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지뢰 도발’ 긴장 고조… 軍, 최고경계태세 발령

DMZ 수색·매복작전 강화 靑, 北 사죄·책임자 처벌 요구

▲ 북한군의 비무장지대 지뢰 도발에 따라 우리군이 비무장지대의 격멸작전 도입, 대북방송 재개 등 강경대응을 펼치면서 DMZ 내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1일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과 마주보고 있는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 아군 최북단 초소에서 초병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김시범기자

군 당국이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과 관련해 전방지역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는 등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A급)를 발령했다.

군은 비무장지대 수색·정찰작전 개념을 공세적으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11일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서·중부 전선지역에 최고 경계태세를 발령했다”면서 “북한군 동향을 감시하고 불시의 도발에 응사할 수 있는 화력을 긴급 보강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군은 확성기 설치지역에 폐쇄회로(CC)TV와 적외선감시장비가 장착된 무인정찰기, 토우 대전차미사일, 대공방어무기 비호, 대포병탐지레이더(AN/TPQ-36) 등을 보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대북 확성기에 조준사격을 가할 경우 군 당국은 유엔헌장에 따른 자위권 차원에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군은 DMZ 수색·정찰작전 개념을 ‘저지’에서 ‘격멸’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군은 군사분계선(MDL)을 넘는 북한군에 대해 ‘경고방송-경고사격-조준사격’으로 대응해왔던 수칙도 ‘조준사격’으로 단순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격멸작전 개념’을 극대화하도록 수색 장소와 시간을 불규칙적으로 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비무장지대의 수색·매복작전을 강하게 해서 북한군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계획이며 비무장지대내 수색로 일대의 수목도 제거하고 감시 능력을 계속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북한의 사죄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민경욱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도발행위는 정전협정과 남북간 불가침 합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것으로서 이번 도발에 대해 사죄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