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 평택항 제외 반발

화석연료 미세먼지 감축 시설 정작 심각한 평택항은 찬밥신세
지역 환경단체 “현실 외면” 지적 해수부 “시범사업… 단계적 설치”

해양수산부가 대형 선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AMP)를 시범설치하고 있지만 평택항이 제외돼 시민단체 등이 반발하고 있다.

13일 해수부에 따르면 해수부는 지난해 9월 ‘항만육상전원공급설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해 오는 9월 완료할 예정이다.

해당 연구용역은 전국 항만의 대기질 실태조사 등을 통해 필요한 항만에 단계적으로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AMP) 설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는 정박 중인 선박의 발전기 가동(벙커C유 사용) 대신 육상에서 전력을 공급해 선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설이다.

해수부는 지난해 추경 예산 90억 원을 확보해 부산항에 4개 선석, 인천항과 광양항에 각각 2개 선석 등 총 8개의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관측되는 평택항에는 해당 시설이 시범설치되지 않는다. 평택시에 설치된 3개의 도시대기 측정망의 지난해 관측 농도를 보면 평택항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연평균 30.5㎍/㎥이며 기준치(15.0㎍/㎥)를 초과하는 일수가 117일에 달했다. 이는 평택시청(연평균 27.6㎍/㎥, 초과일 97일)이나 안중읍(연평균 29.3㎍/㎥, 초과일 90일)보다 크게 높은 수치여서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미다.

상황이 이렇자 평택지역 환경 관련 시민단체 등은 미세먼지 발생이 심각한 평택항을 배제하고 타 항만에만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 시설을 시범 설치하는 것은 평택항을 홀대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박환우 평택환경시민운동 공동대표는 “컨테이너 운반선 1척에서 트럭 50만대 분의 미세먼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를 가장 우선 설치해야 할 곳은 대기질 오염이 심각한 평택항인데 해수부가 현실을 모르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해수부 관계자는 “아직 우리나라에서 항만육상전원공급장치를 운영하는 항만은 없고 다만 부산항과 인천항, 광양항에 설치 중인 것은 시범사업”이라면서 “항만육상전원공급설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완료되면 평택항도 단계적으로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