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희정의 경매이야기]남들이 꺼리는 물건에 숨은 보석이 있다

개발제한구역내의 임야나 농지, 농업 진흥구역 내의 절대농지, 법정지상권이나 유치권이 있는 물건 등 누구나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물건들이 의외로 많다. 경매에서 언제나 인기가 많은 아파트나 주택 등은 권리분석이 비교적 쉽고 까다롭지 않기 때문에 경매 초보자들과 실수요자들이 많이 몰린다. 낙찰이 되더라도 예전처럼 큰 수익을 내기란 쉽지 않다. 간혹 시기적으로 보아 비수기 때 감정이 돼 저평가 된 물건들이 나오긴 하지만 경쟁률이 만만치 않다. 남들이 꺼리는 물건 등에 눈을 돌려보면 숨은 보석을 찾을 수 있다. 토지는 적어도 2~3년 길게는 5년 후를 내다보고 장기투자를 해야 한다. 살 때는 개발제한구역내의 땅을 싸게 낙찰 받았는데 2년 후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돼 몇 배의 시세차익을 보는 일도 있다. 꾸준한 정보 습득과 손품 발품도 팔아 나의 기회를 만들어 보는 것도 재테크의 달인이 되는 길이다. 자료제공 : 수원법률경매정보(주) Tel:031-212-3007 1. 매물종류: 상 가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1층 건물) ▲감정가: 7억8천만원 ▲최저가: (49%) 3억8천200만원 ▲토지면적: 1184㎡ (358.16평) ▲건물면적: 228.8㎡ (69.21평) ▲보존등기일: 2009년1월9일 ▲매각기일: 6월14일 ▲이용상태: 용유초등교 무의분교 남동측 인근에 위치 / 주위는 주택과 펜션 및 농경지 등이 혼재 해안농촌지대 / 제반차량의 접근이 가능 영종도와 연계된 잠진도선착장에서 무의도 큰무리선착장까지 선박이 운행 섬지역 내에서 마을버스가 정기운행 교통사정은 다소 불편함 / 서측 및 남측 각각 노폭 약5m 4m의 도로에 접함 / 경제자유구역. 2.매물종류: 토 지 ▲소재지: 화성시 진안동 2필지 (답) ▲감정가: 3억5천800만원 ▲최저가: (64%) 2억2천900만원 ▲토지면적: 1557㎡ (470.99평) ▲평당가: 48만원 ▲매각기일: 6월 8일 ▲이용상태: 진안중학교 북서측 근거리에 위치 / 주위는 경지정리된 답이 주를 이루는 농경지대임 / 소형차량 및 농기계 진입가능 인근에 버스정류장 소재 등 제반 교통여건은 보통시됨 /-사다리형의 평지 / 북동측 노폭 약 3미터의 포장도로에 접함. 3.매물종류: 주 택 ▲소재지: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방아리 ▲감정가: 2억3천500만원 ▲최저가: (64%) 1억5천100만원 ▲토지면적: 553㎡ (167.28평)▲건물면적: 171㎡ (52평) ▲보존등기일: 2005년2월21일▲매각기일: 6월14일 ▲이용상태: (방3 거실 주방.식당 욕실2 등) / 방주골마을동측 인근에 위치 / 주변은 농가주택 농경지 공장 임야 등 이루어진 지역임 / 차량접근 가능 대중교통상황은 다소 불편시됨 / 남측 폭 약3m - 4m의 포장도로와 접함. 4. 매물종류: 아파트 ▲소재지: 수원시 권선구 곡반정동 580 삼성아파트 ▲감정가: 2억4천만원 ▲최저가: (64%) 1억5천300만원 ▲대지권: 41.623㎡ (12.59평) ▲전용면적: 84.8381㎡ (25.66평) ▲보존등기일: 2000년12월4일▲매각기일:6월20일 ▲이용상태: (방3) / 주변은 아파트단지 단독 다가구주택 및 각종 근린생활시설 등이 혼재한 정비된 주택지대 / 시내버스정류장이 인근에 위치.

수원ㆍ용인ㆍ평택 등 대기업 입주 … 수혜지역 '분양아파트' 관심

수원, 용인, 평택 등의 지역에서 대기업 시설공사가 본격화되면서 이들 수혜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부동산정보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경기도가 최근 2년 사이 삼성전자, LG전자, CJ제일제당 등의 공장 및 연구소를 유치함에 따라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원 디지털시티내 삼성 연구개발(R&D) 디지털시티 R5는 오는 2013년 5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이곳에 상주하는 연구인력만 1만명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기존 정보통신연구소(R3), 디지털연구소(R4)의 상주인원 1만3천명이 더해지면 삼성전자 상주인원은 모두 2만3천여 명에 달하게 된다. CJ제일제당도 수원 광교신도시 첨단산업연구단지 3만7530㎡에 4개 연구소를 통합한 CJ제일제당 ONLY ONE R&D센터를 공사 중이다. 2013년 말 완공 예정으로 연구인력만 800여 명에 달하는 등 약 1천명의 인력이 상주하게돼 광교신도시와 인접한 용인, 기흥 일대, 수원 영통지역 수혜가 예상된다. 동부건설이 현재 용인 영덕동 513에 분양 중인 영덕역센트레빌은 삼성 디지털시티와 약 1.5㎞ 정도 떨어져 있고 첨단산업연구단지와도 가까워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된다. 이 아파트는 전용면적 84㎡, 101A㎡, 101B㎡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현재 잔여물량을 분양 중이다. 분양가는 84㎡가 3억7천만원으로 계약금 10%, 중도금은 전액 무이자 융자 지원된다. 용인시 서천동 서천지구1블록에 전용면적 74~84㎡ 826가구가 들어서는 서천휴먼시아도 잔여물량을 현재 분양 중이다. 84㎡가 2억8천900만원이며 2013년 1월 입주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투자하는 평택지역도 관심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0년 평택시 고덕국제신도시에 395만㎡ 규모의 산업단지를 조성키로 협약, 현재 착공에 들어가 2020년께 산업단지 조성을 마칠 계획이다. 이곳에는 삼성전자가 미래산업으로 준비 중인 태양전지, 연료 전지 등 신수종 생산 시설이 건설된다. LG전자도 평택시 진위면 가곡리 일원에 진위2일반산업단지 조성과 관련, 양해각서를 평택시와 체결했다. 전기자동차, 발광다이오드(LED)조명,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2만5천여 명의 신규고용이 일어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유동인구는 10만명에 가까울 전망이다. 고덕신도시 삼성 산업단지 조성으로 주목받는 이곳에서는 비전동 '효성백년가약'이 중도금 무이자, 발코니 무료확장 등의 조건으로 잔여물량을 분양 중이다. 소사벌지구 B-4블록에 전용 85㎡ 3개 타입 1085가구가 오는 8월 입주 할 예정이다. 분양가는 2억8천만원~3억600만원 선으로 비전동 일대 신규 아파트와 비슷하다. ㈜KCC는 총 2조원을 투자해 안성시 미양면 일대에 36만6천952㎡ 규모로 제4산업단지 조성공사를 진행 중이다. 준공은 2013년 말 예정이며 완공되면 약 3천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4산업단지에는 LED태양광 에너지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선다. 이 지역에서는 현재 공도읍 벽산블루밍시티를 분양 중이다. 전용면적 84~165㎡ 1천378가구의 대단지로 발코니 확장, 새시 등을 무료로 시공해 준다. 현재 전용 130㎡ 이상 대형 주택위주로 잔여물량이 남아 있으며 지난 2010년 8월 말 입주한 아파트다. 권일 리얼투데이 팀장은 최근 부동산 시장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임대수요나 직장 수요가 많은 곳 위주로 선별적인 차별화 장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TOP 10’ 아니면 발도 못 붙이는 건설시장

경기지역 재개발재건축 수주시장을 10위권내 대형 건설사들이 장악하면서 건설업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올들어 5월말까지 경기지역에서 시공사를 선정한 재개발재건축 사업지는 총 14곳으로 이들 모두 시공능력평가순위 10위권 건설사가 단독 또는 컨소시엄으로 시공권을 확보했다. 특히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 대우건설이 각각 4곳의 시공권을 따냈다. 현대건설은 안산 선부동2구역 재건축, 안양 융창아파트주변지구 재개발, 안산 중앙주공1단지 재건축, 수원115-6구역 재개발 시공사로 선정됐고 포스코건설은 부천 원미6B구역 재개발, 광명1R구역 재개발, 안양 호계주공아파트주변지구 재건축, 안양 진흥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따냈다. 대우건설은 부천 원미6B구역 재개발, 수원115-6구역 재개발, 안양 진흥아파트 재건축, 의왕 내손라구역 재개발 사업의 시공권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GS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이 3곳씩 시공권을 따냈으며 롯데건설이 2곳, 대림산업이 1곳에서 시공을 맡게 됐다. 시평순위 10위권 밖 건설사 중 경기지역에서 수주실적을 올린 건설사는 한화건설과 코오롱글로벌 등 단 두곳에 불과했다. A건설사 관계자는 대규모 재개발재건축 수주시장 마저 대형건설사들이 독식하고 있어 중소 건설사는 설자리가 없다며 입찰이나 주택 공급에서 유리한 조건을 제시해도 수주 자체를 따내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 관계자는 경기지역 중견 건설사들이 대형 건설사에 비해 영업력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지만 중견 건설사가 자격을 갖추더라도 인지도와 선호도에서 밀리기 때문에 아예 입찰에 참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경기지역 중견건설사들이 소규모 도시형생활주택이나 지분 형태의 사업 참여 등 생존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4개월 연속 ‘미분양 주택’ 감소

미분양 주택이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4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1천385가구로 지난 3월 6만2천949가구에 비해 1천564가구가 감소했다. 경기도 등 수도권 미분양주택은 지난달에 비해 846가구가 감소한 2만6천115가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연속 미분양 주택 가구 수가 줄어든 것이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에서 214가구, 김포시 운양동에서 711가구 등 송도김포한강 신도시 지역에서 신규 미분양이 발생했지만 경기( -1천543가구), 인천( -187가구), 서울( -41가구) 등 모든 지역에서 미분양 주택이 감소했다. 규모별로 살펴보면 85㎡ 초과 중대형은 3만4천267가구(수도권 1만6천873가구, 지방 1만7천394가구)로 지난달 대비 1천307가구(수도권 -568가구, 지방 -739가구) 줄었다. 85㎡ 이하도 2만7천118가구(수도권 9천242가구, 지방 1만7천876가구)로 지난달 대비 257가구(수도권 -278가구, 지방 +21가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달 3만438가구를 기록했으나, 4월에는 2천211가구(수도권 -831가구, 지방 -1천380가구) 줄어들어 총 2만8천227가구를 기록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매매價 육박 전세價 ‘장기침체 요지경’

부동산 경기침체 장기화로 경기지역에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차이가 없는 아파트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21일 도내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하락하고 전세가격은 상승하면서 전세와 매매 가격 격차가 좁아지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용인시 기흥구 A아파트 (59㎡)의 경우 전세가격이 1억3천만원대로 저층 급매물 아파트 매매가격과 비슷한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전세가격 상한가와 매매가격 하한가의 시세가 같아진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군포시 B아파트(59㎡)는 매매 하한가가 1억1천만원인데 반해 전세가격은 1억원을 호가하고 있어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차가 1천만원밖에 나지 않고 있으며, 안성시 C아파트(84㎡)도 매매가격은 1억원 수준인 반면 전세가격은 9천만원에 형성되고 있다. 수원시 장안구 D아파트(84㎡)는 평균 매매가격은 최근 1년간 거의 변화가 없이 1억3천250만~1억3천500만원 수준이지만 전세가격은 9천150만원에서 1억1천250만원까지 올라 격차가 2천만원 정도 밖에 나지 않는다. 이처럼 같은 단지에서도 매매 하한가와 전세 상한가의 격차가 크게 줄어든 곳이 속출하고 있다. 국민은행 조사결과 현재 수도권 전세비율은 각각 51.7%, 53.5%로 모두 8년8개월 이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인 전세비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오산시 부산동(72%), 군포시 금정동(69%), 수원시 정자동(67%), 용인시 남동(66%) 등 전세가격과 매매가격과의 차이가 크지 않다. 부동산업계는 이처럼 전세비율이 높아지면 일부 매매수요로 전환되기도 하지만 집값이 더 하락할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에서는 전세비율은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도내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으면 전세비율이 아무리 올라도 매매가 활성화될 수 없다며 높은 전세비율이 당장 매매시세로 전환하기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아파트시세표]수도권 아파트 시세 조정 양상

510 대책이 나온 후 주요 대책의 누락에 따른 실망감이 확산되면서 오히려 올랐던 매물 가격이 조정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요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지난주 아파트 시세는 서울(-0.03%) , 신도시 (-0.02%), 수도권 (-0.01%) 모두 소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신도시의 경우 일산과 산본은 변동이 없었고 평촌(-0.06%), 분당(-0.02%), 중동(-0.01%) 등이 떨어졌다. 평촌은 일부 저가 중소형 매물이 거래되면서 하향 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비산동 은하수신성과 은하수벽산, 호계동 무궁화태영 등 중소형이 250만원~500만원 정도 하락했다. 분당은 거래 공백이 계속되면서 중소형도 하락했다. 정자동 한솔주공4,6단지와 야탑동 목련한신 등이 250만원~500만원 가량 떨어졌다. 신도시를 제외한 경기지역은 하남(-0.04%), 용인(-0.02%), 과천(-0.02%),안양(-0.02%) ,고양(-0.02%) ,군포(-0.01%) ,수원(-0.01%) 등이 내렸다. 하남지역의 경우 덕풍동 하남풍산I`PARK1단지를 비롯해 하남풍산아이파크5단지, 삼부르네상스 등 중대형이 100만원~250만원 정도 떨어졌다. 용인 역시 거래 부진으로 중대형이 가격 하락을 주도했다. 보정동 행원마을동아솔레시티를 비롯해 언남동 구성효성, 상현동 만현마을1단지롯데캐슬 등 중대형이 250만원~1천만원 가량 내렸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용인·안양·성남 등 364필지 공급

LH 경기지역본부는 용인안양성남안산 등 5개 권역 11개 사업지구내 토지 364필지를 수의계약 방식으로 공급한다고 17일 밝혔다. 용인서천지구에서는 상업용지 7필지를 3.3㎡당 1천만원의 분양가격으로 공급중이다. 용인서천지구는 용인시 서천동 농서동 일대 114만㎡ 규모의 택지개발 지구로 주변에 삼성전자 기흥, 동탄, 수원사업장이 위치하고 수원 생활권으로 동탄과도 가까워 입지조건이 좋다. 용인구성지구에서는 일반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주거전용단독주택지 10필지를 3.3㎡당 350만원의 분양가격으로, 지자체 추천자격을 갖춘 수요자를 대상으로 도시지원시설용지 1필지(2만4천139.9㎡)를 404억3천400만원의 분양가격으로 공급한다. 특히 도시지원시설용지는 용인구성지구의 중심에 위치하여 뛰어난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어 도시형공장, 벤처기업집적시설, 소프트웨어진흥시설 및 업무시설로 적합하다. 또 성남판교도촌, 화성향남 등 발전가능성이 높은 주요 사업지구내 단지내 상가도 수의계약으로 공급중에 있어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실수요자와 안정적인 임대료 수익을 원하는 수익형부동산 투자자라면 눈여겨 볼만하다. LH 관계자는 본부 주요사업지구내 다양한 용도의 알짜 토지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용인구성지구내 주거전용단독주택지와 용인구성흥덕서천지구 등 뛰어난 입지여건과 발전가능성을 갖춘 사업지구내 상업용지에 대해 투자자들이 높은 관심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하우스 푸어의 선택… 경매 ‘풀 하우스’

용인에 사는 L씨(50)는 요즘 집 생각만 하면 머리가 아프다. 자영업을 하는 이씨가 운영하던 업체가 문을 닫으면서 2억원에 달하는 아파트 대출금을 감당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최근 이씨는 아파트 담보 대출을 받은 은행으로부터 아파트 경매를 진행하겠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처럼 경기침체로 하우스푸어들의 몰락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씨의 경우처럼 아파트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1금융권부터 기타 금융권까지 수도권 아파트 경매 청구액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16일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최초 경매진행 사건을 조사한 결과 지난 3월 금융권의 청구 금액이 사상 최고치인 2천2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월에도 최고 수준인 1천972억원이 청구됐다. 경매청구건수도 지난 3월 681건, 4월 629건으로 크게 많아졌다. 금융권의 청구금액 증가는 하우스 푸어에 대한 자금 상환 독촉이 심해졌으며 자금 상환을 못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민,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청구액이 737억원을 기록했다. 1금융권 청구액은 정점을 찍었던 2009년 9월 848억원 이후 다시 700억원대를 넘어섰다. 이어 저축은행이 395억원, 기타 금융기관이 840억원으로 조사됐다. 저축은행은 673억원으로 정점을 찍었던 2010년 11월의 58% 수준이나, 기타 금융기관의 청구액은 올 4월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같은 하우스푸어의 몰락은 앞으로도 계속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법원 경매는 최초 경매가 진행되기 전까지 5~6개월 가량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4월 경매된 아파트는 지난해 하반기 무렵 경매에 넘어간 물건으로 추정된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샀던 사람들이 이자 상환도 못하게 되자 결국 이들 아파트가 경매물건으로 쏟아지고 있다며 아파트 매입자 중에는 상환능력이 부족함에도 저축은행과 같이 대출이자가 높은 곳에서 대출을 받았던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분석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6월 분양시장, 5·10부동산 대책 시험대

510 부동산 대책으로 정부가 풀어줄 만한 규제들은 모두 풀었다. 이번 510 대책은 부동산 업계가 기대했던 총부채상환비율(DTI) 폐지, 취득세 감면 등 큼직한 선물 보따리는 아니지만 주택 매입을 미뤄왔던 실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다만 정책의 중심이 대한민국 부촌으로 통하는 서울 강남권에 맞춰진 데다, 전반적 부동산 가격하락세를 차단할 만한 유인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런 까닭에 6월 분양시장은 510부동산 대책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6월은 분양 성수기인 만큼 전국에 공급되는 물량이 풍부하다. 화성 동탄2신도시에 5천여 가구가 올해 첫 분양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지역에 1만여 가구의 물량이 몰려있다. 16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다음달엔 전국 45개 사업장에서 총 3만8천49가 공급된다. 이중 일반분양 물량은 3만4천508가구로 5월(1만9천887가구)에 비해 배 가까운 규모다. 6월 분양 주택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곳은 6개 건설사가 5천519가구를 합동 분양하는 경기도 화성의 동탄2신도시다. 동탄2신도시는 면적 2401만㎡에 총 11만5천323가구를 수용할 예정이다. 이 곳엔 커뮤니티시범단지, 광역비즈니스콤플렉스, 동탄테크노밸리 등 개발호재가 끊이지 않는 관심 지역이다. 우선 롯데건설은 A-28블록 일대에 전용 101~241㎡ 총 1천416가구의 롯데캐슬을 공급할 예정이다. 6월 동시분양하는 업체 가운데 대지면적이 10만㎡ 규모로 가장 넓다. 모아종합건설이 A-25블록에 공급하는 모아미래도는 전용 85㎡ 총 460가구로 구성된다. 커뮤니티시범단지 서쪽에 인접해 향후 다양한 인프라를 공유할 수 있다. 단지 북쪽의 천변공원, 동쪽의 무봉산, 남쪽의 연결녹지 등 주변 자연환경을 최대한 살린 단지로 조성된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홍희정의 경매이야기]인도명령 신청과 명도소송

법원경매로 경락이 되면 약 2~4 주 후에 완납을 하고 소유권을 이전받게 된다. 잔금을 치르면서 동시에 인도명령 신청을 해야 하는데 인도명령의 시기가 다 똑같지는 않다. 소유자와 세입자일 경우 방식이 조금 다르게 진행된다. 소유자는 인도명령 판결이 바로 나지만 세입자가 있는 경우는 배당일 (완납 후 약 20~30일)이 지나야 인도명령 판결이 난다. 낙찰자와 세입자에게 판결문이 도착 되고서야 법원에 강제집행을 신청할 수 있다. 인도명령 판결 후 6개월 내에 인도되지 않으면 일이 복잡해진다. 명도소송으로 가야 하기 때문이다. 명도소송으로 가게 되면 6개월 정도의 기간이 더 걸리고 명도 판결 후 강제집행을 할 수 있다. 이 점을 전 소유자나 세입자가 악용하는 사례도 많다. 일반 물건에서도 이런 일이 많은데 세를 잘못 놔서 이미 월세를 다 제하고도 보증금이 전혀 없는 상태로 명도의 어려움을 겪는 집주인들도 있는데 좋은 방법은 서로 합의로 명도를 마무리 짓는 게 가장 좋다. 자료제공 : 수원법률경매정보(주) Tel:031-212-3007 1. 매물종류: 토 지 ▲소재지: 여주군 강천면 강천리 (전) ▲감정가: 7천200만원 ▲최저가: (51%) 3천700만원 ▲토지면적: 1084㎡ (327.91평) ▲평당가:11만원 ▲매각기일: 6월4일 ▲이용상태: 창남이고개 서측 인근에 위치 / 주위는 전답 등 농경지 임야 농가주택 등이 혼재 / 차량접근 가능 다소 원거리에 노선버스 정류장이 소재 등 제반 교통사정은 불편 / 북서측 하향 부정형 완경사지 / 북측 폭 약 2m 내외의 포장도로와 접함 / 생산관리지역. 2.매물종류: 공 장 ▲소재지: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3층건물) ▲감정가: 4억9천100만원 ▲최저가: (64%) 3억1천400만원 ▲토지면적: 948㎡ (286.77평)▲건물면적: 756㎡ (229평) ▲보존등기일: 2001년8월16일▲매각기일:6월5일 ▲이용상태: 수원가톨릭대학 북동측 근거리에 위치/ (주)센테크 북동측 인근에 위치 / 주위는 소규모의 공장 농촌마을 및 농경지 임야 등 혼재지역 /주위는 공장 창고 농경지 등이 형성 / 인근에 버스정류장 등이 위치 / 남서측 폭 약 4~6m에 콘크리트 포장도로에 접함. 3.매물종류: 아파트 ▲소재지: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버들치마을성복자이1차 19층 건중 14층 ▲감정가: 5억2천만원 ▲최저가: (64%) 3억3천200만원 ▲대지권: 52.556㎡ (15.9평) ▲전용면적: 84.196㎡ (25.47평) ▲보존등기일: 2010년6월29일 ▲매각기일: 5월24일 ▲이용상태: (방3 거실 주방 화장실2 발코니) /효자초등학교 서측 인근에 위치 / 주변일대는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근에 각종 근린생활시설 등이 소재 / 인근에 버스정류장이 소재 / 단지내 상태양호한 포장도로를 통해 외곽 공도에 연결됨. 4. 매물종류: 주 택 ▲소재지: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지하1 지상 2층건물) ▲감정가: 2억7천300만원 ▲최저가: (64%) 1억7천400만원 ▲토지면적: 106.1㎡ (32.1평) ▲건물면적: 141.83㎡ (42.9평) ▲보존등기일: 1987년6월11일 ▲매각기일: 6월5일 ▲이용상태: (1 층 : 주택(방2 거실 주방2 화장실 등) 2 층 : 주택(방2 거실 주방 화장실 등) 지 층 : 주택(방2 거실겸주방2 화장실2 보일러실 등)) 안양여자중학교 서측 인근에 위치 / 주변은 유사규모의 단독주택 공동주택 및 주상용부동산 등이 혼재 / 차량출입이 가능 인근에 노선버스정류장이 소재 제반 교통여건은 보통임 / 남측 노폭 약4m내외의 포장도로와 접함. 5. 매물종류: 근린주택 ▲소재지: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 (1층건물) ▲감정가: 7억5천400만원 ▲최저가: (64%) 4억8천200만원 ▲토지면적: 1383㎡ (418.36평) ▲건물면적: 341㎡ (103평) ▲보존등기일: 1997년11월24일 ▲매각기일: 6월4일 ▲이용상태: (근린생활시설(음식점) 및 주택) / 이포대교 남서측 인근에 소재 / 부근은 남한강변 근린생활시설 및 전원주택지가 다수 소재 주변지역에 4대강살리기사업의 보설치공사가 진행중인 지역임 / 간선도로변에 소재 대중요통여건은 양호한 편임 / 포장된 소로이고 차량출입 가능한 여건임.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