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역 ‘좋은 삼촌’ 알고보니… 가출청소년 4명 상습 성폭행

가출청소년들에게 잠자리 등을 제공하겠다고 유인해 수차례 성폭행하거나 강제추행한 40대 남성이 재판에 넘겨졌다. 인천지검 부천지청 형사3부(부장검사 김종형)는 아동청소년의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회사원 A씨(42)를 구속 기소했다고 23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012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부천역 일대에서 알게 된 가출청소년 B양(13) 등 10대 여자 청소년 4명을 자신의 집에서 성폭행하거나 강제추행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A씨는 부천역 일대에서 가출 청소년들에게 술과 담배를 공짜로 주고 자신의 월세 방에서 잠을 재워 줘 부천역 일대 가출청소년들에게 일명 좋은 삼촌으로 불렸다. A씨는 검찰조사에서 오갈 데 없는 애들을 도와준 것이라며 만진 적은 있지만 성관계를 강제로 하지 않았다고 혐의 중 일부를 부인했다. 검찰 관계자는 피의자는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가출 청소년들의 환심을 산 뒤 단칸방으로 유인 후 범행을 저질렀다며 가출청소년들의 집결지에 접근, 선행을 베푸는 것처럼 가장한 성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앞으로도 관련기관, 단체와 긴밀하게 협조해 가해자는 엄벌하겠다고 말했다. 부천=윤승재기자

영종대교 안개 안전시설 뒷북 보강

106중 연쇄추돌사고가 발생한 영종대교의 안전시설 재투자가 거의 없었다는 지적(본보 13일 자 1면)에 따라 인천공항고속도로 운영자인 신공항하이웨이(주)가 안개 관련 안전시설물 보강 계획을 내놨다. 하지만, 사고 초기 안전시설이 충분하다는 입장으로 일관해오던 신공항하이웨이 측이 안개 관련 시설 보강이 없었던 점이 드러나 경찰이 수사에 나서자 뒤늦게 대책을 내놓아 책임 회피용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신공항하이웨이 측은 지난 11일 발생한 106중 연쇄추돌사고를 계기로 안개 발생 시 영종대교 구간의 안전도를 높이기 위한 시설 확충 및 관련 인력과 장비 보강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안개가 자주 끼는 지역임에도 교량 위에 안개등이 한 개도 없다는 지적에 따라 영종대교 4.4㎞ 전 구간에 500개의 안개등을 설치키로 했다. 대형 도로전광판(VMS)도 교량 진입지점 등에 총 4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밖에 교량 진입차단설비 4개, 감속유도형 소형전광판 12개, 기상정보시스템(WIS) 2개, 안개 시정표지 8식, 경광등 5개 등의 안전시설을 조속한 시일 안에 추가 설치키로 했다. 신공항하이웨이는 기존 안전시설물 등도 성능 점검을 통해 교체 시점이 아니더라도 필요에 따라 고광도고해상도고성능 장비로 조기에 교체키로 했으며,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통순찰차량도 1대 늘려 총 6대를 운영하기로 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까지 사고차량의 블랙박스 47개와 운행기록계 25개 등을 확보해 도로교통공단에 분석을 의뢰하는 등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는 등 신공항하이웨이의 안전관리 책임 여부에 대해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대형사고 유사판례 검토와 시설물 안전관리 여부 등 신공항하이웨이의 주의의무 위반에 관한 분석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인천 공기업 ‘빚더미’ 심각… ‘눈덩이 부채’ 재정부실화 가속

인천지역 지방공기업의 최근 5년간 부채 증가액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돼 재정건전성 위기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예산정책처가 내놓은 지방공기업 재무건전성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결산기준) 인천 지방공기업(공사, 공단 등)의 부채 증가액은 3조 5천338억 원, 증가율이 55.9%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지역 3조 5천40억 원, 서울 2조 7천385억 원 등과 비교해 전국에서 가장 많다. 5년 동안 인천 지방공기업의 분야별 부채증감 내역을 보면 상수도는 541억 원 줄어든 반면 하수도는 646억 원, 공영개발(인천경제자유구역 특별회계 등) 2천945억 원, 지역개발기금 355억 원, 인천교통공사 1천79억 원, 인천도시공사 3조 3천579억 원, 지방공단 21억 원이 늘었다. 인천 지방공기업의 2013년 결산기준 부채비율은 114.7%로 2009년보다 16%p 늘었으며 지방자치단체 총 예산대비 지방공기업 부채비율도 127.8%로 17개 광역단체 평균치인 39.6%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2013년 기준으로는 서울 지방공기업의 부채비율이 116.9%로 가장 높고 인천은 114.7%로 2번째다. 그러나 서울 지방공기업의 부채비율이 2009년 127.2%에서 2013년 116.9%로 10.3%p 감소한 것과 달리 인천 지방공기업의 부채비율은 2009년 98.7%에서 2013년 114.7%로 16.0%p 증가했다. 2009~2013년 동안 경영성과를 분석해보면 인천 지방공기업은 1천607억 원 당기순이익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2013년 5천63억 원 당기순이익을 냈을 뿐 인천교통공사 -3천613억 원, 인천도시공사 -2천546억 원, 하수도 -1천1억 원 등 나머지는 대부분 당기순손실이 발생했다. 특히 인천교통공사는 지속적으로 당기순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2009년 -328억 원, 2010년 -506억 원, 2011년 -638억 원, 2012년-1천609억 원, 2013년 -532억 원 등 손실이 났다. 이는 인천도시철도 1호선 송도 6개 역 연장구간 이용자 예측이 어긋나는 등 요금 현실화율이 낮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의 1호선 송도 6개 역 연장구간 예측 이용자 조사 결과에서는 2009년 7만 5천744명, 2014년 9만 8천525명이 이용할 것으로 추산했으나, 실제로는 2009년 2만 509명(27.1%), 2014년(11월 말 기준) 3만 4천217명(34.7%)에 불과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인천의 경우 인천시 예산대비 해당 공기업 부채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월등히 높아 지방공기업 재무건전성 개선이 시급하다며 지방공기업 사업 추진 시 수요예측의 정확도와 예비타당성 조사의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미경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