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여명 이전 앞두고 주한미군 철수·대규모 감축 시사
주민들 10년 넘게 기다린 지역경제 활성화 물거품 우려
주한미군 철수와 한국의 방위비 분담 등을 언급했던 트럼프가 미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주한미군기지가 자리 잡고 있는 평택지역 주민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평택은 용산미군기지 이전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10년간 침체했던 기지 주변지역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던 시점이어서 미군기지 주변 상인은 물론 미군 임대하우스 건축주 등 주민들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10일 평택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평택 일대는 육군기지인 K-6 캠프 험프리스, 공군기지인 K-55 오산에어베이스 등이 주둔하고 있으며 한미연합사령부를 비롯해 미8군 사령부, 동두천·의정부 미2사단 병력 등 전국 50여 미군기지 중 90% 이상의 주한미군 4만5천여 명을 포함해 총 8만5천여 명이 2018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하게 된다.
이 가운데 한국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예고하며 주한미군 철수나 대규모 감축을 시사했던 트럼프가 제45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평택지역은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면서 앞으로의 상황에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이훈희 한미문화예술교류위원회 위원장은 “캠프험프리스(K-6)가 소재한 팽성은 미군과 울타리를 같이하고 있는데 미군이 철수하면 자생능력이 없어 흉물도시로 변할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그러면서도 이 위원장은 “주한미군 철수 등은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기 전 한 말인 만큼 당선 후 주한미군에 대한 정확한 보고가 있을 것이고 한미동맹을 위해서도 다른 방침이 나오지 않겠냐”며 기대를 버리지 않았다.
미군기지의 평택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호재가 가시화됐던 부동산 시장에도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평택의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10만 명 이상의 미군군속 및 관련 업체 등이 평택으로 이전할 것에 대비해 미군기지 주변지역 수십만 평에 렌탈하우스가 지어진 상태”라며 “만약 미군이 철수한다던가 평택 이전이 늦어지는 일이 발생하면 도미노 도산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지역상권을 이끌어왔던 신장동 K-55 미군기지 주변 지역 상인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다. 윤광우 ㈔송탄상공인회 회장은 “210개 업체로 시작한 상공인들이 현재 170업체로 줄어든 상태”라면서 “미군기지 평택이전으로 상권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소식은 그야말로 상인들을 ‘멘붕’ 상태에 빠뜨렸다”고 전했다.
이어 윤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우호적인 한미관계 등을 고려해 현재 상태를 원만히 유지했으면 한다”고 바람을 토로했다.
한편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트럼프 후보 당선이 경기도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분석할 것을 지시하며 “트럼프 당선자가 선거 기간 강경한 대북정책과 방위비 분담금 증액 등을 강조했기 때문에 안보문제에 영향이 있을 것이다. 평택 등 1만8천여 명의 주한미군이 있는 경기도 특성상 면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