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혜의 갯벌 유지·보전 해야” vs “新성장 산업 유치 용지 필요”
영종지구 개발사업을 이끌 마지막 개발지다
인천경제청은 영종도 동측과 영종도준설토투기장 사이 갯벌을 매립해 개발하는 영종2지구 계획을 추진 중이다. 최근까지 개발계획안에 대한 부서 협의를 거쳐 조만간 산업통상자원부에 영종2지구 개발계획 결정(변경) 신청을 제출할 예정이다.
해당 부지는 영종지구의 사실상 마지막 개발 가능 토지로,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장 등 항공수요 급증에 대비한 항공정비(MRO) 관련 사업 유치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4차산업혁명 관련 신사업 유치를 위한 앵커시설 유치가 계획됐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2003년 국내 1호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당시 영종하늘도시, 미단시티 개발사업 등을 먼저 실시하는 등 순차적으로 사업이 진행됐기 때문에 올해 영종2지구 사업에 착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지난 2013년 수립한 ‘제1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상 영종지구 개발기한이 오는 2022년 끝나는 점도 사업을 서두르게 하고 있다.
인천항 항로·수심을 위한 준설이 계속되는 점도 사업 추진의 불가피성으로 꼽는다. 한강 하구지역으로 지속적으로 퇴적물이 쌓여 준설토투기장이 운영되야 하는데, 정부가 개발하는 것 보다 지역사회 의견을 수렴하는 인천경제청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인천경제청의 한 관계자는 “지역 환경단체 등 의견수렴을 통해 일부 부지를 보전하는 등 지역 친화적인 개발계획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인천지역 환경단체들은 갯벌매립은 인천경제청의 토지매각 수입 확보를 위한 불필요한 처사라며 정면 반박에 나섰다. 오는 2022년이면 조성 중인 송도 11공구 토지매각이 완료될 예정이다보니 신규 토지 확보를 위한 개발사업 지속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특히 영종2지구 갯벌은, 인천 갯벌 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이를 매립할 경우 영종도 동측갯벌 및 강화 남단 갯벌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이곳은 세계적인 멸종위기조류인 알락꼬리마도요, 도요물떼새 등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 환경파괴 논란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환경부와 해수부, 산자부 등을 찾아 영종2지구 갯벌 매립사업에 대한 반대입장을 지속적으로 피력할 계획이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정부 기관의 심의가 있을때 마다 갯벌 보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각종 행동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영종2지구 갯벌매립사업은 현재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수립 과정에 있으며, 이후 검토과정을 거쳐 환경영향평가서 심의 등의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정부 부처가 인천지역사회에서 대립하고 있는 찬반 논란을 딛고 어떤 심의 결과를 낼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글_양광범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