을 딛고 어떤 심의 결과를 낼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글_양광범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ISSUE] 경제청, 송도 11공구 ‘바이오클러스터 확대’ 발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현재 매립 중인 송도11공구에 바이오클러스터를 대거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현재 송도지식정보단지(송도 4·5·7공구)와 거의 비슷한 규모의 바이오허브를 추가로 조성해 송도를 세계적인 바이오 분야 산학연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경제청의 계획이다. 그러나 송도 11공구 부지제공을 둘러싼 특혜논란이 여전한데다, 기존 주거용지의 용도변경 여파로 천문학적인 행·재정적 손실이 예상돼 이 같은 경제청의 구상의 실현 가능성은 아직 미지수다. 생명탐구 열정이 이뤄낸 결과, 송도 글로벌 바이오허브 조성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세계적 바이오분야 기업이 둥지를 튼 송도국제도시는 이미 세계적인 바이오 허브로 꼽힌다.바이오단지로 송도지식정보단지 내 약 91만㎡(지난해 기준) 부지에 바이오의약·메디컬·헬스케어 분야 연구개발 및 생산·서비스기업과 관련분야 지원인프라가 클러스터처럼 들어선 송도는 연간 약 56만ℓ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단일도시 기준 세계 치대규모 생산역량을 이미 확보하고 있다.인천경제청은 여기에 더해 현재 매립공사가 진행 중인 송도11공구 내 99만㎡ 부지에 바이오 클러스터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이곳에 바이오분야 연구개발 및 상업화가 가능한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특히 바이오분야 스타트업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각종 지원시설·주요설비를 구축해 바이오 공정 인력양성 시스템을 새로이 구축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다.지난달 1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송도 글로벌 바이오 허브 조성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구상을 제시한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바이오산업은 오랜 인류의 생명탐구 열정이 이뤄낸 결과”라며 “송도국제도시를 센프란시스코와 싱가포르 등 해외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를 능가하는 최고의 바이오허브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꺼지지 않는 특혜논란, 부지 용도변경은 ‘숙제’송도11공구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은 오랜 특혜논란을 규명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지난 2006년 인천시와 송도캠퍼스 조성 기본협약, 2010년 송도세브란스 건립협약 등을 차례로 맺은 연세대학교가 도마 위에 올랐다.협약을 1·2단계로 맺은 가운데 1단계 사업인 캠퍼스 조성 완료, 송도세브란스 건립 등 협약을 이행하지 않았음에도 오히려 2단계 사업인 송도 11공구 부지를 조성원가에 추가 공급한다는 이유에서다.경제청과 연세대 측은 협약에 1·2단계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문구가 없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현재 송도11공구 부지가 공급보다 수요를 초과하고 있어 일부기관 특혜라는 논란은 여전하다.애초 지정된 송도11공구 내 주거용지 용도변경도 숙제다. 경제청은 인천시와 이 문제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개발계획 변경에 따른 행정절차와 1조9천억원에 이르는 손실을 어떻게 보전할 것인지 결정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행정절차와 재정조정에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조만간 가시적인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글_양광범기자 사진_경기일보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