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목함지뢰’ 파편… 道 대북사업 비상

접경지역 말라리아 공동 방역 등 차질 예상

경기도가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 사건과 관련, 대북 사업 차질을 우려하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도는 올해 광복 70년이자 분단 70년을 맞아 남북교류협력 예산을 지난해보다 20% 늘어난 60억원으로 책정하고 기존 대북 사업에 11개 사업을 추가하는 등 인도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북한군의 목함지뢰 도발이라는 예기치 않았던 큰 변수가 등장해 대북 사업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도와 인천시, 강원도 등 3개 광역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남북접경지역의 말라리아 방역사업이 불투명해졌다.

이 사업은 북쪽에서 남하하는 매개 모기를 막기 위한 것으로 지난 2002년부터 북한과 공동으로 진행해 나름 큰 성과를 거둬왔다.

실제 공동 방역이 이뤄진 해에 국내 말라리아 환자가 많이 줄어든 반면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사건’ 등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돼 북한에 말라리아 방역 물품을 지원하지 못했던 해와 이듬해에는 말라리아 환자가 늘었다.

지난해에는 인천 아시아게임 때 북한이 응원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하면서 말라리아 공동 방역 물품 지원도 중단됐다.

이밖에 도는 개성지역 어린이 치아건강과 기생충 구제 사업, 남북합작 자전거 수리 공장 건립 등을 올해 신규 사업으로 추가했지만 아직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했다.

도 관계자는 “도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은 인도적 차원의 지원인 만큼 정치ㆍ군사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를 기대한다”며 “중앙부처와 협의해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