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제조합 신용평가 문제많다

건설공제조합이 지난 97년 부터 일반건설업체에 대한 신용평가를 해오면서 올해 9월말 현재까지 하도급대금지급보증을 면제받을 수 있는 A등급 업체의 부도수가 무려 20개 업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신용평가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건설교통부가 국민회의 송현섭의원에게 제출한 건교위 국정감사 자료에서 밝혀졌다. 이 자료에 따르면 A등급업체의 부도수는 지난 97년 8개사, 98년 10개사, 99년 9월말 현재 2개사로 모두 20개사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함께 건설공제조합은 A등급 업체수를 해마다 80% 가까이 늘려 97년 142개사, 98년 232개사, 99년 431개사를 지정해 하도급업체들의 피해를 가중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건설공제조합은 또 신용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재무항목을 세무서 제출자료로 재무관리 상태를 파악한데다 신용평가 결과를 철저히 비밀에 부쳐 전문건설업계의 심한 반발을 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대해 송현섭의원은 “올해 부도건설업체 가운데 신용 A, B등급을 받은 업체의 비중이 무려 15.6%에 달해 신용평가 업무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A등급 기준강화 등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전문건설업계는 지난해의 경우 A등급인 나산종합건설 404개사(1천240억원), 기산 500개사(1천억원), 한라그룹 131개사 (307억원), 한보 170개사(939억원), 청구 125개사(493억원), 보성주택 63개사 (210억원), 한신공영 186개사(885억원) 등 7개사의 부도로 인한 피해만도 1천579개 전문업체가 5천74억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표명구기자

서울∼수도권 버스노선 대폭확충

서울∼경기지역을 운행하는 노선 버스 15건이 올해말이나 내년초부터 증차, 노선연장, 신설돼 서울로 출·퇴근이 쉬워진다. 경기도는 14일 서울과 경기지역을 오가는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서울시가 13건의 버스 노선연장 및 신설 등을 협의하자고 통보를 해 왔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통보한 버스노선연장 및 신설안건은 ▲양재역∼성남 분당구간을 다니는 66-1번 버스가 용인 신갈까지 연장 ▲강남역∼성남 분당을 운행하는 909번 좌석버스가 용인 수지, 수원시 경기대 등을 경유하는 노선변경연장 ▲종로5가∼의정부를 다니는 902번 좌석버스는 양주 덕정리까지 연장이다. 또 신설동에서 수색까지 다니는 146번 버스와 을지로∼구산동을 운행하는 72번 좌석버스는 각각 고양시 행신동까지 노선 연장을 협의안건을 통보해 왔다. 특히 강남역에서 용인시 죽전 단국대까지 운행하는 910번 1번 좌석버스를 비롯, 906-1번(잠실∼용인시 강남대), 12-1번(종로5가∼의정부 장암동∼양주군 가남리), 731-1번 좌석(동대문구∼의정부 송산지구)버스 신설을 요구해 왔다. 이와함께 142의 2번(서울역∼수색∼고양시 화정지구)과 청량리∼광릉 수목원간 노선 신설을 협의안건으로 통보해 왔다. 서울시의 버스노선 신설협의는 11월중 개최, 올해말이나 내년 3월사이에 운행될 예정이다. 서울시의 노선협의 신청과 함께 경기도도 성남∼광화문을 운행하는 1005-1번 광역직행버스의 2대 증차와 성남 분당∼강남터미널을 다니는 200-1번 좌석버스의 내곡고속화도로 경유 등을 서울시와 협의해 동의를 얻었다./배성윤기자

태풍피해불구 올해 농사 대풍

올해 2차례에 걸친 태풍피해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내 쌀농사가 지난 87년이래 대풍작을 거뒀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지원장 홍석문)은 지난 10일 도내 520개 표본필지에 대한 쌀예상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59만2천45t(411만1천석)보다 2.5%인 1만4천561t(10만1천석)이 늘어난 60만6천606t(421만2천석)이 생산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14일 밝혔다. 또 1㎡당 포기수는 22.3개, 포기당이삭수는 21.9개, 이삭당 낟알수는 66.5개 등으로 1㎡당 총낟알수가 지난해 3만438개보다 6.7%가 증가한 3만2천477개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10a당 생산량이 지난 87년 414㎏보다 79㎏이 늘어난 493㎏를 기록하는 등 대풍작을 거둘 것으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은 내다봤다. 2차례에 걸친 태풍피해에도 불구하고 올해 쌀농사가 대풍을 거둔 것은 휴경지와 유휴지의 생산화 등으로 벼재배면적이 지난해 12만2천674㏊보다 0.2%가 증가한 12만2천973㏊에 달하고 있고 도가 3포기 더심기 운동을 전개, 10a당 수확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게다가 지난 8·9월 태풍 ‘앤’, ‘바트’의 피해시 쓰러진 벼를 신속히 일으켜 세우고 수확기에 있는 벼는 조기에 수확했는가 하면 벼멸구와 이삭도열병이 지난해보다 10% 수준에 그치는 등 연중 병해충발생이 크게 줄은 것도 대풍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은 “올해 경기도의 쌀생산량이 지난해보다 늘어남에 따라 내년도 쌀가격 및 수급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 농업기술원은 올해와 같이 생식생장기의 태풍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앞으로 숙기별 품종을 안배해 재배토록 하고 수량이 많고 도복에 강하며 미질도 우수한 양질다수성 품종을 확대 보급하며 재해에 대비한 벼재배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정근호·유재명기자

김용환의원 신당창당설에 술렁

자민련 김용환의원의 ‘벤처신당설’에 충청권 및 영남권 의원들이 술렁거리고 있다. 당지도부나 총리실의 무덤덤한 반응과는 달리 갖가지 계산을 통해 자신들의 실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복잡한 계산을 할 수 밖에 없고 결론을 쉽게 도출해낼 수 없는 것은 2여 합당문제와 선거구제 문제 등이 유동적이기 때문. 내년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어느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유리할 것이냐를 따지기 ㅇ전에 먼저 이같은 문제들의 매듭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김의원의 신당에 누가 참여하게 될지, 어느정도가 따라나설지는 아직 아무도 확언할 수 없는 상황이다. 김현욱사무총장은 “충청권의 기본정서가 김종필총리를 중심으로 단합해야 한다ㅡ는 것인 만큼 충청권 의원들의 동요는 것의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힌 것도 아직은‘유동적인 상황’이 의원들을 쉽게 움직이게끔 할 수 없다는 판단때문이다. 충청권의 정일영, 이완구의원 등도 “합당문제가 결론난 것도 아닐 뿐더러 정치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며 김의원의 신당애드벌룬에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합당반대, 소선거구제 지지론자인 이원범의원은 “합당하면 합류하지 않을 충청권 의원들이 많을 것”이라며 김의원의 ‘벤처신당’에 동조하는 세력이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당장 내년 16대 총선에서 충청권 의원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하고, 내각제 유보로 인한 지역민심이 국민회의에 부정적인 만큼 ‘합당’시 합류하는 것은 ‘자살행위’라는 것이다. 이같은 기류는 영남권의원들도 마찬가지. 대체로 중선거구제를 지지하고 있는 이들은 ‘중선거구제가 실제로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오히려 김의원의 벤처신당이 한나라당과의 연대가능할지에 촉가을 곤두세우는 모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