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은 불편하지만 투표는 꼭”...의정부서 소중한 한표 줄이어 [투표 이모저모]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러 왔습니다.” 제21대 대통령선거일인 3일 의정부시 투표소에는 이른 아침부터 투표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이날 오전 9시 의정부우체국에 차려진 신곡2동 제5투표소에는 30여명의 시민들이 본인들의 투표 차례를 기다리며 대기했다. 유권자들은 선거사무원의 안내로 등재번호를 확인한 후 대기하다 큰 문제 없이 투표를 행사하는 모습이었다. 지체장애 1급으로 전동휠체어를 타고 홀로 투표소를 찾은 박원하씨(69)는 선거 사무원의 도움을 받아 투표했다. 박원하씨는 “투표는 국가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할 권리”라며 “몸은 불편하지만 매번 선거 때마다 투표는 빠지지 않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곡2동 제8투표소 투표 대기자 중에는 휠체어를 탄 어르신, 초등학생으로 보이는 딸과 함께 온 30대 남성 등 다양했다. 신곡노인복지관 3층에 설치된 투표소에서 오전부터 투표를 하기 위해 온 시민들로 긴 줄이 늘어섰다. 투표를 마친 20~30대 시민들 중에는 투표소 앞에서 인증사진을 찍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투표소를 잘못 찾은 70대 한 시민은 선거 사무원의 안내를 받고 발길를 돌리기도 했다. 이날 투표는 사전투표와 달리 주소지 지정 투표소에서만 투표할 수 있다. 의정부시선관위 관계자는 “투표 시작 시간인 오전 6시 전부터 투표소에 대기자가 있었다”며 “유권자들이 오전에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유권자들이 원활하게 모두 투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의정부시에는 92개 투표소가 설치돼 투표를 진행했다.

‘동네 주민에겐 익숙한 곳’… 자동차검사소에서 소중한 한표 [투표 이모저모]

“자동차 검사소가 특이한 투표소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우리 동네 주민들에겐 익숙하고 편리한 투표소입니다.” 제21대 대선일인 3일 오전 10시께 수원특례시 영통구 매탄동의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자동차검사소 앞엔 ‘매탄3동 제7투표소’라는 표식이 붙어 있었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이 한두명씩 신분증을 들고 익숙하다는 듯 1층 고객 대기실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평소 같으면 검사를 위해 차량으로 붐볐던 이곳은 이날 딱 하루 유권자들을 위해 투표소로 변신했다. 두살배기 아이를 안고 온 박시후씨(37)는 “투표소로 변한 모습이 이색적이면서도 차량을 정비받으러 오는 곳이라 낯설지만은 않다”며 “우리 아이가 더 좋은 세상, 더 나은 미래에서 살 수 있기를 희망하며 투표했다”고 강조했다. 제20대 대선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이번 대선까지 총 세번의 투표를 이곳에서 했다는 김지우씨(28)도 투표소에 대해 익숙하고 편리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우씨는 “특이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동네 주민에겐 익숙한 곳”이라며 “당연히 나라가 잘됐으면 하는 마음에서 투표를 했다. 혼란스러운 정국이 끝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투표 완료…“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길” [투표 이모저모]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제21대 대선 투표일인 3일 오전 6시30분께 일산동구 식사동에 위치한 일산은행초등학교 체육관에 마련된 식사동 제2투표소를 찾아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를 마쳤다. 이 시장이 찾은 식사동 제2투표소에는 투표 시작 10분 전인 오전 5시50분부터 50여명의 유권자들이 줄을 서 투표가 시작되기를 기다렸다. 투표 줄은 오전 6시40여분까지 이어졌고 6시20분 투표소에 도착한 이 시장 역시 줄을 서 투표 순서를 기다리며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이 시장은 투표를 마친 후 “시민들께서 한 분도 빠짐없이 소중한 한 표를 꼭 행사해 주시길 바란다”며 “투표소 근무자들께서도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고양시 전역의 256개 투표소에서 진행 중인 이번 대통령 선거는 공직선거법 상 보궐선거로 분류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 이후까지 14시간여 동안 투표가 진행된다. 오후 8시가 되는 시점에 투표를 위해 줄을 서 있는 유권자는 오후 8시가 넘어도 투표소에 들어가 투표할 수 있다. 한편 지난달 29일과 30일 이틀간 진행된 사전투표에는 고양시 전체 유권자 92만3천672명 가운데 31만207명이 참여해 투표율 33.58%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34.74%)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경기도 평균(32.88%)보다는 높은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