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 왕숙지구에 대한 LH의 대토보상 공고가 늦어지면서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13일 남양주 왕숙지구 주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에 따르면 LH는 왕숙지구에 대한 토지보상·지장물 보상을 지난해 12월초 시작, 현재 현금보상만 진행 중이고, 대토보상은 공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책위는 정부가 수용 주민 재정착과 개발이익 공유를 위해 만든 제도가 정부와 LH의 준비 부족과 안일한 행정 처리 등으로 취지가 훼손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대책위는 “대토보상 공고는 토지보상과 함께 이뤄져야 실효성이 있는데 보상보다 3개월 이상 늦어지고 있다”며 “대토보상을 기대했던 많은 토지주들이 현금보상 또는 수용재결 등으로 방향을 틀면서 실망감만 높아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LH 남양주사업본부는 지난 1월 주민 설명회를 연 뒤 주민 대표들과 협의 중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대토보상 조건이 대토 보상 희망자들의 기대와 달리 다른 사업지구보다 불리하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LH가 대토공급가를 터무니없게 높게 산정하고 있어 대토마저도 LH의 땅장사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종익 대책위 위원장은 “정부나 LH가 진정으로 대토정책을 추진하고자 한다면 대토 희망자들이 원하는 위치에 수요에 맞게 공급하고 토지공급 추정가를 다른 사업지구와의 형평을 고려, 낮춰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대토제도는 강제수용에 불만있는 주민들을 달래기 위한 허울 좋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LH 남양주사업단 관계자는 “대토보상 위치에 대해 주민들과 의견을 조율 중이다. 의견 청취 등이 끝나면 이달 내 대토보상을 공고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왕숙신도시는 남양주 진접·진건읍과 양정동 1만1천㎡에 1∼2지구로 나뉘어 조성돼 3기 신도시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6만6천가구가 건설될 예정이며 예상 수용인구는 16만명이다.
남양주=유창재·이대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