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전기자전거 안전모 100명 중 1명만 착용...도로교통법 무색

공유 전기자전거 이용 시 만일의 사고를 대비해 안전모를 착용하는 이용자는 10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사업자가 안전모를 제공하지 않고 있지만, 안전모 제공시 이를 착용하겠다는 이용자는 10명 중 7명이 넘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10~11월까지 수도권 40곳에서 전기자전거 공유서비스를 이용했던 115명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114명(99.1%)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다고 9일 밝혔다. 또 35명(30.4%)는 안전을 위협하는 운행을 하고 있었다. 이 중 자전거를 탄 채 횡단보도를 건너는 이용자가 28명으로 가장 많았다.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전기자전거를 포함한 자전거 운전자는 '반드시 인명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하고, 법정 통행방법을 준수해야 한다. 단, 안전모 미착용 시 벌칙 및 과태료는 부과되지 않고 있다. 주차실태도 확인한 결과, 부적절한 주차 사례는 346건으로 확인됐다. 이 중 횡단보도나 건물 상가 진출입로 등에 자전거를 세워 보행자 통행을 방해하는 경우가 186건(53.8%)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버스정류장·지하철역 입구 등에 자전거를 세워 대중교통 이용을 방해하는 경우는 55건(15.9%)이었고, 점자블록 등에 자전거를 놓고 가버려 교통약자 통행을 방해하는 사례도 23건(6.6%)이나 발견됐다. 이와 별도로 소비자원이 지난해 11월 7~14일까지 1년 이내 공유 전기자전거 이용 경험이 있는 수도권 성인 500명에게 '전기자전거 공유서비스 안전실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공용 안전모를 제공할 경우 '착용하겠다'는 의견이 72%(361명)에 달했다. 또 405명(81.0%)은 공유서비스 이용 후 부적절한 주차구역에 반납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특히 213명(42.6%)은 전기자전거 주차 시 보행자 통행을 방해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주변을 적절한 주차구역으로 잘못 알고 있었다. 도로교통법상 버스정류장 10m 이내에는 자전거를 주·정차하면 안된다. 이 밖에 소비자원이 7개 사업체 전기자전거 외관 등을 확인한 결과, 일부 자전거에서 ▲바퀴 커버 훼손 ▲경음기 파손 ▲기어 조절부 훼손 ▲후면 조명 장치 분실 등이 발견됐다. 소비자원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자전거 공유서비스 사업체에 공용 안전모 제공, 적합한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 제공 강화 등을 권고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전기자전거 사고 예방을 위해 도로교통법 등 관련 규정에 따른 안전 수칙을 꼼꼼히 확인하고 자전거 장비 훼손 사전 점검, 안전보호 장치 착용 등 적절한 안전사고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비빔밥·냉면 '1만원' 시대..."나가서 먹기 손 떨린다"

비빔밥과 냉면 평균 가격이 1만원을 넘어선데다, 직장인 외식 단골 메뉴인 삼겹살도 200g 기준 2만원을 육박했다.  또 일반 가정에서 즐겨 먹는 반찬 참치캔과 어묵 등 가공식품 물가의 고공행진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자취생의 간단한 요깃거리인 김밥은 경기도가 3천83원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비쌌다. 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1월 서울 지역 기준 대표적 외식 품목 8개 평균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8% 상승했다. 대표적 외식 품목 8개는 냉면, 비빔밥, 김치찌개백반, 삼겹살, 자장면, 삼계탕, 칼국수, 김밥이다. 자장면은 6천569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5천769원) 대비 13.9%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비빔밥은 8.8% 올라 1만원을 기록, 냉면도 9.0% 상승한 1만692원으로 1만원선을 넘어섰다. 삼겹살(200g) 1만9천31원(12.1%), 김밥 3천100원(12.0%), 삼계탕 1만6천원(11.8%), 칼국수 8천615원(10.9%), 김치찌개 백반 7천654원(8.2%) 등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같은 달 기준 경기지역 대표적 외식 품목 8개 평균가격은 9천571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천767원보다 9.1% 올랐다. 자장면은 6천534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5천793원)과 비교해 12.7% 오르며 가장 많이 상승했다. 김밥 3천83원(12.0%)을 비롯해 ▲칼국수 8천552원(11.4%) ▲삼겹살 1만7천34원(9.4%) ▲삼계탕 1만5천793원(9.0%) ▲김치찌개백반 7천662원(8.6%) ▲냉면 9천517원(6.5%) ▲비빔밥 8천397원(6.3%) 등에서 가격이 6~12% 올랐다. 한편 일반적으로 즐겨 찾는 가공식품인 참치캔, 어묵, 카레 등 가격 상승률도 높았다.  지난달 참치캔(10g) 평균가격은 10.7%로 전월(206원) 대비 10.7%나 올랐다. 동원F&B 참치캔 제품 공급가 인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어묵(100g) 평균가격은 CJ제일제당 어묵 제품 가격이 오르며 1천204원에서 1천124원(7.2%)으로 올랐으며 ▲스프(10g) 475원→ 515원(8.5%) ▲참기름(10mL) 280원→303원(8.2%) ▲카레(10g) 255원→273원(6.9%) 등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일부 중국산 어린이 헤드셋서 기준치 넘는 환경호르몬 나와

비대면 화상수업·온라인 게임으로 인한 어린이 헤드셋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산 어린이 헤드셋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이 네이버·쿠팡·SSG 3개 이커머스 온라인마켓에서 판매 중인 중국산 어린이 헤드셋 13개 종류의 안전성을 시험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시험 결과 에듀플레이어 어린이 헤드셋 ECH21(㈜에듀플레이어), 도라에몽 KD-U80 (㈜케이원로지스틱), 헬로키티 헤드셋 KHS-507(㈜다와) 3개 제품의 케이블, 연결 잭, 헤드밴드 등에서 디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아이소노닐프탈산(DINP) 등 프탈레이트계 환경호르몬 함량이 0.30~17.20%나 검출됐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고시한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르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총합은 0.1% 이하여야 한다.  DEHP·DINP는 눈, 피부, 점막, 간 등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정상적인 호르몬 작용을 방해한다. 이중 도라에몽 KD-U80과 헬로키티 헤드셋은 유럽연합(EU)의 유해물질제한지침(RoHS)상 DEHP 함량 기준을 초과했다. 이들 제품을 판매한 회사 3개사는 소비자원에 판매중지, 환불 및 교환을 실시한다고 알려왔다.  또한 헤드셋 13종류 중 9개 종류(69%)의 경우, KC마크 등 표시 항목이 누락됐다.  어린이 헤드셋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른 KC마크와 어린이 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른 사용 연령 등을 표시해야 한다. 해당 제품은 Buddyphones Galaxy (㈜이앤엘·㈜디에스퓨처스)를 비롯해 ▲TINY HEADPHONES (누리무역) ▲Y-7핑크 (㈜아임커머스) ▲ST-UDY500 (㈜사운드트렌드) ▲GHP-K11 (에이데이타코리아㈜ ▲ECH21 (주식회사 에듀플레이어) ▲HP3061 (㈜코시·㈜쓰리제이알) ▲KD-U80 (㈜케이원로지스틱) ▲KHS-507(㈜다와) 이다. 소비자원은 기준 부적합 사업장에 제품에 대한 자율개선을 권고하고, 관계기관에 조사 내용을 통보할 계획이다.

안전성 문제된 해외 리콜 제품 일부, 국내 재유통

해외에서 안전성 문제로 리콜된 제품 일부가 국내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버젓이 재판매되고 있다.  특히 이렇게 재판매되고 있는 제품 10개 중 4개는 '음식료품'인 것으로 조사됐는데, '유해물질 함유'가 리콜된 이유로 파악돼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한해 동안 미국·유럽 등 해외 39개국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를 확인한 결과, 2021년(392개)보다 53% 증가한 600개 제품을 적발했다고 2일 밝혔다.  품목별로 음식료품이 249개(41.5%)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 97개(16.2%) ▲가전·전자·통신기기  93개(15.5%) 등 순이었다. 가장 많이 판매 중이던 '음식료품'이 해외에서 리콜된 이유는 '유해물질 함유'가 187건(75.1%)을 차지했다. 이물질 함유(42건·16.9%), 부패·변질(4건·1.6%) 등 이유도 있었다. 이 중에는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으로 미국·영국에서 리콜된 땅콩버터(28개)도 포함됐다.  '화장품'이 리콜된 이유로는 '화학(유해)물질 검출'(46건·47.4%)이 가장 많았는데, 이중 벤젠이 검출된 드라이·자외선 차단제 등 화장품이 46건 중 43건(93.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벤젠은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화학물질로, 암·급성 백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화장품 제조에  사용할 수 없다.  화학물질 검출에 이어 피부 접촉에 의한 위해·위험 가능성(40건·41.2%)이 뒤를 이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절연미흡·기준 부적합 등 전기 관련 위해요인(48건·51.6%)이 가장 많았다. 특히 해당 이유로 리콜된 품목 중에는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전원코드로 일본에서 리콜된 전기보온병, 포트, 밥솥 등이 48건 중 31건(64.6%)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과열·발화·불꽃·발연(16건·17.2%), 제조불량 등에 따른 고장(9.7%) 등 이유도 있었다. 특히 적발된 제품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것은 212개에 불과했다.  나라별로 중국산(92건·43.4%)이 가장 많았고, 미국산(37건·17.5%)이 뒤를 이었다. 중국산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은 '아동·유아용품'(48건·52.1%)이었고, 미국산 중에선 '화장품'(19건·51.4%)이 가장 많았다. 소비자원은 적발된 600개 제품 중 593개를 판매차단하고, 7개 제품에 대해선 국내 수입·유통업자를 파악해 환급·교환 등 자발적 조치를 권고했다.

일회용기 미세플라스틱,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많아

일회용기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이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더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일회용기 16종과 다회용기 4종 등 20개 제품의 미세플라스틱 검출량 및 인체 노출 가능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은 5㎜ 미만의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플라스틱에 제조 시 들어가는 화합물은 심뇌혈관계, 내분비계 등 신체에 독성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조사 결과, 일회용기의 경우 종류별로 용기 1개당 1.0~29.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반면, 다회용기는 0.7~2.3개가 나왔다. 유사한 용도의 용기끼리 비교했을 때 다회용기보다 일회용기가 적게는 2.9배, 많게는 4.5배까지 더 많았다. 조사 대상 제품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컵과 포장용기 주 원재료인 폴리에틸린테레프탈레이트(PET·47.5%)와 폴리프로필렌(PP·27.9%)이 가장 많았다. 이어 종이컵에 코팅되는 폴리에틸렌(PE·10.2%) 순이었다. 시험 대상 전 제품 모두 주 원재료 외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도 검출됐다. 소비자원은 이에 대해 제조, 포장, 유통 시 외부에서 혼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소비자원은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이 377잔으로 추산하고 모두 일회용 컵에 마신다고 가정할 경우, 개인별로 노출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 양은 연간 2천639여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소비자가 1주에 약 1.9회 가량 배달음식을 주문한다고 가정할 경우, 연간 미세플라스틱 노출량은 훨씬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소비자원은 국·탕류를 주문해 탕 용기 1개, 밥(죽) 용기 1개, 반찬(소스) 용기 2개가 배달될 경우, 이때 이들 용기에서 검출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은 39개 정도로 추산했다. 소비자원은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위해성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선제적인 안전관리와 탄소중립·자원재활용 등 환경적 측면에서라도 플라스틱 일회용기 사용을 줄이는 방식의 소비형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배달, 포장 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관련 부처에 이번 조사 결과를 알려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 마련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부 액상형 디퓨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에도 성분 미표시

시중에서 판매 중인 실내용 액상형 디퓨져 일부 제품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는 물질이 기준치 이상 포함됐음에도 이런 내용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아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실내용 액상형 디퓨저 제품 20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기준에 따라 알레르기반응물질 26종이 제품에 0.01% 이상 사용될 경우, 포함된 물질 모두를 제품에 표시해야 하지만 6개 제품은 이같은 표시를 하지 않았다. 기준을 어긴 제품은 ▲더허브샵 ‘더허브샵 홈 디퓨져’ ▲에이디인터내셔날㈜ ‘데일리콤마 미니 디퓨저 데일리런드리’ ▲㈜피앤더블유인터네셔널 ‘디스이즈 디퓨저 퓨어코튼’ ▲㈜브리드비인터내셔널 ‘부케가르니 디퓨저 소프트코튼’ ▲블랩 ‘오르브 디퓨저 코지그린어스’ ▲㈜휴코스메딕스 ‘퍼퓸 보틀 디퓨저 코튼블루’이다.  또 블랩 ‘오르브 디퓨저 코지그린어스’의 경우, 제품에 제조연월이 표시되지 않았다. 이중 블랩, 휴코스메딕스, 에이디인터내셔날 등 3개사는 소비자원에 표시 개선 계획을 밝혔으나 허브샵, 피앤더블유인터네셔널, 브리드비인터내셔널 등 3개사는 아직 개선 계획을 밝히지 않았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또 4개 제품은 영유아 등의 음용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 ▲㈜마인드디저트 ‘멋칫 바이오톡스 디퓨터 소프트블루 솝’ ▲에스제이인터내셔날 ‘쥬디니스 블랙에디션 디퓨저 화이트머스크’ ▲㈜에이로마플라붐 ‘플로라 캔디퓨저 라일락’ ▲헤트라스 ‘헤트라스 프리미엄 디퓨터 화이트셔츠’ 4개 제품은 ‘주의’ 표시를 하지 않았다.  2019년~2022년까지 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디퓨터 음용 위해 사례는 18건이며 이중 5세 이하의 영유아가 음료로 헷갈려 액상형 디퓨저를 섭취한 사례가 16건에 달했다. 에이로마플라붐, 헤트라스는 주의 표시 기재계획을 밝혔으나 마인드디저트, 에스제이인터네셔널 2개사는 아직 개선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  소비자원은 또 20개 제품의 에탄올 함량을 분석한 결과, 최소 44%~최대 88%까지 검출됐고 평균 65%로 나타났다며 디퓨저 사용 시 환기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탄올은 액상형 디퓨저의 용매와 향이 퍼지도록 돕는 성능보조제로 사용되는데, 고농도의 에타올 흡입 시 졸음, 현기증, 두통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영유아가 마실 경우 소화계통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기준 부적합 제품에 대한 개선을 권고하는 한편 관련 내용을 관계 기관에 통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공배달앱이 민간배달앱보다 '만족도 높아'

민간배달앱보다 공공배달앱의 소비자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배달비는 공공과 민간이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거리를 기준으로 분석된 결과, 앱별로 상당한 요금 차이를 보였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9월1일부터 16일까지 약 2주간 서울시민 1천950명에게 7개 배달앱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조사대상은 배달특급, 대구로, 먹깨비, 배달의명수 등 4개 공공앱과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등 3개 민간앱으로 모두 7개다.  배달특급은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공공앱이며 대구로와 배달의 명수는 각각 대구, 전북 군산에서 시작했다. 또 먹깨비는 충북을 비롯해 서울, 전남, 경북, 제주 세종 등 전국 곳곳에 운영 중이다.  조사 결과 7개 배달앱에 대한 소비자 종합만족도는 평균 3.52점이었고, 공공배달앱이 민간배달앱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배달 과정 중 '서비스'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공감성, 대응성, 효율성, 안전성으로 구분됐는데 5점 만점 중 공감성과 대응성은 공공배달앱인 대구로가 각각 3.66점과 3.58점을 받아 최고점을 기록했다. 공감성은 고객 요구 이해, 주문·결제 내역 관리, 고객 의견 경청 등이 포함된다. 대응성은 고객 요청·문의·항의에 신속·원만하게 해결하는지 여부다. 화면 이용 편리성 등을 판단하는 효율성과 개인정보 보호 등 안정성을 판단하는 안정성에선 민간앱 중 배달의민족(3.88점)·쿠팡이츠(3.59점)가 최고 점수를 받았다. '상품'에 대한 만족도를 판단하는 '서비스 상품 만족도' 부분에선 ▲부가혜택(대구로·3.57점) ▲추가배달(배달의 명수·3.52점) ▲가격·배달비(배달특급·3.70점)에서 모두 공공배달앱이 최고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배달·음식 품질’에선 민간배달앱인 쿠팡이츠가 3.95점을 받으며 공공앱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한편 서울을 기준으로 공공앱과 민간앱 배달비는 3~6천원 사이로 대부분 비슷한 수준이었나 배달앱별로는 다소 큰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거리별로 2㎞ 미만에서는 공공배달앱이 3천~4천원 사이인 반면 민간앱은 최소 2천600원에서 최고 6천원까지의 요금구간을 보였다.  2~3㎞ 미만 거리의 경우, 공공앱은 최저 4천원, 최고 5천원이었지만 민간앱은 3천~7천원 수준이었다. 3~4km 미만 거리에서 주문 시 공공앱은 3천~7천원의 요금을, 민간앱은 최소 3천원에서 최대 8천80원까지 요금을 각각 받고 있었다. 

㈜엠푸드, 안정적 브랜드 운영으로 외식업계 주목

㈜엠푸드가 검증된 노하우로 수익성 높고 안정적인 브랜드를 운영하면서 외식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일 ㈜엠푸드에 따르면 ㈜엠푸드는 구이&전골 삼겹살전문점 ‘솥고집’과 ‘건강밥상 심마니’를 대표 브랜드로 운영하고 있다. 우선 ‘솥고집’은 구이와 전골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장점을 바탕으로 SNS 등에서 줄 서서 기다리는 맛집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허받은 불판의 활용을 통해 솥뚜껑 구이와 샤브 전골을 한번에 선보이는 한편 1등급 한돈과 장인 김치 제공 등 메뉴 구성이나 맛에서도 고객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다. ‘건강밥상 심마니’는 코로나19 사태가 악화되던 상황에서도 약재를 이용한 ‘건강한 한끼’로 높은 고객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십전대보로 끓여내는 육수에도 몸에 좋은 재료만 사용된다. 곤드레정식과 시래기정식을 바탕으로 곤드레 시레기 굴 돌솥밥, 한방 보쌈 등의 건강밥상부터 한방백숙, 불로장생 샤브샤브, 삼계탕, 풍성한밥상, 추가메뉴까지 구성도 다양하다. ㈜엠푸드 관계자는 “대표 브랜드인 ‘솥고집’과 ‘건강밥상 심마니’는 독보적인 컨셉과 운영 방식을 통해 높은 매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면서 “10년간 검증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더 많은 성공 브랜드를 론칭하겠다”고 강조했다.

고물가에 지친 서민 ‘소주 한잔’ 겁난다

지난해 맥주와 소주 등 주류 가격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이 오른 가운데 올해 또 다시 주류 가격이 올라 ‘소주 6천원 시대’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가격은 전년 대비 5.7%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11.5%)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특히, 작년 주류 물가 상승은 소주와 맥주가 이끌었다. 소주는 7.6% 올라 2013년 7.8%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맥주는 5.5% 상승해 2017년 6.2%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이같이 지난해 소주와 맥주 물가가 상당폭 오른 것은 주류 회사들이 수년 만에 출고가를 줄줄이 인상했기 때문이다. 하이트진로는 작년 2월 ‘참이슬·진로’ 출고가를 3년 만에 7.9% 인상한 데 이어 3월 테라·하이트 출고가도 6년 만에 7.7% 올렸다. 롯데칠성음료는 3월 ‘처음처럼’ 출고가를 3년 만에 6∼7% 인상했고 11월에는 ‘클라우드’ 출고가를 3년 만에 8.2% 올렸다. 맥주의 경우 보리·알루미늄 등 맥주 원재료와 부자재 가격 등이 줄줄이 오른 것이 출고가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작년 4월부터 맥주 세금이 전년보다 ℓ당 20.8원 올라 855.2원이 된 것도 맥줏값 인상 요인이 됐다. 소주 역시 원·부자재 가격 상승이 출고가 인상을 부추겼다. 특히 소주 원료인 주정 가격이 지난해 10년 만에 7.8% 올랐다. 출고가 인상은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편의점과 대형마트는 소주 출고가가 인상되자 일제히 한 병당 판매가격을 100∼150원씩 올렸다. 참이슬 기준으로 편의점 소주 가격은 1천800원대에서 1천900원대로, 대형마트 소주 가격은 1천200원대에서 1천300원대로 상승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소주 가격이 ‘6천원’으로 오르는 등 주류 값 인상이 또 한 번 현실화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우선 4월부터는 맥주에 붙는 세금이 작년보다 ℓ당 30.5원 올라 885.7원이 된다. 또 소주는 맥주처럼 주세가 인상되진 않았지만, 원가 부담이 출고가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주류업체가 출고가를 인상하면 소비자가 사는 술 가격은 더욱 비싸지고, 식당 판매가격 인상폭은 통상적으로 이보다 크다. 작년 외식산업연구원이 일반음식점 외식업주 130명을 조사한 결과 55.4%가 소주 출고가 인상에 따라 소주 판매가격을 올렸거나 올릴 예정이라고 답했으며 이미 올린 업주들은 병당 500∼1천원을 인상했다고 응답했다. 음식값에 비해 술값이 올리기 수월한 데다, 100원 단위보다는 500∼1천원 단위로 가격을 올리는 경향이 있어 외식업주들은 다른 원가 부담까지 술값에 얹어 인상 폭을 크게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 올해도 출고가가 오르면 '연쇄 작용'이 이어진 끝에 식당에서는 '소주 1병 6천원' 가격표가 현실화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하이트진로, 오비맥주 등 주류업체들은 아직 올해 출고가 인상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상황이다.

올해 들어 커피·모바일상품권 소비자 상담 급증

한달 새 커피·모바일상품권 관련 상담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건수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월 인스턴트 커피 관련 상담 건수(860건)는 지난해 12월 상담 건수(414건) 대비 107.7% 증가하며 가장 많은 상담 건수를 기록했다. 신유형상품권 관련 올 1월 상담건수(385건)는 지난해 12월 대비 44.7% 증가하며 두 번째로 많이 접수됐다. 인스턴트 커피 관련 상담 내용은 소비자원이 지난 1월 피해예방주의보를 발령한 온라인 쇼핑몰 '엄마가게(맘앤마트)'의 피해다발품목 관련 환급 문의가 많았다. 상품권 관련해선 유효기간이 지난 모바일상품권의 환급이 불가해 이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내용이 다수였다. 상담 다발 품목으로는 헬스장(1천442건)이 가장 많았고, 이동전화서비스(1천75건), 의류·섬유(897건)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상담은 수도권 지역에서 가장 많이 접수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30.9%)에서 가장 많은 상담 접수가 이뤄졌고, 이어 서울특별시(21.3%), 인천광역시(6%) 순 등이었다. 상담 다발 품목으로는 '헬스장(1442건)'이 가장 많았고, '이동전화서비스(1075건)', '의료·섬유(897)'이 뒤를 이었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