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마친 한국·일본·EU는 15%로 조정 한국 정부, 저인망식 미 행정부 인사 접촉…부과 시한 이틀 전 '극적 타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춘 사실을 공식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한국 등 주요 무역 상대국과 진행한 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에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행정명령 부속서에 명시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보면 한국은 15%로 표기돼 있다. 일본의 상호관세율도 무역 합의 내용을 반영해 15%로 낮아졌다.
다만 관세를 피하기 위해 환적한 제품의 경우 국가별 상호관세에 추가로 40% 관세를 더 내야 한다.
무역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인도, 대만,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해선 각각 25%, 20%, 30%의 관세율이 적용됐다.
앞서 지난 4월2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상호관세율을 25%로 예고한 바 있다.
이후 한국 정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을 시작으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구윤청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을 파견해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협상을 벌여왔다.
장관급 인사들이 총출동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등 트럼프 행정부 주요 관계자들과 저인망식으로 접촉한 결과, 한국 정부는 상호관세 부과 시한을 이틀 앞두고 극적 타결을 이뤄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행정명령에 따라 수입품 품목 코드(HTSUS)를 수정하라고 지시했으며 수정된 내용은 행정명령 서명으로부터 7일 이후에 수입된 제품에 적용된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