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처음 조사된 외식업 종사자의 평균 행복지수가 100점 만점에 55.4점으로 나타났다. 또 20대의 행복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행복지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0일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외식업주 행복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10월 전국 외식업주 3천312명을 조사해 행복지수를 산출했다. 이는 기존에 개발된 외식업주 행복지수에 영역별 가중치를 부여, 성취 충족감 등 외식업주의 행복 수준을 점수화한 것이다. 조사 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정내 안정감이 67.3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관계적 만족감(60.8점), 신체적 안정감(60.6점), 심리적 행복감(58.2점), 직업적 행복(54.3점), 환경적 행복(49.3점), 경제적 안정감(48.1점), 제도적 행복(40.7점)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전국 외식업주에 대한 연령대별 행복지수를 보면 20대가 56.4점으로 가장 높았고, 30대(56.1점), 40대(55.8점), 50대(55.4점), 60대 이상(54.4점)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55.8점으로 여성(55.0점)보다 약간 높았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59.8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경남(58.8점), 전남(58.4점), 충남(56.5점), 강원(56.0점), 부산(55.9점), 경북(55.8점), 경기(55.2점), 인천(55.1점) 등 순이었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연구 결과 외식업주 다수가 경제적 안정감, 직업적 행복, 환경적 행복, 제도적 행복에 대해 낮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됐다"며 "외식업주 행복의 불평등을 파악해 격차를 줄여나가 반드시 이들의 행복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조사에 대해 지역 외식업계 관계자는 '미래에 대한 불안' 등이 반영된 결과라며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최종인 (사)한국외식업중앙회경기도지회 사무국장은 "코로나가 한창일 때보다 매출 상황은 나아졌지만, 대출 상황 등 요인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이 있다 보니 행복지수가 50점 대에 머무는 것이라고 본다"며 "정부·지자체가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지역 화폐 활성화 등 조금 더 세밀하고 두터운 지원책을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소비자·유통
황아현 기자
2023-01-10 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