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美 대통령 당선 후폭풍… 道, TF팀 구성 대책 마련 비상
일자리 3만8천여개 감소 전망… 향후 지역경제 악영향 면밀 분석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9일(현지시각) 치러진 미 대선 결과에 따른 영향 분석 및 대응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우선 도는 미국 보호무역을 주장하는 트럼프의 등장으로 인해 수출시장에 큰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 자동차 등 수출 비중이 높은 제조업 분야에 대한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이는 트럼프가 무역규제를 강화하겠다며 ‘한미 FTA’ 등 관련국과의 각종 협정(NAFTA, FTA, TPP 등)의 재검토 및 철회를 공약으로 내세웠기 때문이다.
이에 자동차, 전기전자, 화학 등 제조업 분야에서 연평균 생산액 1조7천억 원, 무역수지 5억6천90만 달러 흑자 등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했던 한미 FTA를 재검토할 경우 적지않은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 도는 한국경제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동차ㆍ기계 산업분야에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총 수출 269억 달러가 감소하고 24만여 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양허 정지에 따라 자동차ㆍ자동차부품 분야에서 30억7천700만 달러, ICT(정보통신기술)와 섬유분야에서 각각 13억4천만 달러, 2억4천100만 달러의 수출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일자리 감소에 따라 자동차ㆍ자동차부품 분야에서 2만7천505명이 ICT분야에서 8천398명, 섬유분야에서 2천859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도는 이재율 행정1부지사를 주축으로 하는 T/F팀을 구성하고 수출 및 안보 분야에서의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오전 남경필 경기지사는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한국과 경기도에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행정부지사를 중심으로 대응팀을 구성하고 한미FTA 재협상 가능성 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도는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기조실과 경제실, 균형발전실, 경기연구원 등 주요 실ㆍ국과 기관과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T/F팀을 구성하고 대응방안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이르면 다음주에 T/F팀이 주관하는 관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 도는 경기연구원을 중심으로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이번 미국 대선이 도에 미칠 영향을 분야별로 분석하고 보고서를 제작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대선 과정 당시의 공약이 실제 정책으로 구현될지는 확신하기 어렵지만 만일을 대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면서 “도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제ㆍ안보 분야를 중심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