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면 특별재난지역 선포 속 사고 예방·유사시 대응책 주력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를 기점으로 항공기·포탄 사격 훈련장이 위치한 경기도내 시·군들이 앞다퉈 유사 사고 방지책 마련에 나서는 등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이번 사고로 당장의 실사격 훈련은 중단됐지만 항공기 및 함포 사격은 계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인데, 지자체들은 훈련 전파 체계와 사고 예방, 유사시 대응책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9일 경기도, 각 시·군에 따르면 포천과 더불어 연천군, 양평군 등 경기 북부지역에 포탄 사격장과 항공기 실사격 훈련장 등이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오폭 사고를 겪은 포천시에도 승진과학화훈련장 외 한 곳이 더 있으며, 이에 시는 백영현 시장 주도로 주민 피해 보상 법안 구상 및 건의,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시는 사고 당일 한미연합훈련 전개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주민 의견을 반영, 지역 내 훈련 상황 전파 체계 강화에 나섰다. 시는 고령자의 경우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습득이 취약하다는 점에 주목, 방송 안내 장비 예산 확보와 군 당국 간 훈련 상황 공유를 전개할 방침이다.
포탄 사격장이 위치한 연천군도 군 당국에 피해 발생 대비책과 그에 따른 매뉴얼을 주문했다. 군 관계자는 “유사시 종합 대책 전개 방안을 수립, 지자체에 공유해 주민 우려를 경감하는 데 나서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비승사격장, 양평종합훈련장 등 항공기 실사격 훈련장을 갖고 있는 양평군도 사격 시 표적지를 엇나가 바위 등에 튕겨 나오는 탄체인 ‘도비탄’ 사고를 우려, 인접 부대에 안전 관리 강화를 당부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는 포천 이동면 오폭 피해 복구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후 재발 방지 대책 수립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 8일 포천 이동면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으며 현장 내 인명·재산 피해 집계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날 기준 피해 주택 수는 142가구로 전날(99가구) 대비 43가구 증가했으며, 민간인 부상자도 17명에서 19명으로 늘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