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민간→市로 운영주체 변경… 적자 늘자 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
수십억 원의 적자를 남기고 4년여 만에 폐업한 한탄강 래프팅사업(본보 3월25일자 10면)을 둘러싸고 책임소재 논란이 일고 있다. 애초 민간사업으로 계획했다가 갑자기 운영주체가 포천시로 바뀐 사실이 확인된 가운데, 시가 눈덩이처럼 적자가 불어나자 시설관리공단으로 슬쩍 떠넘겼기 때문이다.
4일 시와 시설관리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2010년께 시는 한탄강 래프팅 사업을 추진하면서, 그동안 한탄강 상수원보호구역 인근 주민들이 상대적인 피해를 본 만큼 주민 수익사업차원에서 관인면과 영북면 주민들에게 사업하도록 했다. 당시 이곳 주민들은 포천에서 래프팅 사업을 할 수 없어 인근 철원 등에서 10여 개 팀 정도가 사업을 해오고 있었다. 시의 이 같은 방침으로 주민들은 래프팅 연합회를 만들어 공동운영하는 방안 등을 검토했다.
그러나 하천업무가 재난관리과에서 한탄강관광개발과로 이관되면서 민간사업으로 추진하려던 계획은 백지화됐고, 래프팅 사업은 시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시 조례까지 바뀌었다.
당시 한탄강관광개발과장이었던 A씨는 “당시 한탄강 댐이 완공되지 않아 안전사고 위험이 제기되면서 민간인에게 맡길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시에서 직접 운영하기로 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또 다른 관계자는 시가 수익을 위해 래프팅 사업에 직접 뛰어들었다고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 B간부는 “안전이란 말은 핑계고, 실제는 막대한 수입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 시가 운영했다”며 “뒤늦게 적자 폭이 커지니까 시설관리공단에 슬쩍 떠넘긴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의 전직 간부 C씨도 “민간사업으로 계획했던 것을 경험도 없는 시가 빼앗아 운영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적자가 예견됐었다”며 “주민들이 운영했다면 이미 쌓아 온 래프팅에 대한 상당한 노하우가 있어 최소한 폐업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다”고 안타까워했다.
철원에서 래프팅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D씨(55)는 “우리가 하면 안전사고가 일어나고 시에서 하면 안 일어나느냐”며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였고, 주민 E씨(59)는 “적자가 늘어나니까 시설관리공단에 넘겨 막대한 예산을 낭비케 한 책임을 누군가는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