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빼고 클럽헤드는 어깨선 평행

탑 스윙이란 백스윙의 정점 구간이다. 정점 구간은 백스윙해서 다운스윙을 하기전 탑에서 한 템포 쉬었다가 내려오는 타이밍, 잠깐 쉴 때의 포지션이 탑 스윙이다. 탑 스윙 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절대 팔과 어깨에 힘이 들어가면 안된다. 골프는 힘을 빼야 하는 운동이다. 양어깨가 경직된다는 것은 미스 샷뿐 아니라 연습 공을 칠때 적은 양의 연습을 해도 금방 지친다. 초보자들은 레슨 과정에서 힘을 빼라 하지만 정작 어디에 힘을 빼고 힘을 주어야 하는지 모른다. 탑 스윙에서 힘이 많이 들어가 있으면 자신이 원하는 임팩트를 할 수 없다. 대부분의 아마추어들은 이미 백스윙 때부터 힘이 들어가 미스 샷의 원인이 된다. 그렇게 힘이 들어가 버리면 탑에서 스윙궤도가 흔들려 다운스윙 궤도도 흐트러지기 쉬우며 이는 결국 미스샷을 나오게 한다. 모든 스윙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탑 스윙의 자세를 올바르게 잡아 주는 것이 좋다. 특히, 위치가 중요한 백스윙과 연결이 되고 절대 오버스윙을 하지 않도록 한다. 오버 스윙이란 클럽헤드가 어깨선과 평행을 이루지 않고 넘어서는 것이고 심지어는 왼쪽 눈으로 클럽헤드가 보일 정도로 백스윙이 큰 걸 말하는데 이런 스윙은 다운스윙 궤도를 엉망으로 만든다. 정확한 탑 스윙을 만들기 위해서는 본인이 생각한 것보다 항상 백스윙은 실제로 더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연습장에서 연습 할 때 본인이 생각한 것보다 반 템포 빨리 치는 것을 연습하고, 손목 코킹을 빨리 하는 것보다 거의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 연습한다면 오버스윙은 잡을 수 있고 정확하고 간단한 탑 스윙을 할 수 있다.

하체는 고정…자연스럽게 어깨 회전

백스윙이란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 탑과 다운스윙을 하기 전 단계이다. 백스윙은 몸의 흐름에 맞게 시계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것이다. 지나친 거리 욕심과 몸의 과도한 유연성, 오른쪽 발이 처음 어드레스 상태를 유지하지 못해 스웨이가 되거나 스윙 회전이 너무 깊으면 오버 스윙이 될 수있다. 오버 스윙을 하게되면 다운스윙시 탑스윙 이후 시작에서 과도한 힘과 스피드를 내게 되므로 실제 임팩트에서는 제 스피드가 안나와 비거리를 손해 보게 되며 방향성도 안좋은 샷이 많이 나온다. 백스윙 에서는 테이크백(백스윙 초기 단계)시 절대 그립을 의식해서 손목을 쓸려고 하지 않는다. 왼팔은 곧게 펴져있지만 팔의 힘은 주지않고 뒤로 빼면서 백스윙을 올려야 한다. 이렇게 부드럽게 빼면 왼팔이 하프스윙 수준을 넘어서는 순간 자연스럽게 손목코킹이 이루어지기 시작해 백스윙 탑이 완성된다. 손목코킹이란 왼팔과 골프채 샤프트의 각각 연장선이 이루는 각이 거의 90도 정도로 손목이 백스윙 궤도 방향으로 꺾여있는걸 의미한다. 이 때 손목을 무리하게 의식해서 위, 아래로 꺾여 버리게 되면 올바른 백스윙과 정확성 없는 샷이 나온다. 백스윙시에도 절대 눈은 공에서 떼면 안되고 팔을 억지로 올리는게 아니라 몸통 회전, 즉 어깨 회전을 하되 양팔이 겨드랑이에 붙여 든다는 기분으로 백스윙을 한다면 오버스윙을 방지 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곧게 뻗은 왼팔이 올라갈 수 있다. 이 때 하체는 흔들리면 안된다. 하체는 마치 나무뿌리처럼 단단히 고정돼 있는 생각으로 백스윙을 올려야 오른쪽 무릎이 돌아가는걸 최소화할 수 있다. 하체가 고정돼 있고 몸통이 회전해서 조여져 있는 상태로 백스윙 탑에 이르게 하면 그 조임이 풀리는 힘(회전운동)으로 엄청난 비거리가 날수 있다. 만약 하체가 고정돼있지 않으면 ‘스웨이’라하여 몸통 전체가 흔들리는걸 말하는데 하체고정은 이 스웨이를 방지해 안정적인 스윙 궤도를 만들게 한다. 위 내용들을 잘 지키면서 연습한다면 좋은 백스윙과 안정적인 백스윙을 만들 수 있다.

강모훈프로의 골프 바로알기 ④ 테이크백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 탑에 이르기 전 단계인 백스윙을 하기 위해 클럽을 들어올리는 스윙의 시작 동작을 테이크백 또는 테이크어웨이라고 한다. 테이크백의 시작은 초보시절 똑딱 볼을 할 때와 비슷하다. 테이크백은 퍼터와 같이 어깨로만 하는 스윙이다. 백스윙을 시작하여 20~30cm 뒤로 끌어준다. 이후 등 근육을 이용해 척추와 직각 방향으로 밀어주며, 손목은 편안하게 둔다. 하프 스윙 근처에선 팔목, 엄지손가락, 손목의 각도가 펴져있는 상태이며 몸 전체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최대한 길게 한다. 등 근육을 이용하여 왼쪽 어깨를 턱 밑까지 밀어 넣는다. 정점 근처에서 코킹을 시작하며 클럽을 받치는 듯한 느낌에서 멈춘다. 이때 테이크백 동작이 빨라지면 백스윙 톱이 불안정해진다. 즉 백스윙을 제대로 마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체와 하체를 정확히 비틀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톱에서 내려오는 불안정한 클럽은 항상 좋지 않는 결과를 낳는다. 테이크백 동작을 천천히 진행한다는 말은 좋은 리듬을 형성 한다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테이크백은 무엇보다 시계의 8시 방향이 하나의 훌륭한 체크 포인트다. 테이크백 때 클럽 페이스는 이처럼 점진적으로 오픈 되어야 하며, 다운스윙에서도 클럽 페이스는 점차적으로 클로즈되어야 한다. 또한 초기 테이크백하는 동안 클럽헤드를 낮게 유지해준다. 잘 조화된 클럽 궤도와 리듬감은 마치 완벽하게 상체를 감아 놓은 듯한 풀스윙을 만들 수 있게 해주며 완벽한 위치에서 백스윙을 할 수 있다.

강모훈 <KPGA·보보스 스포렉스> 프로의 골프 바로알기 (2)어드레스

자신의 스윙이 자연스럽지 못하다고 느껴본 적이 있는가? 분명 백스윙과 다운스윙에 문제가 없는데 볼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가지 않는다면 자신의 어드레스에 문제가 있는지 다시 한번 살펴봐야 한다. 어드레스란 골프의 스윙동작을 위한 정지상태의 기본자세를 일컫는 것으로 그립과 마찬가지로 모든 골퍼들에게 중요한 부분이며 전체 스윙의 20% 정도를 차지한다. 어드레스는 그냥 서있기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어드레스를 할 때에 고려해야 할 것이 몇 가지 있다. 체중 분배, 머리의 위치, 어깨의 방향, 손의 위치, 볼의 위치, 스탠스의 넓이 등이다.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은 백스윙이나 다운스윙에 신경 쓰면서 연습하지만, 어드레스에 신경을 쓰지 않고 하는 스윙은 만들어 치는 스윙이 되며 자연스러운 스윙궤도를 그릴 수 없다. 스윙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를 잘 만들어야 한다. 기본이 잘 갖춰진 어드레스와 그립을 정확하게 한다면 쉬운 스윙 궤도와 정확한 샷을 만들 수 있다. 필자의 어드레스를 따라하다 보면 평소 자신의 편안했던 어드레스와는 다른 불편함과 어색함을 느낄 수도 있지만, 그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정면 어드레스 먼저 스탠스는 자신의 어깨넓이 정도로 벌리고 양팔과 클럽이 ‘Y’자 모양으로 나와야 한다. 어깨넓이 만큼 벌려서 서야 안정감을 확보 할 수 있다. 양팔은 약간 조여 주는 것이 좋고 손의 위치는 볼보다 왼쪽인 것이 낫다. 전체적인 체중분배는 왼쪽:오른쪽을 6:4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측면 어드레스 머리는 너무 숙이지 말고 공을 지긋이 내려보는 듯 한다. 어깨와 무릎은 측면 1과 같이 플레이어의 오른쪽에서 봤을 때 왼쪽어깨와 왼쪽 무릎이 살짝 보이도록 하고 무릎은 너무 구부리지 않는다. 이 때 무릎을 너무 구부리면 ‘헤드업’ 현상과 탑핑이 나온다. 클럽 솔(클럽헤드의 밑 부분)을 지면에 전면이 닿을 정도로 하면 상체는 자연스럽게 굽혀지고 등은 곧게 펴진다. 클럽을 잡은 손은 너무 내리지 말고 살짝 들어 주는 것이 좋다. 이는 슬라이스를 방지해 준다. 손과 몸의 거리는 주먹 하나로 알고 있지만 그보다 살짝 떨어져도 괜찮다.

골프샛별 김이연 ‘승승장구’

‘유망주’ 김이연(안산 진흥초)이 제14회 경기도교육감배 학생골프대회 여초부 개인전에서 우승, 시즌 3관왕에 올랐다. 김이연은 11일 용인 한화프라자C.C(파72)에서 끝난 대회 여초부 개인전에서 2라운드 합계 1오버파 145타로 박소혜(남양주 수동초)와 이수민(파주 새금초·이상 160타·백 카운트 차)을 무려 15타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이로써 김이연은 올 시즌 학생종합선수권(4월), 협회장배 학생대회(5월)에 이어 도내 3개 대회를 차례로 석권하며 여초부 1인자임을 입증했다. 또 남초부 개인전에서 학생종합선수권 우승자인 이경환(안산 본원초)은 합계 2오버파 146타를 기록, 정재훈(고양 문촌초·150타)과 양지웅(용인 교동초·153타)을 따돌리고 우승했다. 한편 남중부 유성용(수원중)은 합계 4언더파 140타로 최호재(양평 단월중·144타)를 가볍게 제쳐 1위에 올랐고, 여중부 김보아(동두천 보영여중)는 8오버파 152타로 채지은(화성 비봉중·157타)을 5타차로 눌러 1위를 차지했다. 남녀 고등부에서는 이하늘(포천 동남고)과 신해리(화성 비봉고)가 각 142타, 150타로 주상훈(안성 일죽고·144타), 이예정(비봉고·152타)에 앞서 패권을 안았다. 한편 남녀 고등부 단체전에서 동남고와 안양여고는 각 441타, 480타로 나란히 우승, 남고부 개인전 우승자인 이하늘은 2관왕이 됐으며, 남중부 단체전서는 안양 신성중이 291타로 우승배를 들어올렸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용인·포천시, 골프 1·2부 ‘패권’

용인시와 포천시가 제54회 경기도체육대회 골프 1·2부에서 나란히 종합 패권을 안았다. 용인시는 대회 개막에 하루 앞서 16일 안산 제일컨트리클럽(파72)에서 벌어진 대회 골프 1부에서 총 1천608점으로 광명시(1천324점)와 수원시(1천135점)를 따돌리고 우승했으며, 2부 포천시도 1천714점을 획득해 하남시와 여주군(이상 1천333점)을 누르고 정상에 올랐다. 또 안산 월드스포션볼링장에서 벌어진 볼링경기 첫날 2부 여자 5인조전에서 가평군은 김애순-김보정-최남순-장혜영-최미희가 팀을 이뤄 합계 3천654점(평균 192.7점)을 기록, 양주시(3천809점)와 구리시(3천793점)에 앞서 우승트로피를 손에 넣었다. 한편 축구 남자 1부에서 수원시는 안양시에 4대0 완승을 거두고 8강에 올랐으며, 의정부시, 평택시, 남양주시, 시흥시, 성남시, 용인시도 8강이 겨루는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남자 2부에서는 구리시, 양주시, 김포시, 광주시, 의왕시, 양평군, 안성시, 오산시가 8강에 동행했고, 여자 1부 성남시, 화성시, 고양시, 수원시, 파주시, 용인시도 무난히 8강에 진입했다. 배구 남자 1부 사실상의 결승전에서 화성시는 수원시에 2대1로 승리했고, 고양시, 성남시, 용인시도 준준결승에 나섰으며, 정구 남자 1부 의정부시, 군포시, 용인시, 광명시가 8강에 동행했다. 정구 남자 2부 양평군, 안성시, 여주군, 광주시, 여자 1부 수원시, 안양시, 평택시, 화성시, 2부 여주군, 과천시, 포천시, 이천시도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이 밖에 탁구 남자 1부 광명시, 성남시, 남양주시, 부천시, 시흥시, 의정부시, 수원시, 2부 여주군, 구리시, 의왕시, 김포시, 이천시, 하남시, 오산시, 여자 2부 구리시, 광주시, 과천시, 동두천시, 포천시, 오산시, 김포시, 의왕시도 8강 대열에 합류했다. 테니스 남자 2부 광주시, 동두천시, 안성시, 과천시, 의왕시, 양주시도 1회전에서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올라 메달권 진입을 놓고 일전을 벌이게 됐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