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서해안 시대의 주역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는 서구의 희망찬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인천시 서구청 최철 도시국장(50)의 각오. 지난 71년 공직과 인연을 맺었으며 도시정비과, 공영개발사업단, 지하철건설본부 및 상하수관리과 등 주요 사업부서를 두루 거친 뒤 97년 지방시설서기관으로 승진, 종합건설본부 도로관리부장을 역임했다. 인자한 성품에 매끄러운 업무처리 능력이 돋보인다는 주위의 평. 부인 김종분씨(46)와 2남, 취미는 축구, 유도. /한경일기자 gihan@kgib.co.kr
‘민족의 평화와 통일을 위하여’거제에서 서울까지 ‘남북통일 기원 1천200리 도보행진’을 성공리에 마친 60대 노인들이 있어 화제다. 김봉임(65)·김천일(65)할아버지는 지난 3일 거제 동부면을 출발, 국도와 지방도를 따라 도보행진 끝에 16일 5시간만인 지난 19일 낮 12시께 서울 남대문에 도착했다. 이들이 통과한 노선은 거제∼충무∼진주∼함양∼금산∼대전∼수원∼서울 노선. 이들은 당초 23일간의 일정으로 출발했으나 예상보다 1주일을 앞당겨 서울에 도착 했다. 행진 내내 가장 힘들었던 것은 발과 무릎관절의 통증. 김봉임할아버지는 출발 5일째 되던 날 발가락과 발목 전체가 붓고 무좀이 성화를 부려 밤새 앓기도 했다. 그러나 통일기도로 마음을 다지고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생각하며 이를 이겨나갔다. 이들은 출발전에 “그저 노인들이 통일을 위하는 마음을 실천하는 만큼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라”고 가족들에게 신신당부했다. 이때문에 20㎏의 배낭을 맨 힘겨운 행진동안 여느 국토순례 행진처럼 도로변에서 환호하는 사람들도 없었다. 또 남대문에 도착한 당일에도 가족들만 참가한 가운데 조촐한 환영행사로 그간의 피로를 씻었다. 그러나 지나가는 시민들은 이들의 손을 잡고 “수고하셨다”는 말을 아끼지 않았다. “통일에 조그마한 초석을 더한 것 같아 기쁘다”는 김봉임 할아버지는“통일이 되면 남대문에서 백두산까지 다시 행진할 것”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한국토지공사 ◇토지연구원장 吳福龍 ◇승진 ▲경영정보처장 金朱烈 ◇1급 전보 ▲관리처장 尹錫鍾 ▲재무관리처장 權載郁 ▲보상사업처장 方進爀 ▲경기지사장 申福鉉 ▲제주지사장 崔明燮 ▲경북지사장(직무대리) 金成浩 ◇2급 전보 ▲경영관리실 경영평가부장 申東俊 ▲경영관리실 법규제도부장 金向泰 ▲고객지원처 고객기획부장 韓用泰 ▲사업개발처 토지박물관장 金英雄 ▲연구개발처 연구계획부장 李吉榮 ▲연구개발처 연수실장 呂勝九 ▲경영정보처 경영정보부장 裵孝東 ▲부산지사 녹산사업단장 金昌흡 ▲경기지사 동백PM팀장 洪昌鉉 ▲충북지사 오창사업단장 張連錫 ▲충남지사 부지사장 柳寅出 ▲택지사업1처 총괄부장 朴榮振 ▲인천지사 부장급 裵國烈 ▲경남지사 부장급 金炫斗 ▲용인사업단 부장급 成太基
노동부 ◇서기관 전보 ▲노동경제담당관 曺在正 ▲노사협의과장 許元榕 ▲서울지방노동청 관리과장 李英世 ▲경인〃 〃 河美容 ▲대전〃 〃 崔基玹 ▲대구〃 李鍾鎬 ▲광주〃 李世鉉 ▲서울관악지방노동사무소장 崔重寬 ▲춘천지방〃 文起燮 ▲진주〃 姜鍾喆 ▲포항〃 鄭海柱 ▲구미〃 李昌雨 ▲의정부〃 趙京元 ▲전주〃 孫正貴 ▲충주〃 田雲培 ▲보령〃 宋寅奭 ▲중앙노동위원회 사무국 高長洙 朴仲杰 ▲대통령비서실삶의질향상기획단 파견 李秀英
평택시 ◇승진 ▲송탄출장소 배선철 ▲〃 윤두현 ▲보건소 오정화 ▲〃 조민수 ▲〃 박현주 ▲〃 양덕례 ▲총무과 한정우 ▲청소과 홍성윤 ◇전보 ▲기획감사담당관실 박상일 ▲〃 강정화 ▲총무과 김형태 ▲수도사업소 나강문 ▲사회과 백승옥 ▲건설과 강석운 ▲〃 최기선 ▲회계과 신승섭 ▲〃 김용현 ▲〃 이현희 ▲민원과 김숙희 ▲문화관광과 김인옥 ▲〃 정옥경 ▲도시과 박미미 ▲보건소 최용권 ▲차량등록사업소 박숙자 ▲〃 김용우 ▲〃 김현숙 ▲농업기술센타 오정대 ▲〃배상진 ▲운동장관리소 정영인 ▲팽성읍 이윤제 ▲안중출장소 방효강 ▲〃 박윤원 ▲ 〃 황승용 ▲〃 이미성 ▲〃 김종수 ▲〃 정욱래 ▲〃 전영세 ▲〃 안종하 ▲〃 배영렬 ▲송탄출장소 권은경 ▲〃 문선희 ▲〃 박영미 ▲〃 안미양 ▲〃 유병현 ▲〃 이강식 ▲〃 박현철 ▲원평동 오미옥 ▲통복동 최정용 ▲비전1동 김윤숙 ▲비전2동 조미경 ▲세교동 김연희
인천지방중소기업청은 21일 우수벤처기업 등 3개 분야에 대한 ‘제4회 미추홀 중소기업상 대상업체’를 선정 발표했다. 우수중소 벤처기업으로 선정된 주방용품 전문생산업체 ㈜리빙아트(대표·강만수)는 꾸준한 기술개발로 ISO 9002인증과 Q마크를 획득, 총 생산제품의 30%를 미국과 유럽등지에 수출하고 있다. 수출유망중소기업 수상업체로 선정된 ㈜우주통신(대표·김형태)은 CC-TV용 모니터와 카메라 부품 및 보안장비를 생산하며 지난해 수출실적이 전년 대비 21.4% 증가한 1천670만불을 기록한데다 총 매출액의 90% 이상을 유럽 등 선진국에 수출,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유망 수출업체다. 경영혁신 분야에 선정된 영신기공㈜(대표·이석원)은 국내 최초로 이동식 교량점검대를 개발해 각종 교각과 교량의 유지보수비를 절감하며 98년 64억,99년 109억, 2000년 240억(예상) 등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고속성장을 이뤄내고 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앞으로 의원들 모두가 분골쇄신하는 자세로 정진하여 생산적이고 대안을 제시하는 의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포천군의회 후반기 서장원 의장(43·포천읍)의 취임 소감. 2대와 3대 포천군의회 산업건설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온화한 성격으로 대인관계가 원만하다는 평. 포천읍 농업경영인회 회장 출신으로 부인 최미자씨(36)와 2남, 취미는 축구. “부족한 저를 선출해 준 동료 의원들에게 감사드리며 행정의 감시자가 되어 군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포천군의회 후반기 이흥구 부의장(45·소흘읍)의 당선 소감. 제3대 포천군의회 전반기 내무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지역 일꾼으로 모든 일에 솔선수범한다는 평. 소흘읍 농업경영인회 회장출신으로 부인 염옥자씨(42)와 2남1녀. 취미는 등산. /포천=이재학기자 jhlee@kgib.co.kr
“풍부한 자원이 잠재된 경기북부에 벤처의 바람을 불어넣겠습니다.” 벤처의 불모지 경기북부지역에서 21세기형 아이템 창출에 주력하고 있는 부벽엔텍 최용덕대표(39·의정부시 의정부2동·신흥대학 식품영양학과 겸임교수). 최 대표가 벤처의 길에 처음 뛰어든 것은 벤처라는 말이 일반인들에게 채 알려지지도 않았던 지난 80년대 말. 당시 그는 하수슬러지가 유발하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처리방안 마련에 모든 시간을 투자했다. 하수슬러지에 대해 고민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던 당시의 분위기에서 그의 생각은 벤처 그 자체였다. “지금은 오염을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자원으로도 재활용 할 수 있는 길이 선진국에서 개발돼 그 방법을 일선 자치단체에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요즘 최대표가 주력하는 분야는 정수처리 및 공업용수처리 과정에서 오염을 극소화 시키는 전처리장비의 개발과 변압기의 오일검사를 통해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분석장비 및 관리프로그램의 상품화다. “사업의 승패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에앞서 각종 오염원의 증가로 파괴되고 있는 환경에 대해 보다 심각한 고민을 해야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하는 그에게는 21세기를 이끌어 가는 진정한 벤처인의 모습이 배어 있다. /의정부=배성윤기자 sybae@kgib.co.kr
<군포시> ▲시민봉사국장 윤영로 ▲시민회관장 이상희 ▲세정과장 송태윤 ▲시민만족실장 유재식 ▲사회과장 신상호 ▲의회사무과장 성시규 ▲오금동장 이연재 ▲교통행정과장 임명호 ▲주민자치과장 박흥복 ▲산본1동장 최인엽 ▲의회사무과 전문위원 심규형 ▲시설관리과 양동오 ▲민원봉사과 구자돈 ▲행정지원과 김영규 ▲〃 전상표 ▲청소과 진철호 ▲교통행정과 김영기 ▲도서관 정인숙 ▲주민자치과 손각규 ▲산본2동 윤성섭 ▲시민회관 이정문 ▲군포1동 이길우 ▲궁내동 이선주 ▲주민자치과 안종국 ▲교통행정과 서광원 ▲문화체육과 이병진 ▲청소과 고수연 ▲건축과 박상규 ▲건설과 김상만 ▲기획감사실 김상율 ▲의회사무과 한대희 ▲궁내동 장혜명 ▲사회과 최명수 ▲행정지원과 오 숙 ▲건축과 송동진 ▲도시과 고재학 ▲도서관 이현미 ▲여성복지과 장명자 ▲군포1동 송경주 ▲군포2동 주영철 ▲군포2동 유미순 ▲광정동 이춘자 ▲재궁동 김진희 ▲〃 허영미 ▲상수도사업소 전종남 ▲정보통신과 최재만 ▲주민자치과 박미정 ▲행정지원과 윤영미 ▲노사지원과 우연순 ▲기획감사실 양애자 ▲민원봉사과 원경아 ▲사회과 신창숙 ▲시민회관 이미숙 ▲민원봉사과 김명숙 ▲교통행정과 정명자 ▲시설관리과 최희경 ▲사회과 조선민 ▲교통행정과 유병용 ▲청소과 황상용 ▲세정과 최영수 ▲군포1동 유인식 ▲산본1동 김지숙 ▲산본2동 남정임 ▲정보통신과 장혜정 ▲상수도사업소 김기년 ▲녹지과 김태일 ▲상수도사업소 신승은 ▲시민회관 박정근 ▲도서관 손병문 ▲회계과 하태현 ▲기획감사실 이동섭 ▲사회과 이정오 ▲시설관리과 황희정 ▲상수도사업소 최건오 ▲회계과 김광래 ▲행정지원과 신영진 ▲정보통신과 이진섭 ▲재궁동 권희경 ▲군포2동 정은희 ▲〃 황미선 ▲오금동 조규형 ▲광정동 박인순 ▲군포1동 서재형 ▲대야동 곽근수 ▲정보통신과 강혜숙
“장애인 국가대표선수들의 국위선양에 한몫 하겠습니다.” 산재병원인 중앙병원이 경기용 휠체어 25대를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기증한다. 이 병원은 보유중인 일제(日製) 경기용 휠체어 30대중 연구용 5대를 제외한 25대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서울지부에 전달한다. 협회측은 이들 휠체어를 오는 10월 개최 예정인 시드니 장애인올림픽경기에 파견할 국가대표 선수와 임원들에게 지급할 예정이다. 이 병원은 지난 96년 인천의 모 보세창고업체가 인천시에 무상으로 기증한 휠체어를 시가 병원측에 다시 기증하면서 대당 300여만원인 경기용 휠체어 30대를 보유하게 됐다. 이 경기용 휠체어는 지난 80년대 중반 86 아시안게임 및 88서울올림픽과 동시에 열리는 국제장애인 경기대회를 겨냥, 한 수입업자가 일본에서 100대를 수입, 보세창고에 보관한 뒤 찾아가지 않자 보세창고업자가 이를 시에 기증한 것. 시는 이를 지역내 지체장애인협회에 40대, 장애인복지시설협회와 중앙병원 등에 30대씩 전달했다. 중앙병원은 휠체어를 장애인 환자에게 지급하려 했으나 경기용이어서 의자폭이 좁은데다 브레이크가 없어 그동안 창고에 보관해오다 연구용 5대를 제외하고 모두 국가 대표선수들에게 기증키로 결정했다. 한국장애인 재활협회 서울지부 정금종회장은 “경기용 휠체어가 부족해 선수들이 연습하는데 어려움이 컸었다”며 “중앙병원의 이같은 결정으로 선수들의 사기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