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전투기 오폭에… 사격 훈련장 있는 지자체 ‘긴장’

이동면 특별재난지역 선포 속 사고 예방·유사시 대응책 주력

지난 7일 포천시 이동면에서 전투기 오폭 사고가 발생해 2명이 중상, 17명이 경상의 피해를 입었다. 경기일보DB
지난 7일 포천시 이동면에서 전투기 오폭 사고가 발생해 2명이 중상, 17명이 경상의 피해를 입었다. 경기일보DB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를 기점으로 항공기·포탄 사격 훈련장이 위치한 경기도내 시·군들이 앞다퉈 유사 사고 방지책 마련에 나서는 등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이번 사고로 당장의 실사격 훈련은 중단됐지만 항공기 및 함포 사격은 계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인데, 지자체들은 훈련 전파 체계와 사고 예방, 유사시 대응책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9일 경기도, 각 시·군에 따르면 포천과 더불어 연천군, 양평군 등 경기 북부지역에 포탄 사격장과 항공기 실사격 훈련장 등이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오폭 사고를 겪은 포천시에도 승진과학화훈련장 외 한 곳이 더 있으며, 이에 시는 백영현 시장 주도로 주민 피해 보상 법안 구상 및 건의,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시는 사고 당일 한미연합훈련 전개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주민 의견을 반영, 지역 내 훈련 상황 전파 체계 강화에 나섰다. 시는 고령자의 경우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습득이 취약하다는 점에 주목, 방송 안내 장비 예산 확보와 군 당국 간 훈련 상황 공유를 전개할 방침이다.

 

포탄 사격장이 위치한 연천군도 군 당국에 피해 발생 대비책과 그에 따른 매뉴얼을 주문했다. 군 관계자는 “유사시 종합 대책 전개 방안을 수립, 지자체에 공유해 주민 우려를 경감하는 데 나서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비승사격장, 양평종합훈련장 등 항공기 실사격 훈련장을 갖고 있는 양평군도 사격 시 표적지를 엇나가 바위 등에 튕겨 나오는 탄체인 ‘도비탄’ 사고를 우려, 인접 부대에 안전 관리 강화를 당부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는 포천 이동면 오폭 피해 복구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후 재발 방지 대책 수립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 8일 포천 이동면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으며 현장 내 인명·재산 피해 집계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날 기준 피해 주택 수는 142가구로 전날(99가구) 대비 43가구 증가했으며, 민간인 부상자도 17명에서 19명으로 늘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0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