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섬 마을 공교육… 市 교육청, 승진가산점 손 본다

관사 확충 등 생활여건도 개선

인천 강화 등 섬 지역 중·고등학교가 교사들의 기피대상으로 낙인찍혀 공교육의 질이 추락하고 있는 가운데(본보 5월29, 30, 31자 1면)인천시교육청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승진가산점을 손보고, 관사를 확충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도서·벽지 및 농ㆍ어촌지역 학교 문제 해결을 위해 ‘교육공무원 인사관리기준’과 ‘교육공무원 승진 규정 중 가산점 부여기준’의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교육공무원 인사관리기준을 개정해 내년 3월1일자 전보자부터 전보에 필요한 최저 근속연수를 현행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시교육청은 현재 교육공무원승진규정 중 가산점 부여기준 개정을 위한 테스크포스(TF)팀을 구성, 학교 현장의 개정관련 의견도 수렴하고 있다. TF팀은 최근 3차례 협의회를 열고 개정안을 검토했다.

검토 내용에는 교사의 도서지역 근무를 유인하기 위해 시내지역 특수지역학교 교육활동경력 인정 대상교를 대폭 축소하고 경력 및 농어촌 경력 인정, 학교교육 유공경력 50% 중복 인정 등이 포함됐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사관련 기준 개정안이 다음달 11일 열리는 교육공무원인사위원회 심의를 통해 확정되면 우수교사들이 도서벽지 지역에 많이 유입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것이라는 게 시교육청의 설명이다.

 

시교육청은 강화 등 섬 지역을 교사들이 기피하는 이유로 꼽히는 열악한 관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내놨다.

 

시교육청은 관사 부족에 따른 대기자 문제와 노후화로 인한 주거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화 강남중에 있는 관사 1개 동을 개축하고, 강화고와 교동고 관사 각 6개동을 증축하는 등 관사 증·개축사업으로 진행키로 했다.

 

시교육청은 관사 운영 규정 및 관리 등도 전면 재검토키로 했다. 관사 이용률이 높지 않은 교직원을 가려내 관사가 꼭 필요한 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노후화된 관사의 경우 연차적 보수 계획을 수립, 전면 보수해 교사들의 입주 기피 현상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또 신규공무원과 독신자를 위한 전용관사를 지정하는 등 다양한 운영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키로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와 같이 경력교사들의 도서지역 근무 기피가 지속된다면 이로 인해 신규교사들의 배치가 많아지고 이들이 1년만에 다시 전보하는 악순환이 계속될 수 있다.”라며 “이러한 현상은 동료 교사의 근무 의욕을 저하시키고 도서 지역 학교의 교육력을 떨어뜨릴 수 있기에 충분한 의견 수렴과 검토 과정을 거쳐 투명하고 합리적인 기준 개정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