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경기도체육회 여자 배구팀

‘지경희’ ‘장윤희’ ‘홍지연’ 등 이름만들어도 배구팬들에게는 낯설지 않은 한 시대를 풍미한 여자배구 간판스타들. 80년대부터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코트를 호령했던 이들이 내달 9일부터 열리는 제83회 전국체전에 경기도대표로 출전, 메달 획득을 목표로 차가운 코트를 뒹굴며 굵은 땀방울을 쏟아내고 있다. ‘경기도체육회’ 팀으로 체전에 출전하는 이들은 경기도의 여자 일반팀 부재로 지난 2000년 결성, 그 해 체전에서 5위를 차지한 뒤 지난해에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올해도 역시 3위 입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12명 중 절반이 가정 주부로 코트를 떠난지 오래지만 매년 전국체전을 앞두고 소집돼 약 45일가량 훈련을 쌓으며 조직력을 다지고있다. 시간과 활동상의 제약으로 인해 일주일에 3회밖에 훈련을 하지 못하고 있지만 하루 3시간 동안의 훈련시간 만큼은 현역시절 못지않은 투지와 진지함으로 코트를 누비고 있다. 80년대 거포인 지경희(전 현대)와 아직도 현역선수 못지않은 기량을 보이고 있는 장윤희를 비롯 홍지연, 박금자, 김성민(이상 전 LG), 김연, 한인영(이상 전 SK), 이미순, 이수정(이상 전 한일합섬), 이승여(전 대농), 이수경(전 LG), 신영진(전 담배공사) 등 12명 모두 국가대표 또는 청소년대표를 지낸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들이다. 이들 가운데 이미순과 장윤희, 김연 등은 부산아시안게임에 비치발리볼 대표로 태극마크를 달고 출전했던 선수. 체전을 앞두고 한일전산여고와 LG정유, 담배공사 등 고교 및 실업팀과 연습경기를 통해 기량을 다지고 있는 경기도체육회 팀은 만만치 않은 기량으로 후배들을 긴장케 하고있다. 이들을 지도하고 있는 박우선 감독은 “선수 대부분이 30대이지만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아직도 녹슬지 않은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번 체전에서도 기필코 동메달을 획득, 경기도의 종합우승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경기체육 명예회복 노린다/(3)배구.농구

③배구, 농구 배구 2년연속 종목 우승에 도전하는 경기도 배구가 비교적 무난한 대진운과 고른 전력을 바탕으로 정상 수성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경기도는 5개 종별 가운데 대학부의 성균관대와 여고부 수원 한일전산여고가 한 두차례의 고비만 넘기면 무난히 결승에 오를 전망이다. 성균관대는 이미 결승진출을 예약해 놓은 상태로 올시즌 대학연맹전 2관왕인 인하대와 ‘장대군단’ 한양대 중 한팀과 우승을 다툴 전망이다. 또 지난달 CBS배대회에서 우승한 한일전산여고는 강릉여고와의 첫 경기와 준결승전 상대로 예상되는 근영여고가 까다로운 상대지만 무난히 꺾고 결승에 진출, 서울 일신여상과 패권을 다툴 것으로 보여진다. 체전에서 유난히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남고부 수원 수성고는 첫 상대인 익산 남성고만 제압한다면 무난히 4강에 진출할 전망이고, 여일반 도체육회 팀도 이화여대를 누르고 동메달을 획득할 것이 확실하다. 남자 일반부의 상무는 대한항공과의 첫 경기를 승리하면 메달권에 진입하게 된다. 경기도의 종목 2연패 달성을 위해서는 남녀 고등부와 상무의 첫 경기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구 단골 상위입상 종목인 농구도 안정된 전력속에 대회 2연패를 노리고 있다. 지난 해 4개 종별에서 금 2, 은 1, 동 1개를 획득하며 우승했던 경기도는 이번 대회에서도 남고부 수원 삼일상고와 남일반 상무가 우승이 확실시 되고 있다. 시즌 2관왕인 삼일상고는 국내 최장신 선수인 하승진(215cm)을 앞세워 예선전 상대인 서울 휘문고를 첫 제물로 무난히 정상에 오를 전망이며 현주엽, 이규섭, 신기성 등 호화멤버의 상무도 대학세의 패기를 잠재우고 금메달을 획득할 것이 확실하다. 여일반의 용인대는 첫 경기 상대인 김천시청만 넘으면 우승까지 넘볼 수 있으나, 매년 단골 입상팀이었던 여고부의 수원여고가 2회전에서 만날 광주 수피아여고가 벅찬 상대여서 메달전선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따라서 경기도는 용인대와 수원여고 등 여자팀의 선전에 따라 우승이 좌우 될 전망이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한국 여자배구 은메달 확보

한국 여자배구가 4연승을 달리며 은메달을 확보했다. 한국은 8일 기장체육관에서 열린 부산아시안게임 여자부 ‘복병’ 대만과의 경기에서 초반 고전했으나 막판 뒷심을 발휘하며 3대2로 역전승 했다. 이로써 4연승한 한국은 남은 중국과의 예선 마지막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예선 2위를 확보하면서 은메달을 확보했다. 한국은 숙적 일본과의 경기로 인한 피로가 가시지 않은 듯 경기 시작부터 무거운 몸놀림을 보였다. 한국은 상대 장휘민(24점)과 류리팡(19점)의 타점 높은 강타를 막아내지 못한데다 주포 구민정(6점)과 김남순(9점)의 공격마저 상대 블로킹에 번번이 걸려 내리 1,2세트를 내주고 3세트에서도 22-24까지 밀려 패색이 짙었다. 그러나 정선혜(11점)의 잇단 득점으로 24-24 듀스를 만든 한국은 이어 정선혜의 서브 에이스와 최광희(17점)의 오픈공격이 잇따라 터지면서 처음으로 세트를 따낸 뒤 공격이 살아나 4,5세트마저 잡아내 힘겹게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한국은 10일 중국과 예선 마지막 경기를 가진 뒤 12일 다시 중국과 1,2위 결정전을 벌인다. 한편 전날 4강 진출을 확정지은 한국 남자는 이어 열린 예선 A조 경기에서 약체 마카오를 맞아 3대0으로 완승, 4강에 진출했다.

중고배구대회 한일전산여고 첫승 신고

‘여고배구의 명가’ 수원 한일전산여고가 제13회 CBS배 전국남녀중·고배구대회 여고부에서 서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한일전산여고는 9일 수원실내체육관에서 벌어진 대회 사흘째 여고부 B조 첫 경기에서 김은정, 한송이, 황연주 트리오의 활약에 힘입어 세화여고를 3대1로 따돌렸다. 첫 세트를 25-22로 따낸 한일전산여고는 2세트도 25-22로 낚아 손쉬운 승리를 거두는 듯 했으나 3세트에서 한하나가 맹위를 떨친 세화여고에 17-25로 내줘 2대1로 쫓겼다. 그러나 한일전산여고는 4세트에서 안정된 서브리시브를 바탕으로 김은정의 타점높은 강타와 한송이의 연타가 이어지며 시종 리드한 끝에 25-20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또 남고부 C조 경기에서는 수원 영생고가 김영준, 하지엽 좌우 쌍포를 앞세워 대전중앙고를 3대1로 제쳐 2연승으로 조 선두에 나섰다. 같은 조의 안양 평촌고도 수원 수성고를 상대로 예상을 뒤업고 3대1로 승리, 1패 뒤 귀중한 첫승을 거둬 대전중앙고와 1승1패로 동률을 이뤘다. 남중부 E조에서는 화성 송산중이 벌교중을 2대0으로 완파하고 조 선두로 8강에 올랐고, C조의 안산 본오중도 안양 부안중을 2대0으로 꺾어 2승1패로 남성중과 동률을 이뤘으나 세트 득실에서 앞서 역시 조 1위로 준준결승에 올랐다. 한편 여중부 B조의 안산 원곡중은 수원 수일여중을 2대0으로 가볍게 제압, 파죽의 3연승을 거두며 순조롭게 8강에 진출했다./정민수기자 jms@kgib.do.kr

대한배구협회장기 남고부 우승 수원 영생고

수원 영생고(교장 이 건) 배구팀이 24일 부산에서 끝난 제29회 대한배구협회장기 전국남녀중고대회 남고부에서 정상에 오르며 제2의 전성기를 예고했다. 지난 91년 팀 창단후 2년만인 93년 CBS배 전국배구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돌풍을 일으켰던 영생고는 이번 대회에서 김영준, 한선수, 황설민 등 주전들의 고른 활약에 힘입어 경북 현일고를 3대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5월 전국종별배구대회우승 이후 5년만에 전국대회를 제패한 영생고는 이번 우승으로 학교 전체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 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임덕선 감독(45)과 김민호 코치(29)의 지도로 총 14명이 팀을 이루고 있는 영생고는 팀의 부활을 위해 오전 수업후 하루 6시간씩 훈련을 실시했고, 동계훈련 때는 체력단련을 위한 특별훈련도 실시한 것이 이번 대회에서 주효했다. 특히 주장인 레프트 김영준(3년)을 주축으로 세터 한선수와 좌우 공격수 이영민, 하지엽(이상 2년), 199㎝의 장신센터 황설민, 리베로 김지훈(이상 1년) 등 주전 대분분이 1,2학년으로 구성돼 당분간 최상의 전력을 유지할 전망이다. 임덕선 감독은 “매 경기마다 선수들에게 마음을 비우라고 당부했는데 선수들이 잘따라 준데다 학교측의 적극적인 지원도 한 몫을 했다”며 “내달 6일부터 수원에서 열리는 CBS배 전국대회에서 또다시 정상에 올라 이번 대회 영광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1년동안 가건물 합숙소에서 생활해온 영생고 팀은 합숙소 자리에 소강당, 도서실, 특별실을 갖춘 다목적 건물이 착공됨에 따라 도교육청과 수원시의 지원으로 새 합숙소를 건립, 훈련여건을 개선할 예정이다. /정민수기자 jms@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