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까만 땅거미가 흩어져가는 이른 새벽 연천초등학교 운동장.연천조기축구회 70여 회원들의 힘찬 함성과 거친 숨소리가 아침을 열고 있다. 지난 72년 30여명의 동호인들로 구성된 연천조기축구회는 30여년간을 하루도 빠짐없이 아침운동을 해 오고 있다. 회원들이 이처럼 오랜기간 운동을 함께 할 수 있었던 것은 20대에서 60대까지 지역 선·후배들의 끈끈한 정과 스포츠정신이 함께 어울리는 하모니를 연출하기 때문. 박은성 회장(48·연천읍 차탄리)을 중심으로 사부라는 별칭을 가진 조원행씨(68)와 송상선씨(63) 등이 남다른 열정으로 회원들의 뒷바라지를 해오고 있다. 그동안 회원들은 지역 곳곳의 크고작은 행사를 주관했는가 하면, 지역발전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봉사활동을 벌여왔다. 명절때면 손수 떡을 만들어 군부대와 불우시설을 위문하는가 하면, 수해를 당한 이웃의 어려움을 내일처럼 생각하며 구슬땀을 흘려왔다. 특히 각종 축구대회에서 상위에 입상하는등 명실공히 축구의 산실이라는 닉네임과 함께 지역의 축구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어 주민들로부터 많은 칭송을 받고있다. /연천=장기현기자 khjang@kgib.co.kr
“인권운동가란 말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고통받는 사람들의 아픔을 같이 나누며 그들에게 조금이나마 희망이 되고 싶은 마음입니다” 재한외국인난민돕기 국제NGO위원장이며 한솔민족자존동산 추진운동본부장인 최황규씨(38). 우리나라에서 보다는 BBC방송, VOA 등을 통해 국제적인 난민운동인물로 널리 알려진 그는 최근 중국민주화운동을 추진하다 중국 공안당국의 체포를 피해 우리나라로 넘어온 쉬버라는 중국인을 돕기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민족의 자존심을 일깨우기 위한 잡지를 만들기 위해 수년간에 걸친 준비작업을 하던 그가 잠시 일을 접어두고 난민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지난해부터였다. 우연히 알게된 쉬버라는 중국인의 딱한 처지를 접한 최씨는 난민지위를 얻어주기 위해 출입국관리사무소 등 관계부처를 찾았다. 그러나 그의 노력은 아직 결실로 맺어지고 있지 않다. 수많은 난민신청자들 가운데 지금까지 난민지위를 인정받은 사람이 단 한명도 없다는 사실에 그는 정부의 냉담한 반응을 원망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쉬버선생의 난민지위 획득을 위해 활동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최씨는 “난민들 뿐만 아니라 그동안 우리 민족은 분단 등으로 수많은 고뇌를 겪어왔습니다. 이런 우리 민족들에게 민족자존심을 불러 일으키고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분위기를 조성해 나가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다./의정부=배성윤기자 sybae@kgib.co.kr
연천군 농업기술센터 박인상 소장의 명예퇴임식이 25일 각 실과원장과 직원, 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지난 66년 고양군 농촌지도소에서 공직에 첫발을 내디딘 박소장은 농촌진흥원과 서울시 농촌지도소 등을 거친 농업기술의 달인으로 흙과 더불어 35년여간을 봉직해 왔다. 특히 박소장은 96년 연천소장직을 수행하면서 지역특산품인 연천병배와 고대산 오곡밥 등을 개발해 농가소득증대는 물론, 지역사회개발에 많은 공적을 남겼다. 부인 최수희씨와 2남2녀를 두고있다./연천=장기현기자 khjang@kgib.co.kr
“계파를 초월해 관내 58개 교회의 힘을 한데모아 봉사활동과 불우이웃 돕기, 지역사회 발전에 노력하겠습니다” 광명시 광명4동 중원교회 담임목사 권영구씨(46). 오는 31일 광명시교회연합회장으로 취임하는 권목사는 관내 58개 교회와 82개 노인정 간 자매결연을 맺고 매월 성금과 떡을 전달키로 했다. 그동안 권목사는 불우이웃돕기, 장학금 전달, 교회자체적 문화센터 운영 등으로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는데 노력해 왔다. 지난 95년에는 1천만원의 불우이웃돕기 성금을 시에 전달하기도 했으며, 매월 100만원을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이와함께 매월 2곳의 노인정을 방문해 떡과 성금을 전달해 오고 있으며, 지난 1월부터는 매주 토요일 중원교회에서 60세 이상 노인 80여명에게 점심식사 대접과 함께 영정사진을 무료로 찍어주고 있다. 뿐만아니라 자체적으로 중원문화센터 운영을 통해 학부모들에게 플룻, 첼로, 미술, 종이접기, 사진 등을 교육시킨 뒤 이를 자녀들에게 가르치게 함으로서 사교육비 부담을 줄여주고 있다./광명=권순경기자 skkwon@kgib.co.kr
“미장원에서 오전 내내 손님들을 받을 때 보다 더 보람되고 기쁨니다”고양시 백석동사무소에서 만60세 이상 노인, 장애인, 소년소녀 가장 등 불우이웃에게 무료 이미용을 해주고 있는 미용사 장연주씨(45·장연주 헤어라인). 백석동사무소가 관내 불우이웃을 대상으로 무료 이미용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것은 지난 14일부터. 동사무소 특색사업으로 시작하게 됐다. 동사무소는 이를위해 관내 모범 이미용업소 8개소의 도움을 받아 매월 셋째 또는 넷째주 화요일 이·미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첫날 24명의 주민들이 서비스를 받았다. 또 생업이 바쁘거나 시간이 맞지 않은 주민들에게는 약 80매의 무료 이미용권이 지급됐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전보 ▲인천광역시 파견 黃鎬根 ▲서울지방국통관리청 관리국장 金宗國 ▲국민고총처리위원회 파견 徐炳斗 ▲광역철도과장 朴廷熙 ▲국립지리원 지도과장 金漢榮 ▲건설교통부 金螢輝
▲총무부장 박종민 ▲운영〃 김영헌 ▲총무팀장 장평수 ▲관리〃 이정구 ▲운영〃 김찬회 ▲훈련〃 공석복 ▲훈련계장 홍명표
가평군 노인회(회장 안경회)는 지난 24일 노인복지회관에서 이현직 군수를 비롯, 각급기관 단체장, 읍·면 노인회장, 회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0년도 정기총회를 가졌다./가평=고창수기자 cskho@kgib.co.kr
인천시 동구 금곡동 속칭 배다리에서 동구청으로 올라가는 길은 헌책방 골목이다.지난 60년대부터 이곳에 문을 연 고서점들은 최근까지 줄잡아 10여개소. 이 골목 초입에 곱게 영근 맨드라미처럼 간판을 단 책방이 있다. 아벨서점. 곽현숙씨(51·여)가 지난 20여년간 꾸려오고 있는 헌책방이다. 꺽다리 농구선수 키만큼 높은 천장까지 온갖 책들이 빼곡하게 꽂혀 주인을 기다리고 있는 이곳에 들어서면 어지간한 도서관보다 많은 장서량에 주눅이 들 정도다. “열여섯살에 책 세일즈에 나선 경험이 헌책방을 차리게 된 계기라고나 할까요. 그냥 책속에 묻혀 있으면 시간 가는줄 모르겠더라구요” 이곳에서 시집갈 준비를 하고 있는 책들은 고전, 철학, 문학, 역사, 미술분야에 모두 5만여권. “어떤 책이 어디께 있는지 눈을 감아도 선해요” 구석구석마다 자신의 채취가 남아 있는 탓에 정이 들대로 들어 누군에겐가 팔려갈 때면 눈물이 핑 돌 정도로 아쉽기도 하다. 그런 그에게 요즘 소망이 하나 있다. “도쿄나 타이페이는 헌책방거리를 문화명소나 관광코스로 조성하고 있는데 우리도 본받아야 합니다” 그는 21세기는 문화강국만이 살아 남는만큼 문화의 보고(寶庫)인 이 거리도 당국차원의 배려가 전제돼야만 마땅하다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몇명 되지 않는 인사(?)다. 그래서일까. 그의 명함에 적힌 ‘살아 있는 가슴에 살아 있는 글들이’란 글귀가 절실하게 가슴에 와 닿는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