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보 담당업무 변경 ▲법인영업1.2부 담당 黃仁錫 ▲투자사업 담당 朴仁遠 ▲수도지역본부 관리담당 趙東辰 ▲의장 李昇燮 ◇지역본부장 ▲서울 金昌均 ▲수도 金興煥 ▲강남 朴商英 ▲경인 吳圭鉦 ▲대구 李虎榮 ▲부산 張周奉 ◇부서장 ▲영업기획부장 金允植 ▲상품개발부장 朱大鎭 ▲기관영업부장 高錫杓 ▲법인지원부장 李寬鏞 ▲법인영업2부장 龍錫萬 ▲법인영업3,4부 담당 李 正 ▲계약부장 孫容俊 ▲보험심사부장 具本元 ▲고객서비스부장 李載鎬 ▲교육부장 崔德永 ▲중앙연수원 연수부장 申東榮 ▲부동산사업부장 安俊泰 ▲경영관리부장 및 경리부 담당 吳鍾勃 ▲정보시스템부장 朴成燦 ▲홍보부장 金弘準 ▲수도지역본부 관리부장 李根弘 ▲경인지역본부 관리부장 朴花燮 ◇지점장 ▲송파 李在一 ▲은평 李重和 ▲강서 權五周 ▲강남 曺在鉉 ▲영등포 鄭世完 ▲동작 鄭炳勳 ▲통영 車澤烈 ▲서울법인 朴南泫 ▲경인법인 崔福錫 ▲중부법인 柳時顯
【고양】“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자랑스러운 우리 국악의 발전을 위해 더욱 힘쓰겠습니다.” 6일 고양시청 문예회관에서 개막되는 ‘새천년 맞이 국악의 소리와 몸짓’을 주최한 고양국악연구원 김정희 원장(41·여). 지난 77년 호남좌도 필봉농악을 수료한 김 원장은 80년 김영태 선생으로부터 호남우도 가락을, 6년뒤에는 호남우도 설장구까지 사사받았으며, 89년에는 국립국악원에서 사물놀이 과정을 수료했다. 92년 김현규 선생으로부터 ‘고양 12채 가락’을 사사받은 이후에는 국내외를 넘나들며 수많은 공연을 갖고 있다. 특히 94년 8월 고양시 성사동에 고양국악연구원을 설립한뒤 향토문화의 발굴 및 보존에 힘쓰고 있으며, 최근에는 백석·화수·화정초등교와 백석고 등 고양시내 학교에서 방과후 특활활동을 지도하고 있다. 내년 5월에는 춤을 체조화해 시민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우리춤 체조 발표회’를 개최할 계획이라는 김원장은 전남 해남 출신으로 풀빛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다. 남편 홍석씨와 딸 보람양(국악예술고 3년)을 두고 있다./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가 아직도 후진국 수준입니다. 환경친화적인 유황오리의 사육만 활성화된다면 상당부분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해결될 것입니다.” 1만2천여마리의 유황오리를 사육하는 양주군 백석면 오산리 해원농장의 주인 김창수씨(35). 김씨는 농장경영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가장 적절하게 처리하는 쓰레기 처리업주(?)이기도 하다. 연세대학교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한 뒤 모기업 식품공학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하던 김씨는 뜻을 품고 음식물쓰레기를 해소할 수 있는 유황오리 사육에 뛰어들었다. 이미 유황오리의 아버지를 자처한지도 5년째. 10명의 직원까지 거느린 김씨는 의정부시 장암동 동아아파트와 호원동 우성3차 아파트 등 10개 아파트 9천가구와 서울 상계동 3천가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전량 수거, 톱밥 옥수수 유황가루 등을 소량 섞어 유황오리의 먹이로 사용하고 있다. 유황오리 1마리가 하루평균 먹어치우는 음식의 양은 1∼1.2㎏으로 1년동안 농장오리 전체가 소비하는 음식물쓰레기는 모두 12톤에 달한다. 김씨는 또 이렇게 키운 유황오리를 식용으로 개발, 6일 의정부2동에 ‘해원 유황오리집’이라는 환경식당을 개업, 매출액의 일부를 경기북부환경운동연합에 기부할 계획이다. 유황과 음식물찌꺼기를 먹인 유황오리는 사료를 먹여 키운 일반 오리에 비해 간이 3배 이상 크기 때문에 중풍환자에 좋고 약용으로도 효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씨는 “음식물에 비닐과 요구르트병 등이 섞인 것은 예사일 뿐만아니라 올들어 분리수거해 보관중인 칼과 수저만도 1천개가 넘는다”며 “주민들의 분리수거 습관이 올바르게 개선되고 친환경적 사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각 자치단체가 많은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조한민기자 hmcho@kgib.co.kr
【평택】“정치개혁의 성패는 내년 총선의 공명선거 여하에 달렸습니다.” 남상철 평택시 바른선거실천 시민모임 회장(52). 정치개혁입법이 아무리 훌륭해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개혁의 성공이라 할 수 없다는 것이 남회장의 지론이다. 지역사회의 신망이 두터운 정치적 중립 인사 30여명으로 평택시 ‘바선모’가 창립된 것은 올 7월 2일. 남회장은 지난달 23일 평택역 광장을 비롯한 시가지 일원에서 평택시 선관위 직원 자원봉사자 경문대 및 태광고교생 등 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공명선거 캠페인을 갖는 등 2000년 4·16총선의 공명선거 정착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남회장은 공명선거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후보예정자들의 금품 기부행위, 사전선거운동 등을 근절해야 하지만 유권자들도 이를 배척할 줄 아는 성숙된 시민의식운동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남회장은 앞으로 역량있는 회원을 추가로 모집, 불법선거운동에 대한 시민감시를 강화하고 평택시 선관위와 정기적인 모임으로 회원 능력을 배양하는 한편 후보자들의 자질을 검증하는 시민토론회 등을 가질 계획이다. 새마을운동 협의회 평택시 부회장, 지산동 새마을금고 부이사장 등을 지낸 남회장은 본업인 건축업에는 거의 손을 놓다시피 해가며 ‘바선모’운동에 온 정열을 쏟고 있다. /이수영기자 sylee@kgib.co.kr
<과장승진> ▲정밀화학심사담당관 朴佑根<과장전보> ▲유기화학심사담당관 姜完植 ▲농림수산심사담당관 高光玉 ▲특허심판원 심판장 직무대리 延武植 ▲특허심판원 심판관 鄭淳城 ▲특허청 朴永卓 <서기관 전보> ▲심사조정과 洪丁杓 ▲유기화학심사담당관실 鄭 勳 ▲섬유생활용품심사담당관실 閔東植 ▲전기심사담당관실 全相鉉
◇이사관 승진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수부장 張仁太 ◇서기관 승진 ▲지방재정세제국 지적과 崔吉洙 ▲정부전산정보관리소 정보유통과 劉恩淑
▲인천중부경찰서장 朴庸誠 ▲경찰대 총무과장 李相亮
▲원곡면 담당요원 이종란 ▲금광면 〃 이길섭 ▲공도면 〃 (직대) 김규연 ▲총무국 총무과 행정지원팀장 임길선 ▲ 〃 세무과 성경윤 ▲ 〃 총무과 최호경 ▲ 〃 지적과 서수진 ▲보건소 예방의약담당 박영애 ▲ 〃 정덕순 ▲농업기술센터 경제작물담당 김동영 ▲ 〃 안성농업인상담소장 이종일 ▲축산과 송기영 ▲공도면 정숙규 ▲일죽면 신근철 ▲산업건설국 주택과 당용원 ▲공도면 심상철 ▲상수도사업소 박은혜
◇5급 ▲농업기술센터 기술개발과장 직무대리 최원식 ◇6급 ▲문화공보실 김돈겸 ▲총무과 유한준 ▲세무과 강신하 ▲세무과 조성래 ▲환경보호과 홍사승 ▲청소행정과 최현길 ▲지역경제과 이재웅 ▲지역경제과 윤상배 ▲지역경제과 최옹혁 ▲보건소 김계순 ▲군립도서관장 박성훈 ▲태안읍 권혁설 ▲봉담읍 정지형 ▲서신면 정신섭 ▲서신면 차인기 ▲팔탄면 이현주 ▲우정면 안병호 ◇7급 ▲세무과 박태경 ▲세무과 최종호 ▲지적과 박미랑 ▲청소행정과 고광록 ▲농림과 홍사환 ▲근로종합복지관 홍상희 ▲의회사무과 오석만 ▲비봉면 신현배 ▲서신면 김혜숙 ◇8급 ▲세무과 김영자 ▲세무과 박신영 ▲세무과 이성섭 ▲세무과 변창권 ▲향남면 이태복 ◇9급 ▲문화공보실 조진규 ▲세무과 우범두 ▲청소행정과 김진경 ▲농림과 심연보 ▲지역경제과 김인수 ◇기능직 ▲지적과 최혜선 ▲상수도사업소 김일기 ▲상수도사업소 심익보 ◇신규 ▲건축과 황국환 ▲봉담읍 엄태희 ▲비봉면 박영조 ▲양감면 윤상만 ▲서신면 배상훈 ▲청소행정과 유청모 ▲청소행정과 곽대근 ▲건설과 장병순 ▲축수산과 전종연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은 4일 제17회 경기중소기업인상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을 가졌다. ▲수출부문:연천군 전곡읍소재 ㈜아이비상사(대표 김승미)는 92년 설립된 구두, 가방 등 소가죽 피혁원단을 제조·수출하는 업체로 지난해 총매출액 대비 91%(890만달러)를 수출한 업체이다. 또 지난해 홍콩레더쇼 국제박람회에 이어서 올해도 국제피혁박람회에 제품을 출시하는 등의 해외시장공략에도 적극나서고 있다. ▲기술부문:안양시 동안구 관양동소재 ㈜동방화닉스(대표 김태구)는 95년 설립돼 선진공장자동화 시스템의 국산화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제2의 반도체라고 하는 TFT-LCD및 리튬이온전지 생산에 없어서는 안되는 핵심설비를 국산화했다. 이에 TFT-LCD 모듈공장의 AGAIN시스템, PCB BONDER, OCR, ID시스템등은 LG LCD공장에 6개라인이 설치되어 그에 따른 수입대체 효과를 보고있다. ▲우수사원부문:양주군 남면소재 태영화학공업㈜(대표 백승진)의 박종구 과장은 94년 입사해 주 생산품인 PVC전기절연용 접착테이프분야에서 동종업계 최초로 ISO 9002/100PPM/ISO 9001 인증획득과 더불어 품질시스템을 체계화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특히 TV브라운관용 PVC접착테이프개발에 성공해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 오던 테이프를 국산화시키는 등 기술개발에 힘써왔다./심규창기자 kcshim@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