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사업자 선정 앞두고… 과천시·서초구 ‘정차역’ 신경전 [과천~위례선 광역철도 上]

市, 교통난 해소… 광역철도 추진, 문원·주암역 설치 등 국토부 건의
서초구는 ‘우면역 통과’ 노선 주장

과천~위례선 광역철도사업의 민간사업자 선정을 앞둔 가운데 노선을 놓고 과천시와 서울 서초구가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과천시는 과천~위례선은 주암·과천지구 개발에 따른 광역교통개선사업으로 추진되는 만큼 과천대로와 과천지구, 주암지구 등지를 통과하는 노선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서초구는 선바위에서 과천지구가 아닌 우면동을 통과하는 노선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민자투자사업을 처음 제안한 대우컨소시엄이 제시한 노선은 과천시와 서초구가 구상하는 노선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 향후 어떤 노선을 선택해 추진될 지가 관건이다. 경기일보는 과천~위례선 철도사업 계획 단계부터 과천시와 서초구의 갈등 상황, 철도노선 결정 등에 대해 3회에 걸쳐 진단한다. 편집자주

 

 

과천-위례선 광역철도 어디로 가나 上. 두 지자체의 입안과정

image
과천~위례선이 통과하는 과천·주암 택지개발지구 전경. 과천시 제공

 

과천시와 서울 서초구가 과천~위례선 광역철도사업으로 경합하고 있다. 과천~위례선 광역철도사업의 노선이 최근까지 결정되지 않고 있어서다.

 

7일 시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2014년 과천시장이 서초구청장에게 사업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사업 명칭은 과천~양재 철도사업이었다. 과천시와 서초구가 광역철도시설에 대해 공감하면서 과천시와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등 4개 지자체가 실무협의체를 꾸리고 사업에 착수했다.

 

이들은 20여차례의 회의 끝에 광역철도사업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용역을 공동으로 추진했다. 2년 후인 2016년 과천주암지구가 택지개발지구로 확정되면서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국토부는 같은 해 6월 과천 경마공원~복정역을 잇는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이 사업을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고시했다. 이때부터 과천~위례선 광역철도 명칭이 붙여지고 본격적으로 행정절차가 진행됐다.

 

하지만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경마공원~복정역 노선으로 추진하면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보완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과천시와 서울 3개 지자체는 2016년 6월부터 12월까지 사전 예비타당성조사 보완용역을 추진해 경마공원에서 정부과천청사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내놨다.

 

이 같은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2021년 국토부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정부과천청사역 설치를 반영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1년 후인 2022년 7월 대우컨소시엄이 민간투자사업을 제안하면서 과천~위례선 광역철도사업은 본궤도에 올랐다.

 

대우컨소시엄이 민간투자사업을 제안하자 과천시는 국토부에 문원역과 주암역 등의 포함을 건의했다.

 

시는 문원역(과천대로 역)은 광역교통 미수혜 지역의 대중교통권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주암역은 차량기지를 수용하는 조건으로 서울 3개 구와 이미 협의해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서초구가 주암역 대신 우면역 설치를 주장하면서 과천시와 서초구의 정차역 신경전이 시작됐다.

 

과천시 관계자는 “신계용 시장 당선 후 과천과 서울 서초, 강남 등지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2014년 과천~위례선 광역철도 건립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그동안 국토부와의 협의 끝에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면서 과천~위례선 광역철도 사업이 가시화됐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0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