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국가대표팀 은퇴 아닌 선수보호 관련 발언이었다” 해명 대한배드민턴협회, “소홀함 없이 물심양면 지원했다” 반박
“제 부상을 안일하게 생각한 국가대표팀에 큰 실망이고, 이 순간을 끝으로 대표팀과 계속 가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드네요.”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22·삼성생명)은 지난 5일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단식 결승전에서 허빙자오(중국)를 2대0으로 완파하고 우승, 1996년 애틀랜타 대회 방수현 이후 무려 28년 만에 단식 금메달을 목에 건 뒤 기자회견서 작심한 듯 대표팀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안세영은 “제 부상은 생각보다 심했고,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느껴졌다”며 “국가대표팀(배드민턴협회)의 대응에 실망했다”고 참아왔던 감정을 표출했다. 이어 “저는 이 순간을 끝으로 대표팀이랑은 계속 가기 힘들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여 국가대표팀 은퇴 추측을 낳았다.
그러나 다음날 안세영은 은퇴라는 의미로 곡해하지 말아달라며 ‘선수 보호’를 위한 발언이었다고 설명했다.
6일 자신의 SNS에 “숙제를 끝낸 기분으로 즐기고 싶었지만, 인터뷰가 기사로 확대되면서 부담이 커졌다”고 밝혔다. 이어 “선수관리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지만, 협회나 감독이 이를 떠넘기며 기사로 보도되는 것에 상처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선수들이 보호받고 관리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며 국가대표팀 은퇴라는 표현으로 곡해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안세영의 발언에 대한배드민턴협회의 선수 관리 문제가 재조명받고 있다. 올림픽을 앞둔 지난 2023년 안세영은 단식과 복식 등 여러 대회에서 과중한 일정을 소화했고, 남자 대표팀의 서승재 역시 같은 대회에서 23시간 동안 3경기에 나서는 등 선수 보호의 필요성이 여실히 드러났다.
이에 대한배드민턴협회는 ‘물심양면’으로 안세영을 지원했다고 반박했다. 안세영에 다른 종목에는 없는 외국인 코치인 로니 아구스티누스(인도네시아)를 전담으로 배정했고, 무엇보다 ‘부상 관리’에 소홀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협회는 “안세영이 올림픽에 앞선 유럽 전지훈련에서 발목을 다쳤을 때 국내에서 한의사를 파견해 치료를 받게 했다”면서 “협회에서 의료 지원을 해줬지만 본인은 부족하다고 느낀 것 같다”고 해명했다.
안세영의 작심 발언에 협회가 ‘진실 게임’을 이어갈지 ‘극적 봉합’을 이뤄낼지 미지수다.
하지만 28년 만에 이룬 ‘금빛 스매시’로 축하받아야 할 분위기가 안세영과 협회의 ‘진실 공방’에 묻히면서 팬과 국민들은 안타까워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