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회 베니스영화제 경쟁작 21편 발표

8월30일(이하 현지시간) 개막하는 제63회 베니스국제영화제의 경쟁부문 초청작 21편이 발표됐다. 아쉽게도 한국영화는 선정되지 못한 가운데, 영화제 사상 최초로 경쟁작 21편 모두가 영화제를 통해 월드 프리미어를 갖게 된다. 한편 류승완 감독의 '짝패'는 비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마르코 뮐러 베니스영화제 집행위원장은 27일 경쟁작 리스트를 발표하며 "21편 모두 베니스에서 처음으로 공개될 것"이라며 "이중 11편은 신예 감독의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올해 경쟁작에서는 유난히 할리우드 스타들의 이름이 눈에 많이 띈다. 흥행을 향한 영화제의 '노력'이 할리우드의 신작들과 궁합을 맞췄다. 우선 애드리언 브로디와 벤 애플렉이 주연한 앨런 쿨터 감독의 '할리우드랜드(Hollywoodland)', 스칼렛 요한슨과 조시 하트넷이 주연한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블랙 달리아(The Black Dahlia)', 클리브 오언과 줄리안 무어, 마이클 케인이 주연한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칠드런 오브 멘(Children of Men)' 등이 눈에 띈다. '블랙 달리아'는 이번 영화제 개막작으로 1940년대 미국 LA에서 실제로 있었던 범죄를 그린 제임스 엘로이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삼았다. 또한 샤론 스톤, 앤서니 홉킨스, 데미 무어 등이 주연한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감독의 '바비(Bobby)'와 헬렌 미렌, 제임스 크롬웰이 주연한 스티븐 프리어 감독의 '더 퀸(The Queen)'도 포함됐다. 이처럼 할리우드의 작품 리스트가 워낙 화려하다보니 얼핏 보면 유럽과 아시아 영화는 구색 맞추기 용도로만 끼워넣은 듯하다. 일본 작품으로는 사토시 곤 감독의 애니메이션 '파프리카(Paprika)'가 진출했고, 네덜란드 출신의 폴 버호벤 감독은 '블랙 북(Zwartboek)'을 들고 베니스를 찾는다. 한국은 경쟁작을 올리지는 못했지만 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박찬욱 감독이 위촉됐다. 박 감독은 지난해 베니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친절한 금자씨'를 진출시켜 미래영화상, 젊은 사자상, 베스트 이노베이션상 등을 수상했다. 비경쟁부문 초청작 목록도 화려하다. 케네스 브레너 감독의 '마술피리(The Magic Flute)',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인랜드 엠파이어(Inland Empire)'를 비롯, 줄리엣 비노시와 닉 놀테가 주연한 산티아고 아미고레나 감독의 '9월의 며칠간(Quelque jours en Septembre)' 등이 비경쟁부문에서 선보인다. 2005년 '주먹이 운다'로 칸 국제영화제 감독주간에 초청됐던 류승완 감독은 '짝패'로 비경쟁부문 중 '미드나잇 섹션'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영화제는 8월30일부터 9월9일까지 이탈리아 베니스(베네치아) 리도 섬에서 열린다. /연합뉴스

김효진 "연기 겸하는 선배 본받고 싶어요"

SBS 새 아침극 '맨발의 사랑'으로 드라마 나들이에 나선 개그우먼 김효진이 "드라마에서 맹활약하는 선배들을 본받고 싶다"며 코미디언의 연기 겸업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김효진은 27일 SBS 일산제작센터에서 열린 드라마 제작발표회에서 "코미디언들이 억지스럽고 과장된 연기를 한다고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선배들이 그런 우려를 불식시켰다"며 "선배들의 활약이 후배 입장에서 부럽게 느껴지고 본받고 싶다. 선배들께 누가 되지 않도록 열심히 연기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코미디언들이 드라마에서 감초 역을 톡톡히 해내는 사례가 늘고 있어요. 연기를 전공한 분도 있고 탄탄한 연기력을 지닌 분들도 많지요. 요즘 예능 프로그램이 버라이어티쇼 위주로 꾸며지면서 맡을 수 있는 역이 한정되다 보니 드라마로 영역을 넓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저는 긍정적이라고 생각해요." 이어 "코미디언에 대한 소명감을 가지고 잘해나가고 싶고 연기자로 전업할 생각은 하지 않지만 비중을 반씩 두면서 연기를 계속하고 싶은 꿈은 있다"면서 "처음 코미디 출연할 때는 가발 쓰고 점 찍는 것이 싫어서 드라마를 하고 싶다고 생각하기도 했다"고 웃었다. 극중에서 강다연(전혜진)의 절친한 친구 나분님으로 등장하는 김효진은 "예전에는 내게 애드리브를 많이 요구해 하다 보면 '오버'하고 전체 드라마에서 사족이 되는 일이 빈번했다"고 털어놓았다. "이번에는 코믹하면서도 주인공과 자매처럼 가깝게 인간적인 정을 나누는 모습을 보여드릴 것"이라며 "애드리브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효진은 그동안 MBC '이브의 모든 것'(2000년)과 '원더풀 라이프'(2005년) 등의 드라마와 '논스톱3' 등의 시트콤에 출연해왔다. /연합뉴스

윌 스미스 부부 "크루즈 딸 수리, 진짜 예뻐"

배우 윌 스미스 부부가 톰 크루즈와 케이티 홈스의 집을 방문, 딸 수리를 보고 왔다고 할리우드닷컴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수리 크루즈를 실제로 본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기사로까지 나는 것은 크루즈-홈스 커플이 수리가 태어난 지 석 달이 지나도록 실물은 물론 사진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기 때문. 타블로이드 신문들은 그래서 수리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는가 하면 심지어 케이티 홈스의 임신도 가짜가 아니냐는 추측을 하기도 했다. 안젤리나 졸리-브래드 피트 커플의 딸 샤일로 누벨과 함께 할리우드에서 가장 관심이 대상이 되고 있는 수리 크루즈의 모습이 베일에 싸여 있는 가운데 이달 초 크루즈의 친구이자 사이언톨로지 신자인 TV스타 레아 레미니가 수리를 직접 봤다고 밝힌 데 이어 이번엔 역시 사이언톨로지 신봉자인 윌 스미스 부부가 크루즈 집에 가서 아기를 봤다고 밝혔다. 윌 스미스의 부인이자 여가수 겸 배우인 핑켓 스미스는 남편과 함께 두 차례 크루즈와 홈스의 베벌리 힐스 자택을 방문해 아기를 보고 왔다고 전했다. 핑켓은 "수리는 내가 지금까지 본 아기 중 가장 사랑스런 아기다. 참 예쁘고 아빠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아름답고 숱이 많은 검은 머리카락을 지녔다"고 말했다. 핑켓은 또 27살 엄마인 케이티 홈스의 육아솜씨에 대해서도 "정말 훌륭한 엄마이며 행복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행복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지난 50년간 세계적으로 경제수준은 크게 높아졌지만 '정말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수는 통계적으로 전혀 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지금 세계는 행복을 가르치고 배우는 데 열중하고 있다. 미국 최고 명문인 하버드대의 올해 최다 수강 강좌는 벤샤하르 교수의 '긍정심리학'이다. 이러한 행복 강좌는 현재 세계적으로 그 수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MBC스페셜'은 오는 30일과 8월6일 오후 11시30분 2부작 심리과학 다큐멘터리 '행복'을 방송한다. 30일 방송되는 1부에서는 행복에 얽힌 다양한 오해와 진실을 밝혀내고, 2부는 행복해지는 방법과 기술을 소개한다. 1부 '오해와 진실' 편에서 제작진은 서울대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와 함께 어린 시절 모습에서 미래를 예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봤다. 메가스터디 손주은 사장과 그의 초등학교 동창들의 33년 전 졸업앨범, 생활기록부를 검토하고 현재 생활 만족도와 소득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제작진은 "분석 결과 그들의 현재를 만들어 낸 것은 '정서적 안정성'"이라며 "어린 시절 정서적 안정성과 성인이 된 후의 소득에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서울 양평동과 갈현동 아파트 주민들을 대상으로 '기분 좋은 사진'과 '끔찍한 사진'을 보여준 후 뇌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fMRI 검사를 실시했다. 실험 결과, 부정적인 사람들이 불행한 기억을 더 오래 가지고 쉽게 헤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외 무엇이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지, 행복한 사람들에게는 어떤 비결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연합뉴스

<사람들> `개 식용 반대' 영화감독 임순례

"먹을 게 없던 옛날이라면 몰라도 요즘 왜 굳이 개까지 먹으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영화 `세친구'와 `와이키키 브라더스'로 유명한 임순례(45ㆍ여) 감독은 중복(30일)을 앞둔 요즘 주위 사람들에게 보신탕을 먹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느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민단체 `동물과 함께 하는 시민의 모임'(KARA)에 명예이사로 참여해 동물사랑 전도사로 나선 그에게 열흘에 한 번씩 복(伏)날이 찾아오는 한여름은 개 식용 반대운동을 펴기에 가장 좋은 때이기 때문이다. 임 감독의 극진한 개 사랑은 지인들 사이에 유명하다. 개에 대한 애정이 커지면서 개고기뿐 아니라 다른 고기류도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가 됐다. 유기견(遺棄犬ㆍ길거리에 버려진 개) 3마리를 키우고 있는 그는 몇 해 전엔 유기견 보호소에서 1년동안 자원봉사를 하기도 했다. 개 식용 반대에 대한 임 감독의 논리는 상당한 호소력을 있다는 것이 주위의 평이다. 이미 많은 영화계 후배들이 설득당했고 차기 작품의 몇몇 스태프도 `개고기를 끊겠다'고 선언했다. 복날에 개고기를 먹는 건 사치스러운 일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과잉영양의 시대에 생명을 앗아가면서까지 영양을 보충하려는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라는 것이다. 임 감독은 "여름을 나는 도구로 존엄한 생명체를 도살하는 것은 사치스러운 생각"이라며 "더위를 이 기려는 것이 잔인하게 생명을 앗아갈 이유가 될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개고기를 먹는 게 우리 고유의 관습이라는 주장에도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 임 감독은 "과거에는 개고기를 먹는 습관이 무더운 여름을 지혜롭게 나기 위한 고유의 식문화였지만 먹거리가 풍부한 지금 그런 관습을 이어갈 필요는 없다"며 "일부다처제나 노비제도가 그랬듯 관습이라고 해서 무조건 지킬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개 식용 반대 운동이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넘어 생명체를 중시하는 문화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