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포상금 재검토해야”

경기도체육회가 동·하계 전국체전 입상자에 대한 포상금을 대폭 인상한 가운데 도내 체육계 일각에서는 학생선수에 대한 시상문제를 비롯, 과도한 포상금 지급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게 일고있다. 도체육회는 지난 2월 열린 제89회 전국동계체전에서 사상 첫 종합우승 7연패를 달성한 메달리스트들에 대한 포상금을 대폭 인상하라는 김문수 도지사의 지시로 고등·대학·일반부 선수에게 금메달이 20만원에서 80만원 인상된 100만원, 은메달은 20만원에서 50만원, 동메달은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 조정해 지급했다. 이와 함께 지난 해까지 6연패를 달성한 하계 전국체전도 동계체전과 동일하게 적용키로 하는 한편, 동계체전 초·중교 메달리스트에 대해서는 전국소년체전과 같이 금메달 50만원, 은메달 20만원, 동메달 10만원이 지급된다. 그러나 도내 체육계 인사들과 일선 학교 감독들은 학생 선수들에게 과다한 포상금을 지급하는 것은 교육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할뿐 아니라 선수들간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데서 포상제도가 개선돼야 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 Y모 교사는 “각급 학교 대부분이 운동부 운영 예산이 부족해 학부모들이 상당액을 부담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선수들에게 거액의 포상금을 직접 지급하는 것은 부정적 측면이 많다”며 “선수 포상금을 입상 선수를 배출한 학교 팀에 대한 지원으로 바꿔 팀 운영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포상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체육계 인사들은 선수 개인에 대한 일시적인 거액의 포상보다는 연간 16억2천만여원(하계 13억3천만원, 동계 2억9천만원)에 달하는 동·하계 전국체전 시상금과 8억4천만원의 우수선수 육성지원금 등 총 24억6천만원의 포괄적인 보상금을 학교팀 지원, 우수선수 육성금 등으로 지급하는 것이 도 체육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기도를 빛낸 우수선수에 대한 포상도 필요하지만 이 처럼 파격적인 포상제도가 경기체육 발전을 위한 ‘약’이 될지, 아니면 ‘독’이 될지에 대해 신중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전국체전 출전비 수억원 K대에 지급된 사실 없다”

경기도체육회는 도내 K대학 체대 비리 검찰 고발사건과 관련, 내용에 포함된 ‘2003~2004년 전국체전 출전비로 경기도체육회에서 받은 돈 가운데 수억원이 모 스포츠연맹 선거자금으로 유입된 정황이 있다’며 체육회 전 고위 간부를 고발한데 대한 해명자료를 내고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했다. 도체육회는 25일 해명자료를 통해 지난 2003년, 2004년 2년 동안 K대에 전국체전 출전비로 수억원이 지급된 사실이 없으며, 2003년 지급된 강화훈련비는 총 128명에 8천640만원, 2004년에는 94명에 6천345만원으로 이는 선수 1인당 67만5천원(1일 1만5천원 X 45일)의 훈련 보조금이라고 밝혔다. 특히 출전비는 K대학 체육부로 입금된 것이 아니라 해당 가맹경기단체 계좌로 입금 돼 경기단체가 체전 도대표로 선발된 해당 학교 팀 감독에게 계좌 송금해 훈련비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 가맹경기단체는 체육회로 입금자료를 첨부 정산보고 하고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도체육회는 지난 2003, 2004년도 K대학 도대표팀에 대한 입금 자료를 보관하고 있으며, K대학 체대 비리 사실을 고발한 K 강사가 주장하고 있는 ‘모 스포츠연맹 선거자금 유입’은 K대학 내부의 문제로 당시 체육회 고위 간부의 리베이트 수수 주장 등은 터무니 없는 추측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도체육회 관계자는 “체육회에서는 전국체전 도대표로 선발된 도대표 선수의 강화훈련을 통한 경기력 향상을 위해 체전 훈련비를 모든 선수에게 지급해 오고있다”라며 “K 강사가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마치 전 체육회 간부를 비리에 연루된 것처럼 고발, 체육회의 명예를 실추 시킨 것에 대해서는 검찰 수사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도내 실업육상팀, 릴레이 전훈

경기도 실업 육상팀들의 혹한기 동계 전지훈련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24일 도육상경기연맹과 실업팀들에 따르면 도내 실업팀들은 혹한기 경기도를 벗어나 훈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제주도와 경남, 중국 쿤밍, 태국 등 국내·외에서 지난 1일부터 동계훈련에 돌입, 내년 2월까지 전국체전 17연패를 향한 본격적인 훈련에 돌입한다. 경기도 여자 중·장거리 ‘간판팀’인 경기도청은 지난 6일 국가대표팀 코치인 이홍식 감독이 중국 쿤밍에서 최경희와 장진숙을 이끌고 훈련중이며, 내년 1월2일 나머지 선수들이 합류 2월22일까지 50일간 1천900m 고지에서 훈련을 갖는다. 또 단거리 우수선수를 상다수 보유한 안양시청은 1월10일부터 2월18일까지 40일간 태국에서 아시아 단거리를 주도하고 있는 태국 대표팀과 합동훈련을 실시한다. 동계 훈련지로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제주도에서는 과천시청, 용인시청, 수원시청, 군포시청, 부천시청, 고양시청, 성남시청, 파주시청, 광주시청 등 9개팀이 전력 담금질에 나선다. 이 가운데 과천시청과 용인시청은 내년 1월7일 신제주에서 각 50일, 40일간 훈련을 가질 예정이며, 고양시청도 3일에서 7일사이 서귀포로 출발해 40일간 훈련한다. 수원시청과 군포시청, 부천시청은 10일부터 신제주, 서귀포에서 20~25일간 훈련할 예정이며, 특히 수원시청은 경남 통영으로 장소를 이동해 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파주시청과 광주시청은 11일과 14일부터 서귀포에서 15~40일간 전지훈련을 쌓을 계획이며, 안산시청은 6일부터 40일간 부산에서 훈련할 예정이다. 이 밖에 화성시청은 지난 1일부터 60일간 중국 하이난도에서 전지훈련을 쌓고있고, 신생팀 오산시청도 1월중 창단식을 갖고 동계 훈련을 떠날 예정이다. /최원재기자 chwj74@kgib.co.kr

<88회 전국체전 재조명> 경기체육, 이젠 세계무대로 도전할때

경기도 체육은 이번 제88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출전사상 첫 종합우승 6연패 달성과 역대 최다메달 획득, 최고득점 등을 이뤄내며 더이상 ‘적수’가 없음을 입증했다. 따라서 상당수 체육인들은 “이제 경기체육이 전국체전의 성적에 연연하지 말고 한국을 뛰어넘어 아시아 무대는 물론 세계무대에서 명성을 날릴 수 있는 선수를 육성해 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있다. 이는 도정 방침인 ‘세계속의 경기도’와 통하는 말로 ‘세계속의 경기체육’을 만드는 데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도에는 현재 ‘피겨요정’ 김연아(군포 수리고)와 ‘빙속 제왕’ 이강석(의정부시청), ‘세계적인 역사’ 장미란(고양시청), ‘신궁’ 윤미진, ‘꽃미남 유도스타’ 장성호(이상 수원시청) 등 세계적인 스타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도 출신 우수선수들이 팀부재 또는 ‘금전공세’에 밀려 경기도가 아닌 타 시·도에 소속 돼 활약하고 있는 경우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어 경기도 출신의 세계적인 선수육성을 위한 관리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육상, 수영, 탁구, 사이클, 사격, 펜싱, 배드민턴, 태권도, 볼링, 카누, 수중, 스쿼시, 동계종목인 빙상 등에서 향토 출신 우수선수들이 도내 경쟁력 있는 실업팀과 대학팀 부재로 타 시·도로 대거 진출해 활동하고 있다. 또한 이번 체전에서 활약한 상당수 고교 또는 대학 선수들이 타 시·도의 ‘러브콜’을 받고있는 실정이며, ‘군인선수의 본적지 출전 규정’에 따라 고향에 금메달을 안긴 국군체육부대 소속 선수들역시 경기도와 경쟁관계에 있는 시·도들의 ‘스카우트 대상 1호’로 지목을 받고 있다. 물론 각 시·도가 타 지역에 소속 돼 있는 선수들을 서로 영입하고 이적하는 것이 빈번한 현실이지만 세계적인 스타로의 성장 가능성이 있는 선수들에 대해서는 ‘경기도 명품선수’ 육성이라는 대명제 하에서 도와 도체육회, 지자체가 함께 나설 때 ‘세계속의 경기체육’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를 위해서는 향토 유망주에 대한 지원과 지도자 인센티브 제공, 세계적인 우수선수의 도내 지자체팀 진출시 영입비 지원, 도청 및 도체육회팀의 활용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이 선행돼야 한다. 경기도에서 초·중·고교에서 생활을 한 선수가 세계적인 선수로 성장할 때 경기체육의 세계화는 더욱 앞당겨 질 것이다./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