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농구코트 ‘섬머 퀸’ 가린다

여름철 ‘바스켓 축제’인 신한은행배 여자프로농구 2005 여름리그가 오는 7일 춘천 우리은행-안산 신한은행, 용인 삼성생명-광주 신세계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78일간 대장정의 막을 올린다. 지난 2003년 이후 2년만에 열리는 이번 여름리그는 6개팀들의 전력 차이는 종이 한 장 차이에 불과해 혼전이 예상된다. 6개팀 모두가 우승후보이자 꼴찌후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굳이 전력을 따지자면 ‘디펜딩 챔피언’ 춘천 우리은행과 ‘바스켓 퀸’ 정선민(31)을 보유한 천안 국민은행의 강세가 유력한 로 ‘2강 3중 1약’의 판세가 예상된다. 두 팀은 모두 강력한 골밑을 바탕으로 한 ‘고공 농구’로 정상 도전에 나선다. 우리은행은 이종애-김계령-홍현희가 지키는 ‘트리플 포스트’에 센터 용병인 실비아 크롤리까지 가세해 그야말로 철옹성을 쌓았다. 국민은행 역시 정선민-신정자-곽주영으로 이어지는 ‘고공 라인’에 WNBA 출신의 아드리안 윌리엄스가 힘을 보태 리바운드 싸움에서는 적수가 없을 정도. 하지만 두 팀 모두 골밑에 비해 외곽이 약해진 것이 흠이다. 3중으로는 구리 금호생명, 삼성생명, 신한은행 등이 꼽힌다. 금호생명은 퓨쳐스리그에서 맹활약을 펼친 강윤미의 가세가 든든하지만 리그 개막을 불과 4일 앞두고 교체돼 입국한 용병 음폰 우도카가 얼마나 빨리 팀에 적응하느냐가 관건이고, 또 ‘주포’ 이언주의 출전이 여전히 어려운 것도 문제다. 삼성생명은 박정은-이미선-변연하로 이어지는 ‘국가대표 3인방’이 건재하다는 것이 강점. 그러나 김계령의 우리은행 이적 후 생긴 빈자리를 누구로 메우느냐가 최대 고민이다. 신한은행은 트라베사 겐트(34)-전주원(33) 두 노장의 활약에 기대를 걸고있다. 지난 겨울리그에서 WNBA 출신 용병들과 대등한 기량을 과시했던 겐트는 한 수 아래의 용병들을 상대로 더 탁월한 실력을 뽐낼 것으로 기대된다. 신세계는 용병 전체 1순위로 선발한 제니 위틀과 베테랑 가드 양정옥에게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 지난 비시즌 동안 미국 연수를 다녀온 정진경의 향상된 기량도 눈여겨봐야 하고 장선형-신혜인 등 주전급들이 부상으로 출전이 어렵다는 것도 큰 문제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무궁화전자, 전국장애인농구 제패

장애인 전용 근로시설인 수원 무궁화전자가 지난 20일 고양시 홀트장애인 종합체육관에서 열린 ‘전국장애인 휠체어농구대회’에서 화장품 전문업체 네오마이어와 가진 결승전에서 56대48로 승리를 거두고 우승컵을 안았다. 사회복지법인 홀트아동복지회(이석산 관장) 주최로 열린 전국장애인농구대회는 고양시 홀트, 안산 휠플러스, 강원드림, 대구시청, 리컴메디칼, 서울 비젼, 연세이글스, 네오마이어, 오토복, 아산, 춘천, 무궁화전자 등 전국 최강의 휠체어 농구단이 모두 참여해 지난 18일부터 3일간 열전을 벌였다. 농구단을 우승으로 이끈 무궁화전자 김동경 공장장은 “휠체어 농구는 다른 장애인체육 종목에 비해 역동적이고 팀워크가 많이 필요한 스포츠”라며 “삼성전자와 수원시의 후원으로 현재 3명의 국가대표를 배출, 한국 휠체어 농구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구단을 지원한 삼성전자 수원지원센터장 허영호 전무는 “장애인들이 스포츠를 통해 얻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부심은 운동을 통해 얻는 체력의 몇배이상의 심리적 만족감으로 작용한다”면서 “앞으로도 장애인들이 건전한 스포츠를 즐기고 사회에 건전한 일꾼으로 성장하는데 지원과 관심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용성기자 leeys@kgib.co.kr

‘신바람 농구’ 살려야 결승행

2004~2005 애니콜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돌풍을 일으켰던 안양 SBS가 창단 후 첫 챔피언결정전 진출의 문턱에서 주저앉을 위기에 처했다. SBS는 ‘괴물용병’ 단테 존스를 앞세워 정규경기 15연승의 신기원을 이루고 6강 플레이오프에 올라 대구 오리온스에 내리 2연승을 거두며 4년만에 4강 PO에 진출, 전주 KCC마저 1차전에서 제압하며 상승세를 탔었다. 그러나 ‘난적’ KCC에 반격을 허용하며 내리 2,3차전을 패배해 벼랑끝 위기에 몰렸다. SBS는 원정 1차전에서 존스가 부진했지만 주니어 버로의 활약과 양희승의 고감도 외곽포에 힘입어 기선을 제압했으나 2차전에서 버로가 더블팀에 묶여 포스트 역할을 하지 못했고, 가드 이정석도 베테랑 이상민에 압도당한데 비해 KCC는 제로드 워드의 슛 감각이 살아나며 SBS를 압도했다. 또 KCC의 그물수비에 허둥지둥한 SBS는 2차전 때 KCC의 2배인 14개의 실책을 남발했다. 한편 SBS는 가드 이정석이 3차전에서 3점슛 3개를 포함한 12득점에 6리바운드, 7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 제 역할을 했는데도 이를 활용하지 못했다. SBS의 3차전 해법으로 제시했던 이정석의 역할도 힘을 받지 못하고 존스도 정규경기 때의 존스가 아니어서 챔피언결정전으로 가는 비책을 따로 찾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기술적인 문제보다는 한때 신바람나는 농구를 하며 사기가 충만했던 SBS 선수들의 분위기가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SBS가 과연 1일 벌어지는 4차전에서 예전의 팀 분위기를 찾을 수 있을 지가 승부의 열쇠다. /황선학·김대현기자 hwangpo@kgib.co.kr

농구코트 ‘최고 왕★ 누구?’

프로농구 ‘별들의 잔치’인 2004~2005 올스타전이 1일 오후 4시 잠실체육관에서 펼쳐진다. 이번 올스타전은 지난해까지 남부 및 중부선발로 치러졌던 것과 달리 동·서부를 기준으로 드림팀(모비스, 오리온스, LG, KTF, TG삼보)과 매직팀(삼성, SBS, SK, KCC, 전자랜드)으로 나눠 일전을 치른다. TG삼보의 전창진 감독이 이끄는 드림팀은 한·중올스타전 1차전 MVP인 포인트가드 김승현과 TG삼보의 ‘트윈타워’ 김주성, 자밀 왓킨스, 포워드 현주엽(KTF), 가드 심기성(TG삼보)도 ‘베스트 5’에 뽑혔다. 또 유력한 신인왕 후보 양동근(모비스), 특급 슈터 양경민(TG삼보)과 김병철(오리온스)도 감독 추천선수로 가세해 화력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전주 KCC 신선우 감독이 이끄는 매직팀은 4년 연속 최다득표를 올린 포인트가드 이상민(KCC), 지난해 올스타전 MVP 문경은(전자랜드)에 토종 센터의 자존심 서장훈과 포인트 가드 주희정(이상 삼성) 그리고 특급 용병찰스 민렌드(KCC)가 ‘베스트 5’에 포함돼 탄탄한 내·외곽을 구성했다. 아울러 SK의 임재현을 비롯해 신인왕을 다투는 이정석(SBS), 용병 센터 크리스 랭(SK)이 감독추천으로 올스타전 무대를 밟는다. 특히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올스타전에서는 누가 ‘왕별’에 오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3점슛 경연대회에는 문경은, 양희승, 양경민, 조상현, 김병철 등 국내의 특급 슈터들이 대거 참가하며 덩크슛 컨테스트에는 게이브 미나케(KTF)와 전병석(SBS), 백인선(오리온스) 등이 참가해 고공 묘기를 선보인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