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구글 차세대 스마트폰, LG전자가 만든다… 구글 엔지니어팀 LG 방문

LG전자가 올 하반기 출시될 구글의 레퍼런스 스마트폰을 제작한다. LG전자는 스마트폰 사업에서 구글과 다시 손잡으며 스마트폰 경쟁력 다지기에 나섰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구글의 차기 레퍼런스 스마트폰 넥서스7(가칭)의 제조와 공급을 맡는다. 이달 16일 한국을 방문한 구글 엔지니어들은 LG전자 본사와 공장을 둘러본 뒤, 19일 LG이노텍 광주공장을 방문했다. 이들은 남은 일정 동안 LG 계열사의 다른 공장도 더 둘러볼 예정이다. LG이노텍은 사업부별로 광주와 구미, 오산, 파주 등에 사업소를 두고 있다. 광주 사업소에서는 고성능 광학식 손떨림 보정(OIS) 카메라 모듈, 무선충전 모듈 등 스마트폰 부품이 생산되고 있다. LG전자는 청주사업장을 비롯해 서울 우면서초강남 R&D센터 등을, LG디스플레이는 구미와 파주에 사업소를 두고 있어 구글 엔지니어팀은 추가로 R&D센터나 LG디스플레이 공장을 둘러볼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젝트명 N000으로 명명된 이번 프로젝트는 구글과 LG전자와의 재결합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첫 번째 레퍼런스 스마트폰 넥서스는 대만 HTC가 제작했고 2세대와 3세대인 넥서스S와 갤럭시 넥서스는 삼성전자가 공급했다. 4세대와 5세대인 넥서스4와 넥서스5는 LG전자와 구글이 손을 잡았고 지난해 출시된 넥서스6는 모토로라가 제작공급을 맡았다. LG전자는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를 만들고 있으며, 레퍼런스폰 제작에 두 번이나 참여하는 등 돈독한 협력을 지속해 왔다. 그러나 LG전자가 이달 초 스페인에서 열린 MWC 2015에서 자체 OS를 탑재한 LG 워치 어베인을 내놓으며 탈(脫) 구글 조짐을 보이자, 일각에서는 차기 구글 레퍼런스폰을 중국 화웨이가 맡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구글 본사가 한국에서 직접 실무 협의에 나선 만큼, LG전자는 구글의 차기 레퍼런스폰을 단독으로 제작, 공급할 것이 확실시된다. 특히 지난해 11월 LG전자와 구글이 기존 특허와 오는 2023년까지 출원하는 특허 모두를 포함하는 포괄적 특허공유 계약을 맺은 만큼 양사는 앞으로 스마트폰을 포함한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LG 관계자는 구글 레퍼런스폰 제작 및 엔지니어팀 방문은 확인해 줄 수 없는 사안이라며 LG 사업장과 공장에는 고객사와 협력업체 등이 수시로 방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레퍼런스폰(reference phone)= 구글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스마트폰의 표준이 되는 제품. 구글은 다양한 스마트폰업체에 운영체제(OS)를 공급하는 만큼 타 기업들이 참고할 수 있는 기준 제품이 필요하다. 매년 구글은 주요 스마트폰 업체 중 한 곳을 선정해 안드로이드 OS의 신버전을 가장 먼저 적용하는 레퍼런스폰을 만든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단독] 삼성 ‘갤럭시S6ㆍ엣지’ 4월 1일 국내 예판 돌입… 이달 23일 체험행사

삼성전자가 다음달 1일 새로운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6, 갤럭시s6 엣지의 국내 예약판매에 돌입한다. 17일 이동통신사 등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달 1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로셀로나 삼성 모바일 언팩 2015에서 공개한 신제품 갤럭시S6엣지에 대한 예약판매에 들어간다. 갤럭시S6엣지 글로벌 공식 출시일은 4월 10일로,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버라이즌을 비롯해 영국, 스위스, 네덜란드, 이탈리아는 이미 예약판매에 돌입했다. 버라이즌과 이탈리아는 각각 다음달 1일과 16일부터 예약판매를 시작한다. 아울러 예약판매 전 이달 23일부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 주요 대리점과 삼성 모바일스토어에서는 일반 소비자 대상 체험 행사가 진행된다. 모바일스토어 지역별, 대리점별 체험 행사 시작일에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다음주부터 소비자들은 이통사 대리점과 모바일스토어에 마련된 체험존에서 공식 출시 전 갤럭시S6엣지를 미리 사용해 볼 수 있다. 지난해 갤럭시S5 출시 때부터 시작된 소비자 체험 행사는 같은 해 9월 갤럭시노트4 출시 때에도 진행된 바 있다. 갤럭시S6엣지는 풀 메탈과 글래스, 일체형 배터리, 갤럭시S 시리즈 사상 최대 사양인 전후면 각각 500만 화소, 1600만 화소 카메라가 탑재됐다. 디스플레이는 5.1인치로 전작과 같은 크기지만 QHD(2560X1440) 슈퍼아몰레드(AMOLED)로 화질이 한 단계 향상됐다. 또한 갤럭시S6엣지는 무선충전과 전자결제 기능 등 소비자 편의기능이 한층 강화됐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구입 적기? ‘갤럭시S5 광대역 LTE-A’ “스펙, 가격 따져보니”

갤럭시S5 광대역 LTE-A 구입 적기? 갤럭시S5 광대역 LTE-A 스펙, 가격 따져보니 삼성전자의 갤럭시S6의 국내 출시를 앞두고 이동통신사들이 재고떨이가 이어지면서 갤럭시S5 광대역 LTE-A에 대한 유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갤럭시S5 광대역 LTE-A의 가격이 대폭 인하되면서 스펙 등을 따져 저렴한 가격에 좋은 품질을 구입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과 KT는 최근 삼성전자 갤럭시S 시리즈의 최신 모델인 갤럭시S5 광대역 LTE-A의 출고가를 89만9천800원에서 69만9천600원으로 내렸다. 공시보조금을 유지하고 출고가만 낮춘 KT의 기본 구매가는 58만9600원이다. LG유플러스도 지난 11일 갤럭시S5 광대역 LTE-A의 출고가를 89만9800원에서 69만9600원으로 20만200원 인하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단행된 가장 큰 폭의 출고가 인하다. 출시 후 갤럭시S5 광대역 LTE-A를 사용한 유저 등의 제품평과 제품 사양 등을 종합해 스펙을 따져봤다. 갤럭시S5 광대역 LTE-A는 기존 LTE보다 3배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기존의 갤럭시S시리즈와는 다른 색상의 컬러감을 제공하는 등 폭넓은 대중을 겨냥한 제품이다. 우선 광대역 LTE와 LTE망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LTE보다 3배 빠른 속도를 지원한다. 광대역 LTE-A 속도로 1분 동안 콘텐츠를 내려받으면 1분 동영상(40MB)을 최대 42편, MP3 음악(4MB)을 최대 421곡, E-Book(5MB)을 최대 337권, HD 게임(80MB)을 최대 21개 내려받게 된다. 인터넷 사용시간 3G 최대 9시간이며, 무게는 145G이다. 가장 큰 특징은 갤럭시 스마트폰 시리즈 중 최초로 2560X1440 WQHD 해상도를 구현했다는 점이다. Full HD 대비 가독성이 25% 향상됐으며, S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로 텍스트와 영상의 표현력이 좋다. 생생한 화질 구현은 기존 갤럭시S 시리즈들과 비교해 한 단계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스마트폰 최초로 DSLR에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AF도 탑재됐다. 어떤 장면이든 빠르고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어둠 속에서도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 갤럭시 S5와 외관 상 가장 큰 변화는 컬러감이다. 화이트와 블랙 2종이 아닌 차콜 블랙의 색감을 출시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더했다. 다만, 유저들은 배터리 수명을 아쉬운 부분으로 평가했다. 화면과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배터리 사용시간이 줄어들었다는 것. 업계 관계자는 3월 중에 갤럭시 S5 광대역 LTE-A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의 다른 모델의 출고가와 공시보조금도 변동될 수 있다면서 갤럭시 S6의 출시로 어떤 모델의 기본 구매가가 낮춰지는지 유심히 살펴보고 구입하면 저렴한 가격에 스펙 좋은 제품을 얻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사진=삼성전자갤럭시S5 광대역 LTE-A

속속 예판 들어간 '갤럭시S6'… 판매가는 32GB 83만원선

삼성전자의 최신 주력 스마트폰 갤럭시S6 시리즈가 세계 시장 곳곳에서 출시되며, 본격적인 흥행몰이에 나선다. 예약판매 등을 통해 출고가도 속속 공개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갤럭시S6와 S6 엣지가 미국 4대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 T모바일 등을 통해 다음달 11일 동시 출시될 예정이다. 삼성 현지 관계자들이 현재 지역 유통소매점을 돌며 갤럭시S6 시연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버라이즌은 다음달 1일 갤럭시S6 예약 판매에 들어간다. 이탈리아에서는 이달 16일부터 예약판매를 시작한다. 갤럭시S6엣지는 영국과 스위스 네달란드에 이어 이탈리아에서도 예약판매를 시작한 후 오는 다음달 10일 공식 출시된다. 삼성은 이탈리아 갤럭시S6엣지의 구매자들에게 무선 충전키트를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출고가격은 네덜란드에서 유출된 가격인 32GB 기준 갤럭시S6 700유로(약 83만5000원), S6 엣지 850유로(약 101만4000원) 등이 될 전망이다.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지역 등 아랍지역에서는 갤럭시S6 가격이 싱글 심(SIM)과 듀얼 심, 내장 메모리 용량에 따라 가격이 나뉜다. 듀얼 심 버전은 32GB, 64GB버전으로 출시되며, 갤럭시S6 엣지는 32GB, 64GB 외에 128GB 버전도 출시된다. 먼저 갤럭시S6 싱글 심 32GB 버전 가격은 699~714달러(약 79만~81만원), 64GB 버전은 약 796달러(약 89만원), 듀얼 심 32GB 모델은 726~741달러(약 82만~83만원), 64GB 버전은 806~824달러(약 91만~93만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S6 엣지는 카타르에서 32GBㆍ64GBㆍ128GB 버전 별로 각각 851달러(약 96만원), 933달러(약 105만원), 1043달러(약 117만원)에 각각 판매되며, 바레인에서는 32GB64GB128GB 버전 별로 846달러(약 95만원), 934달러(약 105만원), 1034달러(약 116만원)에 각각 판매된다. 쿠웨이트에서는 833달러(94만원, 32GB), 916달러(103만원, 64GB), 1019달러(115만원, 128GB)에 각각 판매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다음달 10일 한국을 포함한 20개국에서 갤럭시S6를 정식 판매할 계획이다. 국내 모델의 경우 DMB, 전용 콘텐츠 등이 추가될 수 있어 해외 모델 출고가보다 5만원 이상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세계 이동통신사들로부터 2000만대의 갤럭시S6 시리즈 선주문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500만대가 갤럭시S6 엣지 물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영상] '기어 VR'로 4000km 밖에서 아들 출산 지켜본 아빠, 동영상 화제

삼성전자의 가상현실 기기 기어 VR로 4000km 떨어진 곳에서 아들이 태어나는 모습을 지켜본 호주의 아버지의 사연이 소개돼 온라인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삼성전자호주법인은 유튜브의 삼성전자 프로모션 채널인 삼성 라이프라이브 비디오를 통해 6분여짜리 동영상 한 편을 공개했다. 현재 조회수 5만4000건을 넘어서며 화제를 몰고 있다. 이 영상 속 주인공 제이슨 제이시 라크는 호주 퍼슨에서 멀리 떨어진 호주 퀴스랜드에서 일하는 전기 하청업자다. 그는 집과의 거리가 멀어 4주에 한 번 집을 들르곤 하는 탓에 아내 알리슨이 셋째 아들을 출산하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보지 못할 상황에 놓였다. 아내가 출산하게 될 병원은 호주 서부 지역인 웨스트 오스트레일리아 주의 퍼스. 제이슨의 출장지는 이로부터 4000㎞가 떨어진 퀸즈랜드 지역이었다. 아들의 탄생이라는 중요한 순간을 함께할 수 없게 된 부부는 삼성전자의 프로젝트에 신청을 했다. 아들의 출산예정일인 지난달 20일, 분만실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아들이 태어나는 장면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제이슨에게 전해졌다. 제이슨은 퀸즈랜드에서 기어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마치 현장에 있는 것처럼 아내의 출산 장면을 지켜볼 수 있었다. 앞서 삼성전자 터키법인이 청각장애인을 위한 지난해 12월 제작한 몰래카메라 영상도 큰 인기를 끌었던 바 있다. 이 영상은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에 게재된지 열흘 만에 조회수가 710만이 넘었고 26만5000여명이 공유했다. 유튜브에 영문 자막으로 올라온 영상 등을 포함하면 전체 조회수는 860만에 이른다. CNN튜르크와 카날D 등 터키 방송사들도 이 영상을 주요 뉴스로 다뤘고 터키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정부 차원에서 감사패를 수여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기어VR은 지난해 12월 미국 시장에서, 지난달 한국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가격은 24만9000원이다. 오큘러스와의 합작을 통해 만든 삼성전자의 기어VR은 '갤럭시노트4'와 연동해 사용하는 가상현실 헤드셋이다. 머리에 착용하고 가상현실 전용 콘텐츠를 재생하면 갤럭시노트4 QHD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의 선명한 화질을 3D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영상 속 공간에 있는 것 같이 느낄 수 있는 360도 뷰 등 새로운 모바일 경험도 제공한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