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통은 없고 꼬리만… ‘뇌물커넥션’ 반쪽수사

검찰이 세무조사에서 편의를 제공해 주는 대가로 KT&G 등으로부터 억대의 금품을 받아 챙긴 전현직 국세청 공무원 6명을 무더기로 적발했다. 인천지검 외사부(최용훈 부장검사)는 KT&G 등으로부터 세무조사에서 편의를 봐달라는 청탁과 함께 금품과 향응을 받은 혐의(뇌물수수)로 A씨(37) 등 국세청 전현직 공무원 3명을 구속 기소하고, B씨(53) 등 3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29일 밝혔다. 검찰은 또 이들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뇌물공여)로 KT&G 전 재무담당 실장 C씨(56)와 모 패션업체 대표이사 D씨(48) 등 3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A씨 등 6명은 지난 2009년 811월께 서울지방국세청 조사국에 한 팀으로 근무하며 KT&G와 모 패션업체를 세무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들 업체로부터 각각 1억 1천800만 원과 1억 600만 원 등 총 2억 2천400만 원을 받아 한 명당 수천만 원씩 나눠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또 일부는 KT&G의 법인카드를 받아 사용하거나 술과 골프 접대를 받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직 세무공무원 출신 세무사 E씨(45)는 KT&G 등 업체 측과 허위로 세무 컨설팅 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용역비를 받아 A씨 등에게 전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검찰은 세무조사에 나선 국세청의 한 팀이 이 같은 조직적인 범행을 저질렀는데도 다른 범행 등에 대해 추가로 밝혀내지 못해 반쪽짜리 수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사건이 국세청 내외부에서 관심 있게 지켜보던 KT&G라는 대기업의 정기 세무조사에서 범행이 발생한 점을 비롯해 당시 팀장(5급 사무관)도 아닌 실무자(6급) A씨가 주도적으로 KT&G 등과 협상을 벌이는 등 범행을 저질렀다는 점이 여전히 의문으로 남았다. 이 때문에 사건 초기부터 국세청 공무원의 조직적 범행에 윗선의 지시 여부, 뇌물의 상납 여부 등 몸통수사에 대한 의혹이 쏟아졌지만, 검찰은 아무 것도 밝혀내지 못해 꼬리만 잘라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손바닥 양쪽이 맞아야 소리가 나듯 누가 먼저라고 할 거 없이 회사 측과 공무원들이 서로 합의해 금품과 향응을 주고받았다며 범행 시기가 오래되어 모든 것을 밝혀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뇌물수수 건이라 사용처 수사는 하지 않았으며, 이번 사건과 관련된 수사는 모두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인천은 ‘악덕 임금체불 사업자’ 천국?

회사를 운영하려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게 근로자 임금 아닙니까? 돈이 없는 것도 아니면서 왜 안 주는지 이해할 수가 없네요. 인천 남동공단의 한 제조업체에서 근무했던 A씨(38). A씨는 자신이 다니던 회사 대표가 몇 달치 월급 750만 원을 주지 않아 여러 차례 임금 지급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회사 대표에게 낙인찍힐 것을 각오한 것이었지만, 대표는 여전히 급여를 주지 않았고 A씨는 회사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A씨는 대표가 8년치 퇴직금마저 주지 않자 결국 회사 대표를 고소했다. 법원은 이 업체 대표에게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이라는 실형을 선고하는 등 엄히 처벌했다. 또 B씨(41)는 지난해 9~10월 일한 1개월치 월급을 4개월 동안 주지 않던 회사 대표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 수십 차례 임금을 주겠다는 말 뿐이고 결국 약속을 지키지 않던 회사 대표는 결국 법원의 판결이 나고서야 밀린 임금을 지급했다. 인천지역에 악덕 임금체불업자가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임금 체불 등으로 2차례 이상 유죄 확정을 받고 체불 총액이 3천만 원을 넘긴 사업주는 인천지역에 24명에 달했다. 이는 부산(17명)과 대구(9명)를 훨씬 웃도는 수치며 기업도시인 울산(5명)의 5배에 달한다. 이들 임금체불업자가 체불한 임금 액수만도 13억 4천만 원이 넘는다. 이처럼 인천이 악덕 임금체불업자가 많은 것은 인천지역에 소규모 영세 업체가 많은데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업주들이 많아 임금 체불에 대한 도덕적 해이가 심각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 대부분이 자신에게 일어날지 모르는 신분상 불이익 때문에 쉽게 신고를 하지 못하는 점도 임금체불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중부지방고용노동청 관계자는 기업 등을 상대로 주기적인 지도점검에 나서고 있지만, 인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임금체불 등에 대한 근로자의 적극적인 신고가 있어야 한다며 근로자와 가족 생계를 위협하는 임금체불을 근절하고자 앞으로도 철저히 지도점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7세 여아 성추행 한 아파트 경비원, 항소심서 감형

서울고법 형사10부(허부열 부장판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13세 미만 미성년자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4년을 받은 A씨(67)에 대한 항소심에서 징역 2년6월에 정보통신망 정보공개 5년을 선고했다고 29일 밝혔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아파트 경비원으로 근무하며 이 아파트에 사는 7세의 아동을 강제로 추행했고 현재까지 피해자로부터 용서를 받지 못했으며 피해자 측이 처벌을 원하고 있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그러나 피고인이 범행을 인정하며 잘못을 반성하고 있고 성폭력 범죄로 처벌받은 전력이 없는 점, 피해 회복을 위해 노력한 점 등을 고려하면 원심이 선고한 형은 다소 무겁다고 감형 이유를 설명했다. 앞서 1심은 피고인이 아파트 경비원으로 거주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망각하고 아동을 추행하는 범행을 저질러 피해 아동이 커다란 충격과 고통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며 징역 4년을 선고했다. 한편, A씨는 지난해 7월 인천의 한 아파트에서 경비원으로 근무하며 이 아파트에 사는 B양(당시 7세)을 지하계단으로 데려가 B양의 옷 속으로 손을 넣어 신체 부위를 만진 혐의로 기소됐다. 이인엽기자

내달 개최 ‘진달래축전’ 어쩌나… 강화 구제역 추가발생 ‘초비상’

인천 강화군에 추가 구제역이 발생해 농가와 방역 당국에 초비상이 걸렸다. 26일 인천시와 강화군에 따르면 강화 화도면 장화리 1차 구제역 발생 농가 반경 3km 내에 있는 축사 한 곳에서 추가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 농장은 1차 발생농가로부터 약 500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돼지 822두를 사육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26일 1차 발생농가 돼지 2천300두를 살처분 중이며 추가로 발생한 농장과 3km 이내 나머지 농장 5곳에 대해서는 출입을 통제하고 강화군 전체농가에 대해 구제역 긴급 접종을 실시할 계획이다. 강화군 관계자는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해 당혹스럽다면서 군 전역에 대한 방역확대 등 정부의 구제역 메뉴얼에 따라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제역 발생은 강화지역 축산업뿐만 아니라 관광업 등 지역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농가 이외 지역 주민들도 노심초사하는 등 긴장한 분위기가 역역하다. 특히 다음달 19일부터 개최되는 진달래축전의 개최 여부도 불투명하다, 현재 구제역이 더는 확산되지 않고 진정되면 축전을 예정대로 개최한다는 것이 군의 방침이지만 방역당국은 행사 개최 자제를 권유하고 있다. 주민 A모씨(55)는 지난 2011년도 구제역 파동으로 지역경제가 상당기간 어려움을 겪었는데 추가 구제역 발생 소식에 당시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걱정이 많다며 더 이상 확산을 막기 위한 철저한 방역과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강화군에는 731개 농가에 소 2만2천17마리, 돼지 3만5천100마리 등 5만8천141마리의 가축이 있다. 한의동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