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설 차례상 물가 전통시장보다 10만원 이상 비싸

전통시장에서 설 차례상 품목을 구매할 경우 대형마트보다 10만원 이상 절약할 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는 설을 2주 앞두고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차례상 품목 물가를 조사한 결과 올해 설 4인 가족 기준 차례상 비용이 전통시장 24만700원, 대형마트 34만4천200원으로 추산된다고 27일 밝혔다. 전통시장에서 장을 볼 경우 대형마트보다 10만3천500원 절약할 수 있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차례상 물가는 지난해 대비 각각 16.4%(3만4천원), 18.0%(5만2천720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물가정보는 지난해 긴 장마와 연이은 태풍 등 악재가 계속된 데다 올해 초 한파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까지 겹쳐 농산물 전반에 크게 영향을 끼치며 전체적인 차례상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미 많이 오른 계란을 비롯해 대부분 품목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 보면 과일류는 사과(부사 3개) 가격이 지난해 설에는 9천~9천980원이었지만 올해는 1만2천~1만8천원으로 33.3~88.5% 올랐다. 곶감(10개)은 작년 설 기준 8천원에도 살 수 있었지만 올해는 1만원을 넘겼다. 대파는 1단 기준 4천~4천980원에 판매돼 지난해 설보다 최대 2배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육류는 지난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수요가 급증하며 가격이 오른 이후 아직도 그 기세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도 지난해 생산량이 크게 줄며 가격이 올랐고 쌀이 주재료인 떡 가격도 덩달아 상승했다. 이와 관련,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지난 21~22일 서울 시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백화점 등 90곳의 설 차례용품 25개 품목 가격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차례상 비용은 6만원가량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경우 22만2천189원, 대형마트는 28만1천154원으로 집계됐으며 전통시장에서 판매하는 축산물과 채소 등 대부분 품목이 대형마트보다 최대 32%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일반슈퍼마켓은 22만6천643원,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28만2천205원, 백화점은 39만8천원으로 조사됐다. 한수진기자

‘배달특급’ 서비스 지역 확대 박차 가하고 나서

배달특급이 3개 시범지역을 넘어 도내 서비스 지역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기도주식회사(대표이사 이석훈)는 올해 2월 말 포천시를 시작으로 3월 수원시와 김포시 등 5개 지자체 시범지역을 포함, 총 28개 지자체로 서비스 지역을 넓히겠다고 25일 밝혔다. 당초 계획은 올해 연말까지였으나 여전히 높은 민간배달앱의 수수료와 코로나19로 고통받는 도내 소상공인을 위해 서비스 지역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게 경기도주식회사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현재 경기도주식회사는 수원과 김포, 이천, 양평, 포천 지역에서 가맹 신청을 받고 있다. 포천시의 한 예비 가맹점주는 민간배달앱을 사용하면서 높은 수수료를 내는 것에 대해 불만이 많았는데, 공공배달앱이 출시됐다는 소식을 접하고 빠르게 가입했다며 꼭 잘돼서 많은 동료 업주들과 상생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석훈 대표이사는 계획을 최대한 앞당겨 상반기 안에 28개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앱 자체 안정성과 고도화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니 많은 신청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배달특급은 사전신청을 포함 총 9천500여개의 가맹점이 등록했으며 총 가입회원 약 13만명, 누적 거래액 45억원을 돌파했다. 한수진기자

삼성전자, ‘비스포크’ 무풍에어컨 선보인다

삼성전자가 2021년형 무풍에어컨 신제품을 24일 공개했다. 2021년형 무풍에어컨 중 가장 먼저 출시되는 무풍갤러리에는 새로운 디자인과 인공지능(AI) 기반 위생ㆍ편의 기능이 강화됐다. 무풍갤러리는 직바람을 없애고 소비전력을 줄여주는 무풍냉방뿐 아니라, 서큘레이터 팬을 활용해 사각지대 없이 급속 냉방을 구현하는 하이패스 서큘 냉방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AI 기술로 알아서 제품을 간편하게 관리해주는 이지케어 AI 기능과 필요 시 소비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제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지케어 셀프 기능도 탑재했다. 이지케어 AI는 ▲에어컨 내부 습도를 감지해 사용자 니즈에 맞게 건조 옵션을 제공하는 맞춤 건조 ▲열교환기에 영하 20℃의 아이스캡슐을 만들어 표면에 붙은 오염물을 얼린 뒤 해동해 기기 외부로 배출해 주는 워시클린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모터, 센서, 실내외기, 냉매 등에 대한 상태를 진단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AI 진단 기능으로 구성된다. 이밖에 PM1.0 필터와 e-HEPA 필터를 활용해 유해 세균(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을 99% 이상 살균하고 바이러스를 99% 이상 없애 주는 청정안심필터 시스템도 적용했다. 김태희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