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장·국회의원, 국무총리 만나 환경개선사업 현안 논의
도시 숲·철도망 조기건설 요청에… 李 “적극적인 지원 약속”
해양수산부가 추진한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AMP) 시범설치 사업에서 평택항이 제외돼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반발(본보 3월14일자 14면)한 가운데 평택항이 시범지역에 추가로 포함될 전망이다.
본보 보도와 관련, 평택시장과 지역 국회의원이 이낙연 국무총리와 면담을 갖고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 설치 시범사업에 평택항을 포함시켜 달라고 요청, 이 총리가 이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17일 평택시와 원유철(자유한국당ㆍ평택갑)ㆍ유의동(바른미래당ㆍ평택을) 의원에 따르면 정장선 시장과 양 국회의원 등은 지난 14일 정부 종합청사 총리실을 방문, 이낙연 총리를 면담했다.
정 시장 등은 이 자리에서 최근 악화되고 있는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에 대해 지역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정부의 대책마련과 지원이 긴급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낙연 총리에게 평택항은 물론 주변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화력발전소, 대규모 산업단지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책방안으로 ▲항만육상전력공급장치 설치 시범지역 추가선정 ▲안중에서 평택항까지 철도 조기건설 ▲평택의 대대적 도시 숲 가꾸기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이낙연 총리는 “평택지역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면서 “미세먼지 등 환경개선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답변을 했다고 전해졌다.
또 “평택항을 항만육상전력공급설비 설치 시범지역에 포함하도록 하고 평택에서 포승(평택항)까지 철도망 구축 사업 중 안중~평택항 구간 조기 착공과 도시 숲 조성을 비롯한 나무가꾸기 사업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을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는 정박 중인 선박의 발전기 가동(벙커C유 사용) 대신 육상에서 전력을 공급해 선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설이다. 해수부는 지난해 9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 설치 시범사업(부산항 4개 선석, 인천항과 광양항에 각각 2개 선석)을 추진하면서 미세먼지 관리가 필수적인 평택항을 배제, 지역 환경단체 등의 반발을 샀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