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인사

◇교육행정직 (일반 159명) ▲1002 김한웅 ▲1004 김민정 ▲1006 홍수경 ▲1007 박주옥 ▲1009 황보권 ▲1010 박경미 ▲1011 이현주 ▲1021 김승진 ▲1025 주경미 ▲1028 곽옥규 ▲1030 최자윤 ▲1035 김연수 ▲1038 박연희 ▲1039 유세경 ▲1040 한인숙 ▲1051 양미옥 ▲1063 김동현 ▲1066 신지혜 ▲1075 송민경 ▲1079 서용완 ▲1082 이순복 ▲1087 백승연 ▲1093 이성재 ▲1096 김민정 ▲1111 윤현경 ▲1118 이지연 ▲1147 박종목 ▲1149 박은영 ▲1155 김미선 ▲1162 이희정 ▲1176 이혜정 ▲1203 이지연 ▲1204 윤연희 ▲1207 김은정 ▲1216 전형은 ▲1217 강병옥 ▲1229 김옥진 ▲1232 이기완 ▲1233 최정아 ▲1236 오기한 ▲1239 김요환 ▲1240 김덕선 ▲1241 김혜선 ▲1249 김나영 ▲1253 김민정 ▲1257 한지윤 ▲1260 이재열 ▲1262 박주율 ▲1263 박창순 ▲1270 강지영 ▲1275 장광휘 ▲1276 이민숙 ▲1283 김동남 ▲1286 구인순 ▲1288 강미경 ▲1297 양종선 ▲1298 한은희 ▲1302 김윤희 ▲1309 강미진 ▲1314 문영화 ▲1315 최미용 ▲1316 이혜연 ▲1317 김아영 ▲1318 김현식 ▲1320 신진아 ▲1326 구진영 ▲1329 김소은 ▲1331 임효신 ▲1335 김재홍 ▲1339 민원일 ▲1342 이영남 ▲1345 이호용 ▲1366 명은희 ▲1367 박민영 ▲1380 황민옥 ▲1389 임흥식 ▲1399 문장금 ▲1410 기우성 ▲1411 장진영 ▲1420 김미애 ▲1426 최선미 ▲1428 임대근 ▲1440 양희은 ▲1441 이광호 ▲1444 안은경 ▲1446 김선아 ▲1453 임선미 ▲1457 송정인 ▲1460 강은주 ▲1465 송종옥 ▲1466 이미은 ▲1467 변승대 ▲1474 박정신 ▲1479 김해정 ▲1481 조성만 ▲1484 박영진 ▲1489 백병권 ▲1509 김지영 ▲1515 남희주 ▲1518 송준해 ▲1520 김현철 ▲1533 김미영 ▲1534 박정미 ▲1535 동희경 ▲1537 신석우 ▲1558 주재은 ▲1567 강승희 ▲1572 허강진 ▲1586 허미영 ▲1587 이상무 ▲1589 양미선 ▲1594 한은영 ▲1600 김영미 ▲1602 김진희 ▲1604 이용호 ▲1607 심희창 ▲1625 홍경순 ▲1644 전미영 ▲1664 김승희 ▲1677 김유진 ▲1682 이금자 ▲1691 오명숙 ▲1719 김지애 ▲1732 김선화 ▲1768 안상희 ▲1783 이종숙 ▲1802 박정희 ▲1804 조은주 ▲1820 이경민 ▲1821 김태식 ▲1830 양동열 ▲1834 정만식 ▲1847 류은경 ▲1881 황인호 ▲1915 김문수 ▲1938 박동원 ▲1950 오강환 ▲1965 권영숙 ▲1972 손은성 ▲1980 박미정 ▲1987 김은주 ▲2005 조영숙 ▲2011 서정일 ▲2021 양혜영 ▲2031 오미영 ▲2032 양미희 ▲2037 박금란 ▲2038 박미혜 ▲3045 박상옥 ▲2046 윤현정 ▲2055 박은람 ▲2059 방기주 ▲2073 최미라 ▲2074 안영필 ▲2079 김현진 ▲2120 장현주 ▲2125 어성욱 ▲2144 김영봉 ▲2151 이성수 ◇교육행정직 (장애인 8명) ▲7002 조병두 ▲7003 백종혁 ▲7004 심숙연 ▲7009 이경희 ▲7010 문효령 ▲7012 김명애 ▲7013 김기영 ▲7016 남광수

박세혁 의정부시의회 의장

박세혁 의정부시의회 의장(42)이 최근 자신의 출신지역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신곡2동의 일반적 문제점과 개선방향’이란 책자를 발간,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책자는 신곡2동의 일반 현황과 구성원의 특징, 주민의식과 현안사항, 개선방향과 대책, 신곡2동에서 바라본 의정부 등 4개 소제목으로 나눠져 지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이 수록돼 있다. 박의장이 조사한 신곡2동 주민들의 거주년수는 4∼5년이 33%로 가장 많고, 6∼10년이 21.3%로 타동 주민들에 비해 거주기간이 짧은데다 주민 87.7%가 아파트에 거주함에 따라 배타의식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민 만족도는 48.6%로 타동보다 1.7배 높은 반면, 불만족 이유로는 교통불편 교육문제 여가시설 부족 등 크게 3가지를 꼽았다. 박의장은 이에따라 새말마을버스의 태평로 및 중앙로 진입 허용, 5-2번·410-1번·20-2번 노선버스의 배차시간 단축 및 증차 등 모두 5가지의 교통불편 해소대책과 유통시설 확보, 문화 및 체육공간 마련, 파출소 신설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아파트의 지속적인 건설로 의정부시가 신곡2동과 같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는 점을 감안, 시도시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으로 시 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이 함께 추구돼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의정부=최종복기자 jbchoi@kgib.co.kr

극단 '자유로' 백혈병걸린 공은빈양에게 수익금 기탁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사경을 헤매고 있는 공은빈양(8·고양시 일산구 황룡초교 2년)에게 극단 ‘자유로’에서 기탁한 공연 수익금 2천100만원이 전달됐다. 98년 5월 고양시에 거주하는 탤런트·영화배우·연극인·작가 등 문화예술인 150명이 모여 창단한 자유로(대표 이동신)는 ‘킹 마우스의 우주 대모험’에서 얻은 공연 수익금 전액을 20일 황교선 고양시장을 통해 은빈이에게 전달했다. 자유로 관계자들은 “은빈이가 1억원에 이르는 수술비를 마련하지 못해 사경에 처했다”는 소식을 듣고 지난 5월28일 막을 내리려던 가족 뮤지컬 ‘킹 마우스의 우주 대모험’을 지난 11일까지 2주간 연장 공연했다. 은빈이가 백혈병에 걸린 것을 알게된 것은 지난해 11월. 당시 은빈이의 아버지 공병연씨(34)는 부친의 뇌종양 치료를 위해 다니던 직장까지 그만둬야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려웠다. 거기에 은빈이까지 중병에 걸린 것으로 밝혀지자 아연실색 할 수밖에 없었다. 집 전세보증금 4천500만원을 제외하고 6천만원이 더 필요하지만 방법이 없었다. 이 같은 사정이 일산경찰서와 고양경찰서 녹색어머니회에 알려져 각급 공공기관에서 모금활동이 시작됐으며 자유로 역시 동참하게 된 것이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