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따라 지방선거 판도 변화 가능성
후보 공천 최대 변수, 치열한 경쟁 예고
與, 이재명 선출시 ‘여당 프리미엄’ 유지
野, 정권교체 여세로 ‘2018년 설욕’ 의지
1천400만 경기도민의 지혜로운 선택이 우리나라와 경기도의 미래를 좌우한다.
2022년 임인년(壬寅年)에는 국가의 운명과 도민의 삶이 걸린 두 번의 선거가 실시된다.
3월9일 치뤄지는 제20대 대선이 호랑이 같은 용맹함으로 코로나19를 극복하고 민생경제를 되살려 우리나라를 약진시킬 수 있는 지도자를 선출하는 것이라면 6월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경기도지사와 시장·군수, 광역·기초의원, 교육감 등 지역의 사령탑과 살림꾼을 뽑는 중요한 행사다.
특히 지방선거 판도는 대선에서 어느 쪽이 여당이 되느냐에 따라 급변할 가능성이 높다. 대선에서 이긴 정당이 지방선거에서도 완승을 거둘 것이란 전망이 많지만 공천 문제와 후보 단일화 등 변수도 많아 ‘대선 승리=지방선거 승리’라고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이재명 후보가 새 대통령으로 선출돼 민주정부 4기 출범에 성공할 경우, 여당 프리미엄을 이어가면서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2018년 지방선거 압승의 재현을 기대하는 가운데 최대 변수는 후보 공천이 될 전망이다. 도지사 후보군만 해도 현직 장관과 전·현직 의원 등 10명이 넘어 치열한 공천 경쟁이 예상된다. 특히 도내 시장·군수 31명 중 28명을 보유하고 있는 민주당의 시장·군수 후보 공천 경쟁은 더욱 뜨거울 전망이다.
현역 단체장 평가에서 하위 20%가 일단 컷오프될 것으로 예상되고, 2018년 당시 도내 기초단체장 16명 중 4명만 재공천 받은 점을 감안하면 물갈이 폭이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천에서 탈락한 현역 단체장들이 무소속 출마 등을 강행하게 되면 복잡한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대선을 통해 정권을 교체하고, 여세를 몰아 지방선거도 이겨 2018년의 대참패를 설욕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운다.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곧바로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해 공천기준을 마련하고 인재영입에 가속도를 낼 계획이다. 지방선거 승리로 새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달라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지사 후보는 대선 기여도에 대한 물밑 신경전과 함께 자천타천으로 거론되는 전·현직 의원 7~8명의 경선이 예상된다. 시장·군수 후보의 경우, 민주당 현역 단체장과 대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새해 벽두 경기도 민심의 향배에 여야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